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3일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필리핀 가사관리사가 아이를 돌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지난해 9월 도입해 시행 135일째를 맞는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이 초반 우려와 달리 순항하고 있다. 이용가정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서비스 취소 신청은 눈에 띄게 줄어드는 추세다.
서울시는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을 통해 98명의 필리핀 가사관리사가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용가정 수는 시범사업 출범 당시 142가정에서 현재 185가정으로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한자녀 102가정(55.2%), 다자녀 75가정(40.5%), 임산부가 있는 8가정(4.3%) 순이다.
이용을 희망하는 대기 가정도 795가정으로 현장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시범사업 기간 중 서비스 취소 가정은 총 35가정으로, 이 중 24가정은 도입 초기인 서비스 개시 첫 달에 발생했다. 이후에는 고객의 사정에 의해 월 평균 2~3건의 취소가 발생하고 있으며 즉시 대기가정 충원으로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다.
구체적인 취소사유로는 이용가정의 사정에 의한 경우가 28건 있었다. 이외에는 고객단순변심 및 시간조정 불가 25건, 해외이주 1건, 이용가정 자녀문제 2건 등이다.
가사관리사 사정에 의한 경우는 7건으로 이탈 2건, 한국어 미숙 2건, 영아케어 미숙 2건, 개인사정 1건이다.
서울시는 서비스 개시 전 업무범위가 모호하다는 비판도 있었으나 가사관리사, 이용가정, 서비스 제공업체 간 충분한 협의를 거쳐 진행되는 만큼 큰 문제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성희롱 및 성폭행, 인권침해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현재까지 이로 인한 가사관리사의 고충 상담 사례는 한 건도 없었다고 부연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의 월평균 급여 수준은 207만원이다. 98명 중 40명은 고국 송금 등을 위해 월 2회 분할 지급을 받고 있다.
근로시간은 평균 주 40시간이며, 본인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해 근로기준법에 따라 최대 주 52시간 근로가 가능하다. 일부 한국의 문화, 서울생활을 즐기고 싶어하는 젊은 층은 장시간 근무보다는 주 30시간을 선호하기도 한다고 시는 전했다.
숙소는 역삼역 인근으로 지하철역에서 가까우며, 숙소 내 개별 세면대 및 샤워장이 구비되어 있다.
숙소비용은 방크기, 1.2인실에 따라 적게는 35만원에서 많게는 49만원이다. 월평균 46만원 수준으로 서울시내 평균가 59만원에 비해 약 13만원, 강남구 평균가 70만 원보다는 약 24만원 저렴하다.
숙소에서는 쌀, 햄, 라면, 시리얼, 세제 등 식료품과 생필품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어 1인당 월 4만원 정도의 생활비 부담을 덜고 있다.
서울시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이 오는 2월 말 종료됨에 따라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주관부서인 고용노동부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정한다는 방침이다.
일하는 여성과 맞벌이 가정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도입 취지, 시범사업 이용가정의 높은 만족도, 시범사업 기간 중 대기가정이 7~800가정이 꾸준히 있었던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속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막고 자녀양육 가정에 선택지를 넓혀드리기 위해 도입한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이 이용가정의 높은 만족도와 꾸준한 대기수요를 보이고 있다”라며 "아울러 시범사업 이후 추진 방향에 대해서는 고용노동부와 지속 협의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