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김혁순 바이오메디컬학과 공동연구팀이 신규 면역조절세포인 조절 선천성 림프구의 세포 표현형을 발굴, 이를 이용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억제하는 세포기반 치료 기전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김 교수는 건국대 의과대학 최완수 교수 공동연구팀과 함께 'IL-27로 유도된 PD-L1highSca-1+ 선천성 림프구의 IL-10 분비 의존적 접촉성 과민증 억제 효과'라는 논문을 학술지(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게재했다. 김 교수 공동연구팀은 신규 면역세포인 선천성 림프구(innate lymphoid cell; ILC)에 특정 면역조절 기능을 갖는 세포가 있고 그 세포 표면에 특이적 분자가 높게 발현하는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이 세포를 분리해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에 투여할 경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인 'IL-10'을 분비, 염증성 면역질환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앞서 연구팀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을 분비할 수 있는 선천성 림프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난 2016년 세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염증이나 조절 기능에 양면적 영향을 미치는 IL-27 사이토카인의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 활성화 기전,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의 고유 세포 표현형을 동시에 확인했다"며 "분리된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에 선택적인 IL-27 사이토카인 자극으로 다양한 염증질환에 활용 가능한 선천성 림프구 기반 세포치료제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후속연구로 건선이나 기타 자가면역질환 등의 적응증 규명을 진행하고 있다"며 "염증질환의 만성화 및 재발에 지속가능한 치료 후보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2024-03-05 13:47:19[파이낸셜뉴스] 세포속 특정 단백질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일종의 코디네이터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이 발견했다. 이번 발견으로 향후 염증성 질환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김명희 박사팀은 단백질 합성 효소 'EPRS1'이 몸에서 염증이 생길때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면역력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은영 박사는 "새로운 항염증 신호전달 경로를 밝혀낸 것으로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감염됐을 때 방어수단으로 일어나는 복합적 면역 반응이다. 그러나 염증이 해소되지 않고 만성 염증으로 이어지면 염증성 질환은 물론 심뇌혈관 질환이나 암까지 유발하는 질병의 근원이 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EPRS1 단백질은 우리가 병원성 세균에 감염되거나 염증성 장 질환이 발생하면 특정 신호전달 체계를 조정해 염증을 완화시키고 면역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즉 EPRS1 단백질이 염증 환경에 노출되면 염증 억제 신호전달에 중요한 'AKT'라는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 단백질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EPRS1이 없는 실험쥐를 패혈증과 염증성 장 질환이 걸리게 한뒤 관찰했다. 그결과, 이 단백질이 없는 쥐는 항염증 면역 기능이 떨어져 정상적인 실험쥐에 비해 비해 생존율이 떨어졌다. 김명희 박사는 "EPRS1의 염증 완화 현상은 인체 면역환경을 조절하는 항상성 유지 매개체로도 기능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모든 세포에 상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는 효소 복합체가 단백질 합성 기능이 있다"고 말했다. 김명희·이은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0월 2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2-11-14 13:57:30TXNIP와 TRX가 세포 내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라 분리되고 결합하는 과정 국내 연구팀이 활성산소에 의해 염증성 질환이 유발되는 과정을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생체방어시스템연구센터 김명희 박사팀은 활성산소가 어떠한 요인과 과정에 따라 암, 당뇨와 같은 염증성 질환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활성산소는 인간의 정상 세포의 활동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세포 내에 적당한 농도로 존재하면 세포증식과 분화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나 적외선, 바이러스 감염, 고혈당 등의 환경에서 세포의 스트레스에 의해 과다하게 증가하게 되면 암, 당뇨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떤 과정으로 활성산소가 염증 조절 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정확한 연구 결과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김명희 박사 연구팀은 염증 조절 단백질 'TXNIP'와 항산화효소 단백질 'TRX'의 결합체의 상호작용이 활성산소에 의한 염증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정상적인 세포 환경에서 TXNIP가 TRX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 TRX와 함께 결합체로 존재하다가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 활성산소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결합체에서 TXNIP가 분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분리된 TXNIP는 염증조절인자인 '인터루킨-1베타(IL-1β)의 분비를 촉진시켜 염증성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활성산소 농도가 정상으로 돌아가면 TXNIP와 TRX가 다시 결합체를 형성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명희 박사는 "TXNIP-TRX결합체의 고해상도 입체구조는 염증 및 당뇨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기반이 될 것"이라며 "항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중요 타깃물질로 연구되는 TRX의 기능 억제 물질 개발에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14-01-16 14:58:16국내 연구진이 염증과 당뇨병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최인표 박사팀은 스위스 연구팀과 공동으로 염증과 당뇨병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 이들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염증 반응은 우리 몸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며 암이나 당뇨 같은 질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는 염증 ‘싸이토카인’이라는 단백질들이다. 이들은 여러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며 우리 몸의 중요한 기능을 조절한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염증조절결합체를 이루는 새로운 유전자 ‘TXNIP(VDUP1)’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 유전자가 ‘NLRP3’라는 유전자와 결합하며 IL-1’이라는 싸이토카인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이들 두 유전자 중 하나만 모자라도 IL-1 분비와 염증반응이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도 밝혔다. 연구진은 이어 생쥐 췌장세포에 포도당을 넣으면 VDUP1이 증가하고 인슐린을 넣으면 감소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즉 VDUP1이 포도당에 의한 IL-1 생산과 염증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최인표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염증조절, 염증과 당뇨병의 상관관계 그리고 염증과 당뇨병 질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21일자 네이처 이뮤놀로지에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2009-12-22 22:31:24국내 연구진이 염증과 당뇨병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최인표 박사팀은 스위스 연구팀과 공동으로 염증과 당뇨병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 이들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염증 반응은 우리 몸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며 암이나 당뇨 같은 질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는 염증 ‘싸이토카인’이라는 단백질들이다. 이들은 여러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며 우리 몸의 중요한 기능을 조절한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염증조절결합체를 이루는 새로운 유전자 ‘TXNIP(VDUP1)’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 유전자가 ‘NLRP3’라는 유전자와 결합하며 IL-1’이라는 싸이토카인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이들 두 유전자 중 하나만 모자라도 IL-1 분비와 염증반응이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도 밝혔다. 연구진은 이어 생쥐 췌장세포에 포도당을 넣으면 VDUP1이 증가하고 인슐린을 넣으면 감소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즉 VDUP1이 포도당에 의한 IL-1 생산과 염증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최인표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염증조절, 염증과 당뇨병의 상관관계 그리고 염증과 당뇨병 질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21일자 네이처 이뮤놀로지에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2009-12-22 19:03:40국내 연구진이 한약재와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는 계피가 항염증, 항암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순천향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윤형선 교수와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이주영교수 등 한·미·일 3개국 공동연구팀은 계피의 유효성분인 ‘계피알데히드’가 선천성면역계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항암·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배양된 세포에 계피알데히드를 처리한 결과 계피알데히드가 ‘톨 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s)’의 활성을 억제해 암과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NFkB와 IRF의 활성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톨 유사 수용체는 태어나자마자 인체가 외부의 항원을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성 면역을 조절하는 세포 표면의 수용체이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한약과 전통식품에 많이 들어 있는 계피가 선천성 면역계에 작용해 질병을 예방하는 기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생약학 전문 국제학술지인 ‘생화학 약물학(Biochemical Pharmacology)’ 인터넷판에 최근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이재원기자
2007-10-01 13:48:35[파이낸셜뉴스] 제이비케이랩은 자가면역질환, 소화성궤양, 염증성장질환 등에 초점을 맞춘 한방 제품인 '화평원'과 '양위보'를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방 약재에서 추출한 100% 천연물로 과도한 면역 또는 염증반응으로 인한 체내의 다양한 불편한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청열약(淸熱藥)인 화평원(火平元)은 과도한 면역반응에 제동을 걸어 염증을 유발하는 실열(체질열), 허열(저항열) 등 과다하게 항진된 열을 끄고 심신을 평화롭게 해준다. 죽엽, 노근, 미강, 엉겅퀴, 인진호, 황금 등 30여 가지 약제 추출물이 들어 있다. 사심약(瀉心藥)인 양위보(養胃補)는 심적 스트레스를 줄여 위통, 구토, 설사, 담적(痰積) 등을 해소하고 위장점막 재생을 도와주는 약으로 기능성소화불량, 역류성식도염, 위하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산사자, 사인, 황금, 백출, 복령, 진피, 감초, 홍삼 등 30여 종의 생약 추출물이 함유돼 있다. 제이비케이랩은 양한방 지식의 조합에 따른 처방 구성, 엄선된 한방 원료, 천연 바다 미네랄을 첨가한 약효 상승효과, 부작용 없음 등이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자가면역질환을 비롯한 각종 염증성질환 및 급만성 위장질환을 호소하는 사람과 스트레스에 노출돼 허열이나 실열이 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추천했다. 이들 제품은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를 줄인 진동수 48Hz의 물을 사용해 생산했다. 시중 드링크 제품은 입자 크기가 진동수 130Hz 수준으로 커서 실제적인 생체흡수력이 떨어지는 반면 제이비케이랩 한방제품은 물 입자가 작아서 생체이용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유명 약수는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고 물 분자 클러스터가 작은 것을 공통점으로 하고 있다. 해독력 또는 흡착력을 가진 고활성 미네랄로 400여 가지의 잔류농약 및 중금속을 중화하는 기능도 겸한 디톡스 제품이기도 하다. 장봉근 대표는 "스트레스와 독소의 홍수 시대에 면역기관인 인후, 편도, 흉선, 림프계 등은 과도한 열과 염증을 생산하기 쉽고 이를 꺼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번에 나온 한방제품은 단순히 몸에 불필요한 잔열과 염증을 몰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조직재생 효과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화평원과 양위보는 약국 전용 제품으로 셀메드 가맹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20-12-10 20:02:18[파이낸셜뉴스] 콜라겐에 대한 과장·허위 광고와 정보가 넘쳐나고 있는 가운데 김세권 국립부경대 명예교수가 ‘콜라겐 제대로 알고 먹자’(신일북스)를 최근 출간했다. 김 교수는 “최근 콜라겐에 관한 TV 광고가 자주 등장하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콜라겐의 효과가 과장되거나 허위인 정보들이 많다”며 “소비자들이 허위광고에 속지 않도록 콜라겐에 관한 상세하고 정확한 내용을 다룬 전문 서적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책을 집필하게 됐다”고 밝혔다. 콜라겐은 우리 몸 전체 단백질 중 약 30%를 차지해 생체 구조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상 단백질이다. 콜라겐은 피부, 뼈, 연골, 힘줄, 인대 등 결합조직에 주로 존재하며, 조직에 견고함과 탄력성을 제공해 생체조직의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우리 몸에 존재하는 60조 개 이상의 세포는 생존과 증식을 위해 지지체가 필요한데, 콜라겐이 세포의 지지체로 작용해 세포가 분열하고 증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콜라겐은 여러 장기나 몸 전체를 구성하거나 지지하며 장기와 장기를 결합하고 경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몸속에서 콜라겐이 부족하면 결합조직의 악화로 피부노화, 골다공증, 관절염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콜라겐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섬유화 같은 상태를 유발해 간경변, 폐 섬유증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콜라겐이 정확히 무엇인지 설명하고, 생체 내에서 콜라겐이 합성되는 과정, 육상동물의 콜라겐과 생선 콜라겐의 차이점, 콜라겐 대사로 발생하는 고혈압, 간섬유화, 뼈질환, 염증, 난청과 시각장애, 근력저하, 혈관이상과 신장병 등에 대해 기술한다. 이와 함께 콜라겐의 의학적 활용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항고혈압 활성, 항노화 활성, 피부장벽 기능개선, 골다공증 예방효과, 항암효과, 치매예방효과, 항균효과, 비만예방, 면역조절작용, 자외선 차단효과,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관절과 뼈에 대한 효과 등 생리기능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5-09 10:23:44[파이낸셜뉴스] 젬백스앤카엘은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ODD)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지정은 PSP 치료제로서 GV1001의 가능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향후 FDA의 다양한 지원 제도를 통해 개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세계 최초 PSP 치료제 개발에 속도감이 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FDA의 희귀의약품 지정 제도는 미국 내 20만명 이하 환자에게 발생하는 희귀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 △임상 비용 최대 25% 세액 공제 △신약 허가 신청 수수료 면제 △시판 후 7년간 시장 독점권 부여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젬백스는 PSP 치료제 GV1001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을 계획 중에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서 향후 임상 단계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은 바 있다. GV1001은 항노화, 항산화, 항염 등 텔로머라제의 다양한 효능이 동시다발적으로 발현되는 다중기전 약물이다. 특히 뇌의 면역 환경을 개선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기전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PSP 등 신경퇴행성질환에서의 치료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젬백스는 지난해 국내 최초 PSP 2상 임상시험을 완료했으며 임상시험 결과 내약성 및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경향성을 확인했다. 앞서 진행된 전임상시험에서는 GV1001이 운동능력과 공간인지 능력 회복, 타우 단백질 손상 억제 등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능을 보인 바 있다. 현재 국내에서 2상 임상시험(6개월 투약 완료)에 더해 12개월 연장 임상시험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젬백스는 이를 통해 PSP 환자에서 18개월에 달하는 GV1001의 장기 투여 효과와 안전성 데이터를 확인할 예정이다. PSP는 비정형파킨슨증후군으로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핵과 관련된 신경세포가 퇴화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균형 상실, 인지 기능 장애, 근육 경직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어 신속한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젬백스 관계자는 “GV1001은 국내에 이어 FDA에서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서 PSP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았다”며 “세계 각국에서 희귀의약품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펴고 있는 만큼 효율을 높인 글로벌 임상시험으로 세계 최초 PSP 치료제 개발에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5-02 14:10:27[파이낸셜뉴스] 아모레퍼시픽이 피부에서 진행되는 노화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강력한 항염 효능을 지닌 인삼의 희귀 사포닌 진세노믹스의 피부 저속 노화 효능을 밝혀냈다. 25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진세노믹스의 피부 저속 노화 효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Ginseng Research(인삼 연구 저널)' 온라인판에 지난달 게재했다. 최근 노화 학계에서는 '염증성 노화'에 주목하고 있다. 염증성 노화는 나이가 들수록 심화되는 저강도의 만성 염증 상태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염증 유발 신호물질)의 상승이 신체 기능의 저하로 이어진다. 염증성 노화는 피부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나이가 들면서 피부 내 염증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콜라겐 감소나 장벽 약화 등의 구조적 손상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피부에서 실제 나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가속 노화'가 나타날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는 노화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고, 피부 표피의 노화를 가속하는 원인도 확인했다. 관련 시스템을 활용해 강력한 항염 효능을 지닌 인삼의 희귀 사포닌 진세노믹스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노화로 인해 손상된 표피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효능도 밝혀냈다. 서병휘 아모레퍼시픽 R&I센터장 CTO는 "이번 연구는 내·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피부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며 "진세노믹스가 피부 노화 속도를 조절하는 유효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라고 밝혔다. 한편, 진세노믹스는 인삼에 극소량 존재하는 희귀 사포닌을 바이오컨버전 기술로 6000배 이상 농축한 것이다. 아모레퍼시픽은 50년 넘게 이어온 인삼 연구의 정수인 진세노믹스를 브랜드 핵심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2025-04-25 1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