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동영 "통일부 명칭 바꿀 것"..남북 대화 앞서 '先 비핵화' 요청 안해

정동영 "통일부 명칭 바꿀 것"..남북 대화 앞서 '先 비핵화' 요청 안해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에서 기자들을 만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통일은 마차, 평화는 말이다. 말이 앞에 가야 마차가 간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 사무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취임 뒤 통일부 부처 명칭을 바꿀 것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통일을 하려면 평화가 먼저 정착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이같은 취지를 살린 부처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통일부 명칭 변경은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 조직 개편 논의와 연계되어 공식적으로 논의 테이블에 이미 오른 상태다. 변경될 명칭으로는 '통일' 대신 '평화', '남북', '교류' 등 중립적이고 현실적인 단어를 넣자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평화협력부', '남북관계부', '남북교류협력부'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대선 후보 시절부터 명칭 변경 필요성에 공감을 표한 바 있다. 하지만 반대 측은 '통일' 명칭 삭제가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 후보자는 또한 윤석열 정부 기간에 개편된 통일부 조직의 재정립도 추진할 예정이다. 그는 "이곳이 남북관계관리단으로 팻말이 바뀌어서 생경했다. 원래 남북회담사무국이었던 이곳은 역사적인 장소다. 남북적십자회담, 9·19남북공동성명의 사령탑이 있었던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 외교사의 금자탑을 이룬 곳이고 미·중·일·러 4개 강국의 합의를 이뤄낸 곳이다. 통합해 관리단으로 바꿨는데 비정상이다. 통일부의 역할과 기능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후보는 또한 6년째 단절된 남북대화 연락 채널을 복원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면서 향후 남북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선 비핵화'를 북한에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 대리도 이날 오전 앞서 열린 국내 언론과 담화에서 북미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비핵화를 북한에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은 북한을 국제법상 핵보유국으로는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정 후보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을 지지한다"면서 "부시,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들은 시도하지 않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때는 북미 정상간의 3번의 접촉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한일간의 협력을 통한 북한과 대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일본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북한과 소통을 위한) 물밑 대화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한일간에 협력해야 할 의제들이 많아서 협력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외에 정 후보자는 대북전단 살포 단체와 소통도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최성룡 납북자 가족 대표와 오늘 오전에 통화를 했다"면서 "대북전단이 남북 갈등과 적대화 대결로 가는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도발적이고 적대적이어서 재발되어선 안된다"고 당부했다.

정동영 "통일부 명칭 바꿀 것"..남북 대화 앞서 '先 비핵화' 요청 안해
미국과 일본 외신을 비롯한 국내 언론사들이 24일 서울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취재하기 위해 몰려 있다. 사진=김경수 기자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