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당정, 호르무즈 해협 봉쇄 대비..외교장관 임명되면 공식협의

안보실-외교부, 이란 공습後 상황 與 보고
호르무즈 해협 봉쇄할 경우 대응에 초점
외교장관 등 임명되면 공식 당정협의 추진
유가 급등 따른 물가 문제는 물가TF 주도
李대통령 나토 불참하며 대응 나선 후속

당정, 호르무즈 해협 봉쇄 대비..외교장관 임명되면 공식협의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은 호르무즈 해협을 항해 중인 한국 선박의 선원이 미사일 발사 모습이 담긴 사진을 촬영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4일 미국의 이란 공습으로 인한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에 대비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다행히 이스라엘과 이란의 확전이 아닌 휴전 협상 국면으로 접어든 상황인 만큼, 향후 상황을 주시하기로 했다.

김병기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여당 지도부는 이날 국회에 임웅순 국가안보실 2차장과 정광용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불러 중동 상황과 대응에 관한 보고를 받았다.

박상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보고를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12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이후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과 국제사회 동향에 대해 브리핑을 받았고, 현재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범정부 비상대응체계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전했다.

박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정부는 이 자리에서 재외국민 보호와 경제안보, 선박·항공 안전 문제에 초점을 맞춰 중동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박 문제의 경우 우리나라 원유 수입의 70%가 경유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이란 정부가 봉쇄할 수 있다는 우려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박 수석대변인은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호르무즈 해협) 선박 안전 문제를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응 시나리오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여당은 앞으로의 중동 상황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 영향에 대한 보고를 지속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지명한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취임하면 공식적인 당정협의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박 수석대변인은 “당에 필요한 보고를 하고 유기적으로 협력하자고 정부에 요청했고, 정부는 계속 보고하겠다고 답변했다”며 “외교장관 지명자가 임명되는 등 정부가 구성되면 당정협의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따른 핵심적인 문제인 유가 급등에 따른 물가 상승 대비는 이날 여당이 출범시킨 물가대책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당정협의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당정이 기민하게 대응에 나선 건 이재명 대통령이 앞서 중동 사태에 따른 경제안보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기 위해 24~25일 예정된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불참하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해수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의 새 수장들을 임명하기 전이라 안보실을 통해 대통령이 주도하는 상황이라서다.

한편 김병주 최고위원은 이 자리에서 중동 사태와 별개로 각국 대사관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일련의 상황을 설명해야 한다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대사관은 우리 정부의 설명을 충분히 받지 못한 상황이라 각국과의 외교를 고려해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