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단독] TBS 사옥 잃을 위기...매달 체납액 2억원 늘어

지난달까지 체납액 34억원 넘어서
건물주 서울시에 사실상 '무단 점유' 중
매달 관리비 지속 체납..."외부자금 들어와야"
노조는 "공영방속 복원" 주장...경영위기 난항 지속

[단독] TBS 사옥 잃을 위기...매달 체납액 2억원 늘어
서울 마포구 TBS 사옥 앞으로 관계자가 지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서울시 지원이 끊긴 이후 경영난에 처한 TBS가 사옥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지난해 9월 출연기관에서 서울시가 빠져나가며 막대한 재원 손실을 입은 TBS는 직원 임금뿐 아니라 건물 임대료·관리비도 1년 넘도록 밀린 상태다.

10일 서울시가 김규남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쌓인 TBS의 임차료 체납액은 34억3300만원에 달한다.

TBS는 현재 서울시가 보유한 '에스플렉스센터'에 입주해 있다. 지난해 재원의 70%를 담당하던 서울시 출연금이 삭감·폐지되면서 임차료 납부에 문제가 생겼다. 본격적으로 임금체불이 시작된 9월보다 이전인 5월부터 미납이 발생하며 한 해 절반 이상 임차료를 내지 못했다.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쌓인 체납액은 건물사용료와 관리비를 포함해 21억원을 넘어섰다.

임대차계약이 지난해 말 종료되면서 올해부터 건물 사용료를 추가로 부과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TBS의 향방이 정해지지 않아 여전히 '에스플렉스센터' 2개 건물 가운데 1개 건물의 11개 층을 사실상 무단 점유하고 있는 상태다. 사용 면적에 따라 부과되는 관리비도 매달 2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체납액에 더해 추가로 내야 할 관리비도 지난달까지 13억여원이 더해졌다.

서울시는 매달 관리비 독촉 고지 공문을 발송하고 채무이행을 독촉 중이다. 다만 TBS의 폐국이 결정된 것이 아닌 만큼 당장 점유이탈물 반환 소송 등 직접적인 퇴거 조치에 돌입하지는 않고 있다.

TBS는 지난 1월 체납해소를 위한 의사결정권자 협의를 통해 "기획재정부로부터 공익법인 지정을 승인받아 외부자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성립했다"며 "기부업체를 섭외하고 행정안전부 등록을 거쳐 대규모 기부업체를 유도해 연체금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난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TBS 재정 지원은 시의회의 결정사항이지만 인수 기업 유치를 통해 방송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민간투자·기부·인수 등 외부 자금을 통한 구제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TBS 노조는 해결책으로 서울시의 지원 재개를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의 출연기관 해제를 취소하고 TBS를 공영방송으로 복원하는 방안이다. TBS 이사회에 서울시 당연직 이사가 남아있는 등 여전히 서울시의 개입이 지속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TBS 양대노조는 지난해부터 서울시 출연기관 지정 해제 고시 취소를 위한 소송에 돌입한 상태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성석우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