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원팀코리아 기술력으로 우크라 재건 사업 참여해야… 입찰서류 영어 허용이 첫 단추"[fn 25주년 창간기획 종전경제, 1200조 재건시장 열린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폴란드사무소 이희정 소장
공공입찰 서류에 폴란드어만 가능
한국 중기, 언어장벽에 입찰 포기
우크라 신용 리스크 커 지원 필요

【파이낸셜뉴스 바르샤바(폴란드)=박문수 기자】 "정상급 외교 무대나 장관급 회담에서 한국 측 요구사항으로 등장하는 '언어장벽'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영어로만 입찰서를 쓸 수 있게 해줘도 한국 건설사의 사업 수주가 한결 수월해질 것이다."

23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폴란드사무소(우크라이나협력센터)를 이끄는 이희정 소장은 "새로 들어선 한국 정부가 외교적 역량을 발휘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은 물론 EU(유럽연합) 자금을 활용한 폴란드의 각종 공공입찰 수주에 있어 입찰서류 제출 시 영어로도 제출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꿔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폴란드 정부는 각종 입찰에 있어 설계도면부터 사업계획서 일체를 폴란드어로 작성하도록 했다. 폴란드 현지 기업과 유럽계 기업에는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한국 기업에는 일종의 터널로 작용한다.

이 소장은 "폴란드는 여전히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있어 보이지 않는 장벽이 있다"면서 "한국처럼 담당 관료를 메일이나 유선을 통해 미팅을 요청한다고 해서 만나기 어렵고, 사실상 로비스트 역할을 하는 현지 로펌을 거쳐야 하는데 그 비용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입찰이나 업무상 만남을 위해서 간단한 법률적 조언을 구해도 수천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는 "결국 대부분의 한국 중소·중견기업들이 언어장벽에 막혀 참여조차 포기한다"면서 "원팀 코리아가 구성된 만큼 이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폴란드 철도청이 발주한 '폴란드-우크라이나 국제철도 표준궤 전환 사업' 사례를 언급했다. 이 소장은 "800여쪽 분량의 제안요청서를 폴란드어 원문으로만 배포해 원팀코리아(코레일·현대로템 등)가 사실상 출발선에서 밀렸다"고 전했다.

원팀코리아는 민간은 물론 정부와 공기업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직접 참여하기 위해 지난 2023년 국토교통부가 주도해 꾸린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을 뜻한다. 당시 원팀코리아는 우크라이나 정부와 우만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수립, 키이우 지역 스마트 교통 마스터플랜 수립, 주요 철도노선 고속화 및 개선 등 6대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서 전쟁 과정에 막대한 지원을 쏟아부은 미국과 유럽 국가에 비해 한국 정부가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협상력은 물론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는 우려다. 이 소장은 "기술 경쟁력과 민관 합동의 원팀코리아의 경쟁력을 토대로 수주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길어지는 전쟁에 금융문턱도 높아지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 국가 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채무불이행, SD)로 강등했다. 다른 신용평가사인 피치도 지난해 7월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CC에서 C로 낮췄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발주한 사업에 참여해도 기업이 '돈을 떼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소장은 "금융단에서 리스크가 큰데 보험 보증 없이 투자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금융이 막히면 EPC(설계·조달·시공)사도 사업에 못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신용 리스크와 길어지는 전쟁으로 금융이 막힌 것은 국제적인 난제다. 폴란드 시중은행들도 대우크라 송금 자체가 법으로 금지된 상황이다. 직접금융 공급이 불가능한 것이다. 일부 기업들은 조세회피처인 제3국에 SPC를 세워 자금을 대는 방식으로 우회하고 있다.


KIND는 금융의 활성화와 재건사업 수주에 있어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공적개발원조(ODA) 등 국제기구와 한국 정부의 자금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소장은 "현재는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단계"라며 "현지 개발구역 구획·설계까지 '밑그림'을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철저한 타당성 조사로 국제기구와 투자자 설득용 데이터를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mj@fnnews.com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