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금주 토요일 업비트 상장폐지를 앞둔 가상자산 아인스타이늄(EMC2)이 비정상적으로 폭등하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어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통상 상장폐지를 앞둔 가상자산의 경우, 해당 가상자산 재단을 비롯해 전문 트레이딩 업체에서 소위 '마지막 한탕'을 위해 물량을 임의로 넣거나 뺴며 가격을 끌어올린 뒤 고점에서 물량을 던지는 방식으로 차익을 챙기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일반 투자자의 경우 가격 폭락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자칫 상승세만 보고 들어갔다가 투자 손실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28일 오후 1시 현재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내달 3일 상장폐지를 앞둔 가상자산인 아인스타이늄(EMC2)이 폭등하고 있다. 아인스타이늄은 이날 장중 475원까지 치솟으며 비정상적인 거래 패턴을 보이고 있다. 아인스타이늄은 글로벌 시세와도 크게 벌어져 있다. 28일 오후 가상자산 시황 분석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아인스타이늄 한개 가격은 62원으로, 같은 시간 390원대인 국내 시가 보다 약 6배 낮다. 또, 약 28% 상승한 것으로 나오는 코인마켓캡과 비교하면 단기간 320% 치솟은 국내 아인스타이늄 상승률이 글로벌 대비 상당히 높게 책정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은 가격 펌핑은 이날 오전 11시반부터 12시 40분까지 약 한시간 사이에 이뤄졌다. 12시반 150원대였던 아인스타이늄은 12시 40분경 400원대를 뚫었다. 업비트는 지난 24일 아인스타이뉴에 대한 거래종료 일정을 공지하며 "거래지원 종료까지 급격한 시세 변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당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거나 거래하시는 회원은 각별히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한바 있다. 한편 이날 정오, 사전에 업비트에서 투자 유의종목으로 지정하고 상장폐지 결정을 공지한 총 23개 가상자산의 거래가 종료됐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6-28 13:40:16[파이낸셜뉴스] 16일 가상자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BTC)은 다시 4600만원 아래로 조정됐고, 전날 300만원 가까이 근접한 이더리움(ETH)도 10만원 가량 빠진 289만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의 사이먼 피터스 연구원은 "최근 비트코인은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지만, 확실하게 4만 1000달러(약 4583만원, 글로벌 비트코인 가격 기준) 선을 돌파하진 못하는 상태"라며 "비트코인 가격이 5만달러(약 5590만원)를 넘기는 것에 대해 모두가 낙관하기 위해선 좀더 확실한 상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으론 가상자산이 기존 금융서비스 산업에 통합되는 제도적, 산업적 진전이 가시화된다면 시장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심리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일례로 가상자산 펀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은 금주 스탠리 드러켄밀러, 대니얼 러브 서드포인트 등 헤지펀드 공룡들로부터 시리즈B 단계의 7000만달러(약 782억원)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은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인가를 신청한 상태다. 또 40조달러(약 4만 4716조원)의 자산을 수탁하고 있는 미국 스테이트 스트리트(State Street) 은행은 지난주 가상자산 전담 부서를 신규 출범하는 등 기존 금융기관들의 가상자산 시장 진출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업비트에서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가상자산들의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 엘비알와이크레딧(LBC)이 지난 24시간동안 약 27% 급등했고, 픽셀(PXL), 트웰브쉽스(TSHP), 이그니스(IGNIS), 아인스타이늄(EMC2), 엔도르(EDR), 퀴즈톡(QTCON) 등이 13~19% 뛰었다. 덩달아 엠블(MVL), 아이콘(ICON) 등 몇몇 국내 가상자산들도 10%대 반등하며 상승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상폐 직전 혹은 투자유의 종목에 지정된 가상자산들이 가격이 급격히 뛰어오르는 현상은 '상폐빔'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빈번히 발생해왔다. 물량을 대량으로 가진 세력이나 고래들이 마지막이라 생각해 인위적으로 가격을 올린 뒤 시세차익을 가져가기 위함인데, 이때 가격 상승을 보고 들어가는 일반 투자자들은 마찬가지로 세력이 만들어내는 대량 매도 및 폭락 시점에 제때 대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 16일 업비트 원화마켓에 상장된 모든 가상자산을 구성 종목으로 시장 전체 흐름을 지수화한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8593포인트로 전날보다 0.59% 하락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의 지수인 업비트 알트코인 인덱스(UBAI)도 1.05% 내렸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6-16 13:03:06[파이낸셜뉴스] 15일 오전 비트코인(BTC)은 4600만원을 넘기며 약 2% 상승했다. 이더리움(ETH)도 300만원에 근접하며 3일 연속 올랐다. 업비트 유의종목 지정 및 원화 상장폐지 가상자산들은 비정상적으로 뛰어오르고 있다. 15일 오전 기준 페이코인(PCI)이 61% 급 반등했고 각각 옵저버(OBSR), 디마켓(DMT) 등이 20% 뛰었다. 특히 페이코인은 지난 24시간 동안 장중 고가가 1020원으로, 저가 470원 대비 117% 높게 나타나며 큰 변동성을 보였다. 그밖에 업비트 코인정리에 포함된 마로(MARO), 아인스타이늄(EMC2), 솔브케어(SOLVE), 퀴즈톡(QTCON) 등도 9~13% 상승했다. 상폐 직전 혹은 투자유의 종목에 지정된 가상자산들이 가격이 급격히 뛰어오르는 현상은 빈번히 발생해왔다. 물량을 대량으로 가진 세력이나 고래들이 인위적으로 가격을 올려 시세차익을 가져가기 위함이다. 이때 일반투자자들도 가격이 급격히 오르는 종목들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차익을 얻는 투자자는 소수이고 대부분이 손실을 본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고래들이 고점에서 물량을 다 던지면 초단위로 가격이 폭락하는데, 24시간 돌아가는 코인 시장에서 일반투자자들이 이를 미리 알고 대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장주를 비롯해 몇몇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들이 오름세로 전환되면서 업비트 공포지수도 15일 7계단 상승, 공포에서 중립단계로 전환됐다. 중립단계는 현재 시장이 참여자들의 지지와 저항을 받고 있는 구간으로, 시장에 거래량과 유동성이 더 많아지면 단기간 추가 움직임의 중요 결정 단계로 작용할 수 있다. 15일 업비트 원화마켓에 상장된 모든 가상자산을 구성 종목으로 시장 전체 흐름을 지수화한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8644포인트로 전날보다 3.54% 상승했다. 15일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의 지수인 업비트 알트코인 인덱스(UBAI)도 3.04% 올랐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6-15 11:43:24[파이낸셜뉴스] 14일 오전 비트코인(BTC)은 4510만원대로 전날보다 13% 가까이 급등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동안 업비트에서 5311억원치 거래되며 일 거래대금이 가장 많았다. 업비트 총 거래대금 중 비트코인 비중도 13.22%를 차지하며 평소보다 3~4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매체인 야후 파이낸스는 이같은 비트코인의 급등 배경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비트코인 결제 재개 가능성 제시를 들었다. 머스크 CEO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서 "미래에 비트코인 채굴자 절반 이상이 청정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면 테슬라는 비트코인 거래를 다시 허용할 것"이라 입장을 밝힌 것이 비트코인 가격 상승 촉매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소 FTX의 조나단 치즈먼 장외거래 및 기관 영업 책임자는 "비트코인에 대한 입장이 완화되고 멀지 않은 목표치를 제시하는 것 같은 일론 머크스 CEO의 트윗은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인 모멘텀을 더했다"며 "(그의 언급 외에도) 이미 가상자산 랠리는 진행형이라 볼 수 있는데, 미국 상장사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비트코인 구매가 임박했다는 관측과 가상자산을 디지털 혁신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G7(주요 7개국)의 언급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비트의 유의종목 발(發) 악재는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 11일 업비트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픽셀(PXL)이 14일 기준 10.20% 내렸다. 픽셀은 전날에도 39% 급락, 이틀 연속 하락률 1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엔도르(EDR), 트웰브쉽스(TSHP), 아인스타이늄(EMC2), 람다(LAMB) 등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다른 종목들도 3~9% 일제히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공포를 여실히 나타내고 있다. 14일 오전 쎄타퓨엘(TFUEL)은 651원으로 전날보다 32.32% 급등하며 업비트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쎄타퓨엘은 지난 한주간 상승률 27%를 기록하며 업비트 상장 종목 중 가장 높은 주간 상승률을 나타내는 등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업비트 원화마켓에 상장된 모든 가상자산을 구성 종목으로 시장 전체 흐름을 지수화한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8349포인트로 전날보다 6.41% 상승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만 집계한 업비트 알트코인 인덱스(UBAI) 지수도 4.43% 올랐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6-14 12:05:44[파이낸셜뉴스] 13일 가상자산 시장은 다시 주말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틀전 4210만원대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BTC)은 13일 오후 4000만원 선을 겨우 지키고 있다. 이더리움(ETH)도 272만원으로 이틀동안 10만원 가량 빠졌다. 가상자산 투자 커뮤니티 불퍼크스(BullPerks) 콘스탄틴 코간 대표는 "아시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실버게이트 은행 네트워크를 통해 미국 US달러에 접근성을 잃는 등 가상자산과 관련한 중국 발(發) 우려들이 시장을 아래로 끌어내리고 있지만,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선 사실상 시장에 더 긍정적인 감정을 가져오고 있다"며 국제결제은행이 '흥미로운 실험(interesting experiment)'이라 표현한 중앙아메리카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정화폐 채택을 예로 들었다. 전날 업비트에선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가상자산)들의 대거 급락세가 연출됐다. 특히 업비트 하락률 상위 10개 종목 중 1개 종목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직전날 업비트에서 원화마켓 상장폐지를 발표하거나 투자 유의종목으로 선정한 가상자산들이다. 13일 기준 약 39% 급락하며 하락률 1위 종목에 이름을 올린 픽셀(PXL)을 비롯해 엔도르(EDR), 아인스타이늄(EMC2), 트웰브쉽스(TSHP), 디마켓(DMT) 등이 일제히 31~36% 떨어졌는데 이들은 모두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가상자산들이다. 오는 18일 업비트 원화마켓 페어에서 삭제될 마로(MARO)와 페이코인(PCI), 옵저버(OBSR), 솔브케어(SOLVE), 퀴즈톡(QTCON)도 전날 모두 30%대 곤두박질쳤다. 업비트는 해당 가상자산들의 원화마켓 페어 제거 사유로 '페어 유지를 위한 내부 기준 미달'을 이유로 들었다. 13일 업비트 원화마켓에 상장된 모든 가상자산을 구성 종목으로 시장 전체 흐름을 지수화한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7846포인트로 전날보다 3.27% 하락,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만 집계한 업비트 알트코인 인덱스(UBAI) 지수도 0.78% 내렸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6-13 12:57:00[파이낸셜뉴스] 22일 오전 비트코인(BTC)은 업비트에서 개당 6700만원대에 거래되며 2% 가까이 내렸다. 지난 주말 8000만원대까지 상승했던 비트코인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시스템 트레이딩 플랫폼 트레이드스테이션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올리지 않고 있고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 징후가 고조되고 있다"며 "다음주 연준 회의를 통해 달러 인플레이션 징후가 감지되고, 가상자산 자체의 희소성이 맞물리면 새로운 가격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낙관하기도 했다. 반면 이더리움(ETH)은 이틀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2일 오전 이더리움 가격은 303만원으로 전날 보다 4% 넘게 올랐다. 블록체인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 매수를 위해 비트코인을 매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24시간동안 업비트에선 메탈(MTL)이 1조 4000억원치 거래되며 24.2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국내 가상자산인 메디블록(MED)이 14% 뛰었고, 옵저버(OBSR)와 디마켓(DMT) 등이 각각 13%,, 10% 올랐다. 반면 가장 많이 떨어진 종목은 아인스타이늄(EMC2)으로 17.36% 하락했고 에스티피(STPT), 던프로토콜(DAWN), 아더(ARDR)가 일제히 10%대 내렸다. 22일 업비트 원화마켓 전체 거래대금은 16조원으로 전날보다 10조원 이상 빠졌다.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도 1만 1619포인트로 전날보다 2.3% 하락, 지난 주말부터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4-22 12:07:37[파이낸셜뉴스] 15일 오전 비트코인(BTC)은 6910만원대로 전날 최고가 7145만원 대비 3% 가량 빠졌다. 전날 220만원대에서 거래된 이더리움(ETH)도 이날 개당 215만원으로 소폭 조정됐다. 지난 주말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가상자산 대장주들이 숨을 고르는 사이 투심은 알트코인으로 몰렸다. 지난 24시간동안 업비트에서 총 1조원이 거래되며 일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칠리즈(CHZ)는 전날보다 9.04% 올랐다. 디카르고(DKA)와 플레이댑(PLA)은 각각 74%, 51% 급등했다. 지난 한주간 업비트에서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은 차례로 칠리즈(+413%), 픽셀(PXL,+322%), 오브스(ORBS,+290%)였다. 같은 기간 업비트 원화마켓 평균 일 거래대금은 9조원,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 평균 일 거래대금은 8조원으로 나타났다. 15일 기준 하락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으론 총 11.55% 떨어진 아인스타이늄(EMC2)이 이름을 올렸고, 11.11% 하락률을 기록한 무비블록(MBL)이 그 뒤를 이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언급해온 도지코인(DOGE)이 마찬가지로 7.24% 내려앉았고, 비트코인에스브이(BSV), 비트코인골드(BTG), 이더리움클래식(ETC), 이오스(EOS) 등 주요 종목들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3-15 10:34:16[파이낸셜뉴스] 비트코인은 7일 4172만원으로 전날보다 3.22% 오르며 일주일 연속 상승했다. 비트코인 전일 거래대금은 5415억원으로 업비트 종목 중 가장 많았다. 전날 개당 184만원에 거래됐던 이더리움은 7일 180만원으로 하락했다. 업비트는 비트코인의 상승이 나머지 알트코인 종목에도 매우 강한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했다. 단일 비트코인 종목과 업비트 알트코인 인덱스(UBAI) 지수의 상관관계가 7일 0.98을 기록하며 매우 강한 양의 관계를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 업비트 알트코인들은 이날 비트코인을 따라 나란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골렘(GLM)이 하루동안 34.59% 뛰었고, 아인스타이늄(EMC2)은 약 20% 상승했다. 이밖에 에이다(ADA), 휴먼스케이프(HUM), 퀀텀(QTUM) 등이 15~19% 가량 올랐다. 7일 업비트 원화마켓 전체 거래대금은 3조원으로 전날보다 약 10% 빠졌다. 반면 투자자의 거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업비트 공포지수는 7일 전날보다 2포인트 상승한 '극단적 탐욕' 상태를 가리켰다. 극단적 탐욕은 높은 거래량과 강한 변동성을 동반한 상승장으로 시장 분위기가 급변할 수 있는 구간이다. *코인 브리핑은 업비트, 블록포스트, 파이낸셜뉴스에서 제공하는 일일 가상자산 시황입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1-02-07 12:28:04[파이낸셜뉴스] 8일 오전 9시 기준 아인스타이늄(EMC2) 가격은 73.8원으로 전날보다 18.84% 상승했다. 해당 종목은 장 중 고가가 81.2원으로 저가 60.4원 대비 34.44% 높게 나타나며 큰 폭으로 변동했다.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8일 오전 9시 기준 1720.15포인트로 전날보다 0.32% 상승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의 지수인 UBAI도 0.11% 올랐다. 원화마켓 총 거래대금은 1872억원으로 전일보다 55.79% 증가했다. 알트코인들의 총 거래대금 또한 1565억원으로 전일보다 51.6% 늘었다. 총 거래대금 중 비트코인 비중은 16.39%다. 8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168만원으로 전날보다 0.4% 올랐다. 비트코인 전일 거래대금은 306억원으로 업비트 종목 중 가장 많았다. 테마별로 보면 50% 이상의 테마 가상자산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게임시장 관련 가상자산들의 하락 폭이 2.81%로 가장 컸다. 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콘텐츠 관련 가상자산들은 하락장 속에서도 소폭 상승했다. 지난 한 주간의 동향을 살펴보면 UBMI 지수는 1672.75포인트로 시작해 1720.15포인트로 마감했다. 지난주 가상자산 전체 원화마켓 일 평균 거래대금은 2506억원이고, 알트코인 원화마켓 일 평균 거래대금은 2025억원으로 나타났다. 주간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은 왁스(WAXP, 72.61%), 스톰(STORM, 52.3%), 질리카(ZIL, 50.56%)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0-06-08 09:50:17[파이낸셜뉴스] 3일 오전 9시 기준 아인스타이늄(EMC2) 가격은 69.1원으로 전날보다 26.56% 상승하며 업비트 상장 종목 중 가장 높을 오름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아인스타이늄 전일 거래대금은 이전 30일 평균 거래대금과 비교해 약 10배 증가해 총 20억원을 기록했다. 업비트 마켓 인덱스(UBMI) 지수는 3일 오전 9시 기준 1601.88포인트로 전날보다 1.12% 올랐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들의 지수인 UBAI도 1.41% 상승했다. 원화마켓 총 거래대금은 1854억원으로 전일보다 41.56% 감소했다. 알트코인들의 총 거래대금 또한 1401억원으로 전일보다 41.35% 줄었다. 총 거래대금 중 비트코인 비중은 24.45%다. 3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088만원으로 전날보다 1.01% 올랐다. 비트코인 전일 거래대금은 453억원으로 업비트 상장 종목 중 가장 많았다. 디센트럴랜드(MANA)는 3일 오전 9시 기준 44.6원으로 전날보다 9.31% 상승했다. 해당 종목은 장 중 고가가 52.6원으로 저가 40.4원 대비 30.2% 높게 나타나며 큰 폭으로 변동했다. 테마별로 보면 대부분의 테마 가상자산이 소폭 상승한 가운데 콘텐츠 생산 및 중개 관련 가상자산들의 상승 폭이 3.6%로 가장 컸다. 반면 소셜네트워킹 관련 가상자산들은 상승장 속에서도 소폭 하락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2020-05-03 09:4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