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金계란·金배추 잡아라...추경 투입하고 TF 만든다

金계란·金배추 잡아라...추경 투입하고 TF 만든다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매대에 배추가 진열돼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앞두고 먹거리 물가 안정을 민생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지원금 지급에 따른 수요 증가로 물가가 급등하는 것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식품·외식, 배추, 계란, 닭고기 등 주요 품목 중심으로 단·장기 물가 안정을 위한 전방위 대응에 나선다. 농식품 수급·유통구조 개혁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해 유통 개선에도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먹거리 물가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농축산물 및 식품·외식 등 품목별 수급대책을 논의하고 물가 불안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농축산물 유통구조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를 구성해 수급 안정 및 구조 개선 대책을 속도감 있게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는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범부처 대책이 발표됐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직후 비상경제대응 TF 회의에서 고물가 대응방안을 구축하라는 이 대통령의 주문에 따른 것이다.

정재환 농식품부 원예산업과장은 TF 구성에 대해 "농산물, 축산물, 식품 3개 분과로 나눠 각 분과별로 월별 수급 안정 등을 논의하고 개별로 수급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유통구조 개선 과제를 구체화하고 별도의 유통구조 개선책을 발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단기적인 수급 부분에 집중해 대책을 챙겨왔는데 TF를 통해 유통구조 자체에 경쟁 제한적인 요소는 없는지, 불합리한 관행이나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학계 전문가나 유관기관 등과 모여 논의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우선 6월 30일 자로 종료되는 과일칵테일 등 식품원료 4종에 대해서는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연장하고 음식점업 외국인 근로자(E-9) 도입조건 완화 등을 통해 외식업체의 비용 부담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650억원을 투입해 공공배달앱 소비쿠폰을 소비자에게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중견 식품기업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한 국산 농산물 구매자금은 200억원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다.

최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계란과 관련해서는 7월 이후에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7, 8월 휴가철, 방학 등으로 인한 계란 소비량 감소, 7월부터 계란가공품 본격 수입 등으로 계란 가격은 점차 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자조금 등을 활용해 일부 대형마트 등에 공급하는 계란 30구 납품단가를 약 1000원 인하를 추진하고 있다"며 "계란 생산 확대를 위해 산란계 생산기간을 연장하고 생산자단체와 협업하여 비타민·영양제 투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배추가격 불안은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봄배추 생산량이 전·평년 대비 크게 증가함에 따라 김치업체, 산지유통법인 등 민간의 봄배추 저장물량도 약 10%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량 감소 및 시장가격 하락 시에도 농가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 보장되도록 '여름배추 수입안정보험'을 올해 시범운영하고, 2026년 시행할 예정이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