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구호기금 5억 추가 지원 등 산불 피해 지원 총력
재정은 물론 인적, 물적, 시설 등 최대 지원
전국 최초 재난안전기동대 창설 등 산불 예방 조치
경북 안동시와 의성군 경계부근에서 바라본 일대 산하가 산불에 훼손돼있다. 뉴시스
대구시 '산림재난기동대’' 지난 26일 달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대구시가 대형 산불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산불예방 '행정명령'을 4월 1일부터 발령한다.
적용되는 구역은 △팔공산, 앞산, 비슬산 등 입산객이 많은 주요명산 구역 △아미산, 초례산, 마정산, 대덕산 등 산불발생 시 대형화 위험이 큰 구역 △함지산, 구봉산 등 과거 산불 발생 구역의 산림이다.
또 산림재난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 발생 시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기존 '산림재난기동대'를 재난안전실 직속으로 확대·개편해 전국 최초 '재난안전기동대'(20명 정도)를 창설·정규 조직화할 방침이다.
시는 또 재해구호기금 5억원을 마련, 경북 산불로 피해 규모가 큰 의성군·안동시·청송군·영양군·영덕군에 각 1억원씩 지원하는 등 인적, 물적, 시설 등 최대 지원에 나선다.
또 입산 금지 등 '행정명령'을 발령하고, 전국 최초로 '재난안전기동대' 창설·정규 조직화 등 산불 예방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홍준표 시장은 "이번 행정명령' 발령은 전국적인 산불 확산세와 대형화 가능성에 따른 긴급 대응이다"면서 "산림 출입과 산림인접지 등에서 화기사용을 금하는 등 행정명령을 철저히 준수해 주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3월 31일 '경북지역 산불 피해 지원 대책'(이하 대책)을 발표하고, 산불로 극심한 피해를 입고 있는 경북 돕기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지난 28일 홍 시장이 '한뿌리 경북'의 산불 피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경북 산불 관련 담화문'의 후속 조치다.
우선 시는 재해구호기금 총 5억원을 마련해 피해 규모가 큰 5개 시·군에 각 1억원씩 성금을 지원하고, 시민 성금 특별모금(~4월 30일)도 대대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긴급 대피한 이재민을 위해 속옷, 양말 등 생필품 1만5000개와 보건용 마스크 1만2000개를 지원하고, 경북도의 '초대형 산불 피해대책본부'와 협의 후 필요 물품을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피해지역 내 요양시설 및 장애인거주시설 입소자 300여명을 대구시 관내 시설로 이전 수용하고, 이재민 환자들을 대구의료원으로 이송 치료하기 위해 24시간 응급실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고 36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경북지역 산불 피해 발생 후 이미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해 산불피해 복구지원 성금 1억원을 신속히 지원했다. 또 응급구호세트(351개), 텐트(184개), 마스크(4000개), 양말(6000켤레), 침낭(260개) 등의 구호물품도 지원한 바 있다.
홍그는 "'한뿌리 경북' 도민의 아픔을 함께 나누기 위해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경북 지역의 피해 복구를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