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자진사퇴' 정치권 파장
與 "결단 존중… 보좌진 처우 개선"
장관임명 강행 수순 밟던 대통령실
"국민 눈높이 맞는 후보자 찾을 것"
국회 본회의가 열린 23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자리가 비어있다. 강 의원은 이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를 사퇴했다. 뉴시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결국 스스로 물러났다. 대통령이 임명 강행 의지를 보였음에도 사퇴한 것, 특히 현역 국회의원이 입각하려다 낙마한 것은 처음이라 정치권에 파장이 일고 있다.
강 후보자는 그간 보좌진은 물론 문재인 정부 때 여가부 장관을 상대로 한 갑질, 성균관대 겸임교수 때 무단결강 등이 폭로되며 거센 비판여론을 맞닥뜨렸다. 그럼에도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국회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 요청을 하며 임명 강행 수순을 밟았다.
그러다 이날 강 후보자가 전격 자진사퇴 의사를 밝힌 것이다. 대통령이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을 통해 임명 강행 의지를 밝혔음에도 낙마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이재명 정권 차원에서 받는 비판여론 압박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강 후보자가 사퇴 입장을 공개하기 전에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에게 의사를 전달했고, 이 대통령은 보고를 받은 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여가부 장관 후보자를 조속히 찾겠다"고 밝혔다.
박상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진사퇴 관련 사전협의는 없었다고 일축하며 "강 후보자는 이 대통령과 민주당에 부담을 드렸다는 말씀, 더 성찰하겠다는 고백과 사과도 함께 했다. 결단을 존중한다"며 "이와 별개로 보좌진 처우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후보자 낙마로 이른바 '현역 불패'가 깨진 것도 정치권에 동요를 일으키고 있다. 역대 정권 모두 내각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고초를 겪었지만, 현역 국회의원을 내세웠을 때에는 낙마한 적이 없다.
동료의원이라 팔이 안으로 굽는 면도 있지만, 여야 모두 집권했을 때 인선 부담을 고려해 최후의 보루로 남겨야 한다는 인식에서다.
정치권 관계자는 "그간 여야를 막론하고 현역 의원이 고위공직 후보자로 나서면 낙마까지 시키지 않았던 건, 집권했을 때 입각할 사람을 구하기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암묵적인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재명 정권은 강 후보자 낙마로 당장 정치적 부담은 덜었지만, 향후 인선 난이도가 올라가게 됐다.
uknow@fnnews.com 김윤호 서영준 송지원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