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제공
네이버페이(Npay)가 기업 복지포인트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기업간거래(B2B) 서비스 영역을 강화하고 있다.
Npay는 기아의 복지포인트 운영사로 공식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Npay는 기아와 함께 '확장형 복지포인트'를 국내 최초로 구축했다. 임직원들이 별도의 포인트 전환 절차 없이 Npay 간편결제 사용처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 방침에 따라 특정 사용처를 제한하거나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임직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춰 향후 임직원들에게 지급된 복지포인트를 건강검진 예약이나 다른 포인트로 전환할 수 있는 등 제휴처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Npay는 기업의 복지 운영과 사용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임직원 전용 기업 복지 페이지와 전용 문의채널뿐만 아니라 기업 담당자가 포인트를 직접 지급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포인트 파트너센터(PPC)'도 함께 문을 연다.
임직원은 복지 페이지에서 포인트 지급 및 사용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전용 문의채널을 통해 신속한 응대를 받을 수 있다. 기업은 PPC를 통해 △임직원 포인트 지급·회수 이력 관리 △정산 및 통계 리포트 제공 등 복지 운영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Npay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복지 포인트'를 도입한 기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에 이어 올해 1월부터는 동서식품도 해당 서비스를 도입했다.
지난 2022년 Npay가 복지포인트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높은 만족도를 바탕으로 도입 기업 수는 약 12배 늘었다. 지급된 복지포인트 규모도 서비스 시작 이후 지난달 기준으로 약 2900% 증가했다. '복지대장' '베네피아' 'e제너두' 등 복지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복지포인트의 Npay 포인트 전환율도 같은 기간 183% 증가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