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마켓워치 >

[단독]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판매처' 신영증권, MBK 형사고발 저울질 [fn마켓워치]

해당 유동화증권 규모는 약 4000억원 규모...하나·현대차證도 검토중
개인투자자들 '불완전판매 이슈' 삼으면 대표 중징계 및 배상문제 불가피

[단독]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판매처' 신영증권, MBK 형사고발 저울질 [fn마켓워치]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홈플러스 채권 판매에서 가장 부담을 느끼는 증권사는 신영증권이다. 신영증권은 홈플러스 유동화증권의 주관사로 리테일 창구역할을 맡았다. 불완전판매 창구 논란의 한 가운데 있는 셈이다.

현재 신영증권은 이같은 논란을 피해하기 위해서라도 MBK의 움직임에 주시하고 있다.

실제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판매처인 신영증권이 MBK가 사기혐의가 강하다고 보고 형사고발 카드까지도 검토하고 있어 그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vs MBK의 '사기판매' 갑론을박

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영증권은 MBK가 기업회생을 예상했음에도 단기물을 증권사를 통해 기관투자자과 개인투자자들에게 피해를 끼쳤다고 판단, 사기혐의가 짙다고 보고 형사고발을 고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만간 법무법인을 선정, 다른 증권사와 공동 대응하는까지 검토하고 있다.

신영증권 고위 관계자는 "MBK 반응을 보고 (형사고발) 대응을 할 지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신영증권 사장과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지난 주말 미팅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김 부회장은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을 할 수밖에 없는 정황을 설명했고, 신영증권 측은 사기발행에 무게를 두고 캐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MBK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이미 부채비율이 과도한 데다, 일부 상거래 채권 상환까지 지연되는 상황에서 MBK가 신용평가 하락을 짐작도 하지 못했다는 해명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 CP 투자자의 손실이 예상되는 상황인데 동양증권 사태처럼 사기성이 될 수도 있다"면서 '법정관리 일주일전에 CP 일반투자자에게 말도 하지 않고 파는 것이 이상하다. 피해자들의 고발 등 형사고발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유동화증권 및 단기물 규모...약 6000억원 규모

결과적으로 불량채권을 판매한 부담을 지는 것은 증권사의 몫이다. 향후 불완전판매 책임, 증권사 CEO 중징계 여부, 투자자 배상 등의 이슈는 풀어가야 할 숙제이기 때문에 증권사는 MBK와의 얽힌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하나증권과 현대차증권도 유동화증권 등 단기물 판매처로서 주변 증권사 대응과 투자자 대응을 살피는 분위기다.

신영증권을 비롯 다수의 증권사들은 불완전판매 혐의를 벗어나야 하는 과제도 동시에 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사기혐의가 확정된다면 MBK의 대표 사재를 털어서라도 투자자 피해를 구제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한편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및 단기물 규모는 총 6000억원에 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홈플러스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은 에스와이플러스제일차가 발행한 3788억원, 에스와이플러스제이차가 발행한 281억원 등 총 4019억원 규모다.

이중 약 3000억원의 물량이 소매판매됐다. 이는 홈플러스가 발행한 기업어음(CP)·전단채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채무다.

여기에 홈플러스가 발행한 CP·전단채 잔액(지난 4일 기준) 1880억원을 더하면 약 5899억원 수준이다.

이중 대부분이 상당량이 개인과 법인 등 소매판매 투자자에게 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영증권, 하나증권을 통해 단기물을 산 투자자들은 홈플러스의 채무불이행에 따라 사실상 손실을 눈앞에 두게 됐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김현정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