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이체, 모바일 결제 등 통해 시민불편 최소화
인천시는 2025년 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인천 버스를 전면적으로 시행한다. 인천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시는 2025년 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인천 버스를 전면적으로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현금 없는 인천 버스는 교통카드로 승차해 시민 편의와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시는 3차례에 걸쳐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확대 운영해왔다.
시범운영 결과 현금승차 비율은 2022년 1.68%에서 2024년 0.086%로 현저히 감소했다. 시는 시민 대다수가 교통카드 이용에 익숙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긍정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전면 시행을 결정했다.
시는 이번 전면 시행으로 현금 요금 수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운행 중 현금 결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과 운행 지연을 예방하고 요금함 관리에 따른 운수종사자들의 업무 부담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시는 교통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들을 위한 대안도 마련했다. 교통카드가 없는 경우 승객들은 버스 내 비치된 교통카드를 구매하거나 요금 납부 안내서를 통해 계좌이체를 할 수 있다.
또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 서비스를 활용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금 없는 인천버스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노선 194개 노선에 시행된다. 시는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이 열악하고 노인층의 현금 이용이 많은 강화·옹진 지역 등의 노선은 추후 이용객 모니터링을 거쳐 도입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현금 없는 버스 시행으로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