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제 불확실성 크다… 필요땐 추경에 중동사태 대비안 추가"[최악 치닫는 중동정세]

李대통령, 첫 수석보좌관회의 주재
대통령실·全부처 비상대응 주문
물가·교민안전 대책 등도 지시
정부, 유가·수급 24시간 밀착점검

"경제 불확실성 크다… 필요땐 추경에 중동사태 대비안 추가"[최악 치닫는 중동정세]
중동 불안에도 '삼천피' 사수23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7.37p(0.24%) 내린 3014.47로 장을 마쳤다. 이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이 증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제 불확실성 크다… 필요땐 추경에 중동사태 대비안 추가"[최악 치닫는 중동정세]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필요시 중동 사태에 대비한 추가경정예산 대안 마련을 지시했다. 정부가 중동 지역의 긴장 고조에 따라 기존 추경 외에 '비상예산'을 별도로 검토할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중동 상황이 매우 위급하다"며 "대통령실을 비롯한 전 부처가 비상대응체계를 갖추고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지에 있는 우리 국민들의 안전을 위한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일부 특수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교민 안전을 안보실 중심으로 철저히 챙겨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경제가 불안정해지고 있다. 특히 외환·금융·자본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마련하라"며 "유가 상승이 물가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비상대책을 충분히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또 "지금 추경과 관련해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게 되는데, 정부안이 확정돼 국회에 넘어가는 단계지만, 필요하다면 중동 사태에 대비한 별도 대안도 마련해 국회와 적극 협조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에 따라 국제 에너지 가격과 수급 상황을 24시간 밀착 점검하며 대응에 나섰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이날 중동 사태 관련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미국의 공습 이후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해협 봉쇄를 의결하는 등 향후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제유가는 큰 폭으로 올랐다. 22일 개장과 동시에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76.7달러로 전날보다 2.3% 상승했고, 브렌트유는 80.0달러로 3.9% 뛰어올라 단숨에 80달러선을 넘어섰다. 이 직무대행은 "에너지 가격의 급등 가능성이 큰 만큼 관계기관은 고도의 경계심을 갖고 가격 및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즉각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원유 가격 급등이 국내 자재·물류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물가 전반에 2차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 가격담합, 불법유통 등에 대한 단속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 직무대행은 "정부는 어려운 세수여건 속에서도 유류세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했다"며 "범정부 석유시장점검단을 중심으로 유가 상승에 편승한 불법행위를 철저히 단속하라"고 지시했다.

금융시장에 대한 대응도 병행된다. 그는 "한국은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융시장이 개장하는 국가"라며 "시장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변동성이 발생할 경우 즉각 조치하라"고 주문했다.


중동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외환·채권시장에서도 '위험회피(리스크 오프)' 심리가 강화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까지는 국내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 차질은 없으며, 중동 인근 해역을 운항 중인 한국 선박 32척도 모두 안전한 상황이라고 정부는 밝혔다.

정부는 향후 상황에 따라 기재부를 중심으로 관계기관 합동비상대응반을 본격 가동하고, 금융·에너지·물류·수출입 전반에 걸쳐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유지하며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에 따라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서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