경제 >

"美 9월 금리인하 확률 100%"…한은도 10~11월 인하론 '무성'

"美 9월 금리인하 확률 100%"…한은도 10~11월 인하론 '무성'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美 9월 금리인하 확률 100%"…한은도 10~11월 인하론 '무성'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美 9월 금리인하 확률 100%"…한은도 10~11월 인하론 '무성'
이창용 한은 총재의 지난달 금통위 주재 모습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정책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장의 9월 금리 인하론에 힘이 실렸다. 한국은행의 10월 기준금리에 대한 기대감도 자연스레 고개를 든다.

다만 주택 가격이나 가계대출, 환율 등이 불안해지면 한은의 인하 시점은 11월 또는 내년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연준은 지난 3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다. 이로써 한은 기준금리와의 역전 폭 2%포인트(P)는 역대 최대치 그대로 유지됐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금리를 가파르게 올렸던 연준은 같은 해 9월부터 이번까지 모두 8회 연속으로 금리 조정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FOMC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9월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듯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인 발언을 내놓으면서 9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특히 시장은 연준이 다음 달 금리를 내릴 확률을 '100%'로 관측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연준의 정책금리가 현재보다 0.25%P 낮을 확률을 89.0%로, 0.50%P 낮을 확률을 11.0%로 반영하고 있다. 현재와 같거나 높을 확률은 전혀 반영하질 않고 있다.

연준의 9월 인하가 확실시되며 한은의 연내 인하도 가시권에 들어오게 됐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11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금리 인하 준비를 위해 차선을 바꿀지 말지 고민한 상태가 지난 5월이었는데,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 전환을 할 준비를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 조성됐다"며 인하 논의 돌입을 시사했다.

금통위 의사록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만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판단도 확인됐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 환율이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을 다시 자극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이에 가계대출도 치솟으면서 집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환율의 경우 역대 최대에 달하는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을 축소해야 1300원 후반대 고환율이 완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실제로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한 위원은 "금리 인하를 위해 두 가지가 전제돼야 한다"며 "첫째는 외환시장의 안정이고, 두번째는 부동산 가격 안정"이라고 꼽았다.

이에 한은은 연준의 9월 인하 이후 외환시장 안정과 정부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등 거시건전성 정책 추진 결과를 어느 정도 파악한 뒤에야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내 남은 금통위는 8월(22일)과 10월(11일), 11월(28일)이다.

8월은 연준의 인하가 외환시장에 미칠 여파와 정부의 부동산 정책 효과를 알기 이전이기에 10월 혹은 11월 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일각에서는 외환시장과 부동산시장 상황이 뒷받침되지 못해 내년으로 한은의 인하가 밀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시점에서 부동산 시장 과열과 외환시장 불안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긴축 통화정책 유지 기간의 연장"이라며 "8월 금통위에서는 만장일치 기준금리 동결이 전망되고, 회의 내용도 결코 온건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10월이 아닌 11월 첫 인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며 "금융안정과 시장금리 하락에 대한 한은의 대응이 불가피해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