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총선 전 김 여사-김영선 통화나 문자
창원지검 수사보고서.. 서울중앙지검 이송
명태균씨, 김건희 여사,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왼쪽부터) /사진=뉴스1,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지난해 22대 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과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내역을 확보했다.
19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지난해 11월10일자 창원지검 수사보고서에 따르면 김 여사는 김 전 의원과 지난해 2월18일부터 3월1일까지 11차례에 걸쳐 통화나 문자로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 기간 4차례 통화는 모두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 걸었고, 7차례 문자는 모두 김 전 의원이 김 여사에게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김 여사와 텔레그램으로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도 확인했다.
명씨는 지난해 2월18일 텔레그램을 통해 김 여사에게 "김 전 의원은 김해에 연고가 없어 경선에 참여하면 이길 방법이 없다"는 취지로 단수 공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냈고, 이에 김 여사는 "단수 공천을 주면 좋지만 기본 전략은 경선"이라고 답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김 여사와 명씨의 이 텔레그램 대화가 오후 3시30분께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김 여사는 1시간여 뒤인 같은 날 오후 5시께 김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6초, 11분 9초간 통화했고 오후 8시24분께 1분 38초간 통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전 의원 측은 당일 밤 현역 지역구인 창원 의창 출마를 포기하고 김해 갑에 출마하기로 했다는 보도자료를 언론에 배포했다.
김 여사는 이틀 뒤인 2월20일에도 김 전 의원에게 전화해 13분 2초간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명씨가 김 전 의원의 창원 의창 선거구 공천 컷오프가 예상되자 급하게 김해 갑 선거구로 옮겨 언론에 발표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개입한 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사건을 창원지검으로부터 넘겨받은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를 상대로 김 전 의원과 연락한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