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울산시 현안사업 속도.. 실용주의 이재명 정부에 기대감

욼간의료원 설립 공약.. 부유식 해상풍력도 속도
울산형 광역비자, 국제정원박람회 지원 등도 기대

울산시 현안사업 속도.. 실용주의 이재명 정부에 기대감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일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을 방문해 울산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며 지역 현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공동취재) 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실용주의를 앞세운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울산시가 추진 중인 여러 현안 사업도 상당수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으로 가장 기대를 모으는 사업은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공공의료원 설립이다.

이는 전임 민선 7기 송철호 울산시장이 역점을 두어 추진한 사업으로, 2021년 7월 북구 창평동에 예정 부지를 선정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 당시 '울산의료원 조속 설립'을 울산지역 공약에 포함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2023년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지 못한 이후로 사업은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때 울산 관련 7대 광역공약에서 가장 먼저 '어린이치료센터를 특화한 울산의료원 설립'을 앞세웠다.

전국 최하위 수준의 공공의료, 울산의대 응급소아과 폐지 등 울산의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또 이들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예타를 면제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울산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구축'도 새 정부에서 전망이 밝다.

이 사업은 울산 먼바다 배타적 경제수역에 약 6GW급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김기현 전 시장돼 기획되었고 이후 송철호 전 시장이 민선 7기 부임 이후 큰 비중을 두고 추진했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부합해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해상풍력 발전의 공사 하청은 이권 공동체이고,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지 않은 사람이 사업에 낄 수 있겠느냐"라며 이권 개입 의혹을 제기했고, 국민의힘도 그 실효성이나 기대 효과가 과대 포장됐다는 당론을 견지했다.

하지만 김두겸 울산시장 취임 후 추진한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맞물려 중단없이 지속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새 정부 출범에 힘입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울산시 현안사업 속도.. 실용주의 이재명 정부에 기대감
울산 앞바다에 추진 중인 에퀴노르의 반딧불이 해상풍력발전단지 조감도. 포스코이앤씨 제공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대선 유세를 위해 울산을 방문한 자리에서 "울산 앞바다에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을 하면 관련 산업도 발전하고 일자리도 생길 것이다"라며 "앞으로 대한민국이 글로벌 기업에 물건을 팔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하므로, 관련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하겠다"라고 공언했다.

울산시는 이번 대선 과정에 5대 분야, 12개 정책과제, 35개 세부 사업을 대선 공약으로 선정하고 이재명 후보 캠프에 전달한 바 있으나 여야의 입장 등을 고려해 크게 반영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 울산지역의 이 대통령 득표율이 42.54%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큰 기여를 했기 때문에 여야를 떠나 지역 현안에 대한 폭넓은 지원이 예상된다.

울산시가 추진 중인 '울산형 광역비자' 제도와 울산형 제조 인공지능(AI) 혁신 허브 조성, 청정수소 생산·활용 클러스터 구축, 울산 글로벌 스포츠파크 조성, 국제정원박람회 지원, 도심철도 2호선 구간 연장 등 산업·문화·교통 분야 사업들이 대상이 될 전망이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