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25년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발표
전월 대비 0.5p 하락한 90.2...4개월 만에 하락
관세 및 중동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여파
“향후 상호관세 관련 협상과 추경 집행시기 중요”
한국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달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관세 유예로 제품 재고가 전반적으로 감소했음에도 대미 수출 둔화, 지정학적 불확실성, 건설업 부진 등이 이어진 결과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요약)’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0.2로 전월보다 0.5p 하락했다. 넉 달 만에 하락세이자 지난 2월(-0.6p) 이후 최대폭 하락이다.
이에 전산업 CBSI 이달에도 기준선(100)을 회복하지 못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중 주요지수(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를 이용해 산출된다.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3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해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제조업의 경우 관세 유예에 따른 수요처의 재고 비축 움직임으로 재고 수준이 개선됐다"면서도 “철강 알루미늄 및 파생 상품의 관세율이 상승했고 중동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도 발생하면서 기업심리가 소폭 악화됐다”고 말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CBSI(94.4)는 자금 사정(-0.4p)과 업황(+0.7p) 등을 중심으로 5월보다 0.3p 하락했다. 6개월 만에 하락세로 지난해 12월(-3.8p) 이후 최대폭 하락이다.
비제조업 CBSI(87.4)는 매출(-0.6p)과 채산성(-0.5p) 등이 부진하면서 0.7p 하락했다.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이달 하락폭은 지난 2월(-1.9p)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다음달 CBSI 전망치는 비제조업(86.7)이 0.4p 감소했다. 건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부동산업 등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반면 제조업(93.4)는 0.3p 상승했다. 전기장비, 석유, 정제, 코크스, 고무, 플라스틱 등을 중심으로 개선됐다.
다만 이 팀장은 "다음달 CBSI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나 새 정부의 정책, 내수 회복 시기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상호 관세 유예기간 종류를 앞두고 있어 무역 협상이 진행되는 것을 더 지켜봐야 하고 추경 집행 시기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와 기업심리지수를 합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6p 상승한 92.8로 집계됐다.
지난 2024년 11월(93) 이후 최고치다. ESI 원계열에서 계절 및 불규칙 변동을 제거하여 산출하는 ESI 순환변동치는 89.3로 전월보다 0.2p 상승했다. 지난 2023년 7월(0.2p)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