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구·산청 등 피해 지역 직접 찾아
정부, 재해보험금 복구비 최대한 빠르게 지급
긴급 대피, 복구 등 생존기반 해결 우선순위로
김민석 국무총리(앞줄 오른쪽)가 20일 폭우로 침수피해를 입은 광주 북구 신안교 인근 주택을 찾아 피해 주민을 위로하고 당시 상황을 듣고 있다. 뉴시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20일 폭우 피해를 입은 경남 산청군 딸기 재배 농가를 방문해 응급 복구 상황을 살피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이례적인 집중호우와 산사태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김민석 국무총리를 포함한 장관들을 긴급 투입하며 신속한 피해 수습에 나섰다.
2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김 총리는 이날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교 일대와 하신마을 일대를 찾아 침수 피해 현장을 점검했다. 이번 폭우로 제방 유실과 도로, 주택, 상가의 침수가 잇따른 가운데, 김 총리는 문인 북구청장으로부터 피해 현황을 보고받고 직접 침수 지역 상가와 주택을 둘러봤다.
김 총리는 현장에서 만난 주민들에게 “정부가 지금의 위기를 하루빨리 수습하고, 국민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과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정부 대응 과정에서 미흡했던 부분이 있다면 뼈아프게 되돌아보고 철저히 점검하겠다. 현장에서 답을 찾고,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하신마을 딸기 육묘장 등 농경지 침수 현장을 둘러보며 “한 해 농사를 위해 정성을 다한 자식 같은 작물들이 한순간에 물에 잠긴 것을 보니 마음이 무겁고 송구하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재민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한 ‘총리실 직통 민원 창구(가칭)’ 도입 계획도 밝혔다. 그는 “지자체나 중앙정부, 국민권익위에도 민원 창구가 있지만 총리실이 별도로 직접 소통하는 ‘총리의 전화’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한쪽은 기존 행정 창구를 통한 절차, 다른 한쪽은 총리실이 주민 목소리를 직접 듣는 투트랙 민원 체계를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의 역할과 관련해 “우선순위는 긴급 대피, 복구, 방역 등 생존 기반 해결이 먼저이며, 이후에는 긴급 방재와 구조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장관들을 피해 지역에 긴급 투입하며 대응 강도를 높였다. 김 총리는 특히 큰 피해를 입은 경남 산청군 산청읍과 신안면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급파했다. 이어 21일에는 재난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 장관이 현장 점검에 나서 피해 주민 위로 및 세밀한 복구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
경남 산청군에는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평균 632㎜, 최대 798㎜(시천면)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 사망 7명, 실종 3명, 부상 5명 등 인명 피해와 함께 농작물 약 520ha 침수 등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송 장관은 이날 산청 방문에 앞서 부여의 시설원예 농가도 들러 응급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농식품부는 가축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침수 지역을 중심으로 긴급 소독과 방역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송 장관은 “퇴수 직후 과수·채소 분야별 전문가를 현장에 신속히 투입해 기술지도를 하고, 손해평가 및 피해조사를 빠르게 마무리해 재해보험금과 복구비를 최대한 빠르게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7월 말까지 피해 신고 및 조사를 완료하고, 8월 중순까지 복구 계획을 수립해 국고 지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