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北 땅굴기술, 하마스에 전수됐을수도”...이스라엘 안보단체 분석

“北 땅굴기술, 하마스에 전수됐을수도”...이스라엘 안보단체 분석
제4땅굴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지난 7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후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무력 충돌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땅굴 기술이 하마스에 전수되었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이 헤즈볼라에 전달한 기술, 하마스로 전수 가능성

17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안보단체 ‘알마 연구·교육 센터’의 새리트 제하비 대표는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하마스가 북한으로부터 직접 땅굴 기술을 얻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북한이 헤즈볼라에 기술을 전달했고, 헤즈볼라에 전수된 기술이 하마스 손에 들어간 것은 맞아 보인다”고 주장했다.

제하비 대표는 “헤즈볼라의 땅굴 기술은 북한 지식에 기초한 것”이라며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서 활용된 터널도 간접적으로 북한의 기술이 활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스라엘 지형을 보면 어느 지역은 콘크리트이고, 어느 지형은 사막”라며 “콘크리트 지형은 북한과 비슷한 지형으로 이 부분에서 (기술적) 도움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제하비 대표는 “하마스에 (기술이) 전달돼 굴착된 땅굴은 전략적 터널”이라며 “무장단원들과 차량 및 군수품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2021년 6명 파견해 굴착공법 전수한 북한

한편 해당 단체는 지난 2021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가 굴착 공법을 헤즈볼라의 ‘지하드 건설 재단’에 제공하고, 시리아 국경 근처에 북한 인력 6명을 파견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아울러 해당 보고서는 헤즈볼라에 전달된 이 땅굴 기술이 하마스에도 전달돼 이른바 ‘하마스 메트로’(Hamas Metro)로 불리는 땅굴 건설에 활용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우리 합동참모본부도 17일 하마스가 북한과 무기거래, 전술교리, 훈련 등 여러 분야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합참은 △휴일 새벽 기습공격 △대규모 로켓 발사로 ‘아이언돔’(이스라엘의 로켓포 방어체계) 무력화 △드론 공격으로 분리 장벽에 설치된 각종 감시, 통신, 사격통제 체계 파괴 후 침투 등 양상이 북한의 전술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