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실물이전 투자자의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 비중. 한국투자증권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투자증권으로 이전된 퇴직연금 자금이 상장지수펀드(ETF) 등 실적배당형 상품에 주로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올해 3월 20일까지 다른 금융사에서 이전된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 적립금 중 61.2%가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됐다고 4일 밝혔다. 유입 당시 32.7%에 불과했던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이 불과 5개월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가장 많이 선택된 상품은 ETF로 27%를 차지했다. 이어 펀드(20.8%), 채권(13.4%) 순이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에 따라 적립금 중 71.7%는 운용 중인 상품 그대로 이전됐다. 이전 고객은 50대가 38.8% 비중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40대(24.2%), 30대(18.4%), 60대 이상(15.1%) 순이다.
퇴직연금 수익률에 민감한 중장년층의 빠른 대응이 뚜렷하다.
한국투자증권은 퇴직연금 ETF 자동 적립식 투자 서비스를 선보인 데 이어, 올해는 장내채권 매매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 김순실 퇴직연금운영본부장은 “연금자산을 적극 운용해 수익률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며 “실물이전 제도 시행 초기부터 많은 퇴직연금 적립금이 순유입되고 있는 만큼 자체 운용 시스템 정비와 전문 인력 강화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