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문화 >

‘2000년 1월 1일 0시’ 태어난 中20대 여성, '죽음의 시한폭탄'으로 사망 [헬스톡]

‘2000년 1월 1일 0시’ 태어난 中20대 여성, '죽음의 시한폭탄'으로 사망 [헬스톡]
25세 나이로 숨진 밀레니엄 베이비 첸첸. 출처=펑파이신문

[파이낸셜뉴스] 2000년 1월 1일 0시 정각에 태어나 '밀레니엄 베이비'로 불렸던 중국의 첸첸(千千)이 2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사인은 급성 심장사(SCD)로 알려졌다.

25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홍성신문 등은 첸첸의 어머니 웨모 씨의 말을 인용해 그의 사망 소식을 전했다.

첸첸은 지난 9일 새벽 5시쯤 급성 심장사로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급성심장사는 급성 심정지와 중증 부정맥 같은 심장 관련 문제에 따른 자연사를 말하는데, 중국에서는 매년 관련 사망자가 50만명을 넘는다. 대개 증상 발생 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하며, 멀쩡한 사람도 예고 없이 숨질 수 있어 ‘죽음의 시한폭탄’이라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첸첸은 톈진의 한 호텔에서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던 중 이달 초 감기 증세를 보였으나 병원을 찾지 않았다. 동료들에게 폐를 끼치기 싫다는 이유였다. 이후 장거리 버스를 타고 산시성 장즈시의 고향 집으로 이동했고 귀가 당시 체온은 40도를 넘었다. 다음 날 새벽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의식을 되찾지 못한 채 숨을 거뒀다.

첸첸은 1999년 12월 31일 오후 3시쯤 어머니가 분만실에 입실한 뒤 수시간의 진통 끝에 2000년 1월 1일 0시 정각에 3.5㎏ 체중으로 태어났다. 당시 그는 '중국의 첫 21세기 신생아'로 보도되며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 잡았다. 이름도 1000이라는 숫자를 의미하는 첸(千)을 이용해 지었다.

그의 어머니는 “그날 분만실에 들어간 산모 9명이 모두 0시 0분에 밀레니엄 베이비를 낳길 바랐지만, 그건 인간이 조절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지 않느냐”며 “제 딸은 딱 2000년 0시 0분에 자연분만으로 태어났다. 마치 하늘이 우리 아이를 선택해준 것 같았다”고 했다.

첸첸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은 중국판 SNS인 웨이보에서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많은 누리꾼들이 "기억에 남는 아이였는데 너무 안타깝다"며 그의 생을 추모했다.

전조 증상 나타난 후 1시간 이내 사망


급성 심장사는 증상 발현 후 1시간 이내에 심장 원인으로 사망하는 자연사를 일컫는다. 흉통(가슴 부위의 통증)이나 심계항진(가슴 두근거림) 등이 전조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급성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확장성 심근병증 또는 비후성 심근병증과 같은 심근질환, 대동맥 박리증과 같은 대동맥질환, 대동맥 판막 협착증과 같은 판막질환 등 심장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질환들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관상동맥질환이 가장 흔하며, 관상동맥 질환자 사망의 약 50%가 돌연 심장사고,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약 20%에서 돌연 심장사가 발생한다. 또한 심근병증도 돌연 심장사의 흔한 원인이다. 관상동맥질환과 심근병증이 전체 돌연 심장사 환자의 약 95%를 차지한다.

심폐소생술로 생존했어도 원인 심장질환에 따라 예후가 다양하며, 심장 마비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심정지 기간이 얼마나 길었느냐에 따라 뇌-신경 손상에 따른 후유증도 남을 수 있다.

운동 등 통해 심장 질환 관리 철저히 해야

예방법으로는 원인이 되는 심장질환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걷기, 등산, 조깅, 수영, 줄넘기, 자전거타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3회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운동 시작 전에 준비 운동을 5~10분 정도 하고, 실제 운동 시간은 30~60분 정도가 적당하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엎드리기 등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운동은 삼간하는 것이 좋다.

급성심장사는 심장마비와 다르다.
심장마비는 심장의 관상동맥이 막히면서 산소를 함유한 피가 심장근육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해 일어나며, 심한 가슴통증을 호소한다. 급성심정지는 심장박동을 유도하는 전기체계 이상으로 심장박동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불규칙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심실세동이 약해지며 뇌까지 피공급이 잘 안돼 바로 의식을 잃게 된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