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만892명 자가진단 우울증 검사 데이터 '우울감 리포트'
응답자 79% "평균 이상 우울"
10~30대 여성이 가장 높은 우울점수
트로스트 제공.
[파이낸셜뉴스] 자가진단 우울증 검사를 진행한 10명중 8명은 평균 이상의 우울 상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넛지헬스케어의 멘탈 헬스케어 플랫폼 '트로스트'는 올 1~5월 9만892명의 우울증 검사 데이터를 분석한 '우울감 리포트'를 발표했다.
트로스트의 우울증 검사는 1~4단계로 응답자의 상태를 구분한다. 1단계는 '우울하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 2단계는 '표준 수준의 우울함', 3단계는 '표준 수준보다 조금 더 우울함', 4단계는 '표준보다 많이 우울함을 느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체 응답자 중 4단계는 55.4%, 3단계는 23.8%로 약 79%가 평균 이상 수준의 우울 상태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1단계와 2단계는 각각 9.5%, 11.3%로 비교적 낮은 비중을 보였다. 이는 정서 상태의 불편감이나 변화를 인지한 사용자가 자가진단 서비스를 통해 심리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려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성별 및 연령별 분석 결과 10~30대 여성이 가장 높은 우울 점수를 기록했다. 60대 이상과 50대 남성·여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고 여성일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확인됐다. 이는 10~30대가 학업, 취업, 인간관계 등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이며 50대 이상은 디지털 접근성이 낮거나 우울감과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세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감정의 극단성은 10대 미만~10대에서 가장 높았다. '너무 슬퍼서 견딜 수 없다', '미래가 절망적이다', '죽고 싶다' 등의 응답 비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심각했다. 20대의 경우 정서적 과민성과 외모 불안, 수면·식욕 저하까지 겹친 다중 위험군이 확인됐다. 30~50대는 '무기력'과 '지침'의 감정 형태로 과반 이상이 '예전처럼 즐겁지 않다', '시작이 힘들다', '대부분 피곤하다' 등으로 응답했다.
월별로는 1월에 우울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2월과 3월에는 다소 완화됐다가 4월과 5월에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연초의 긴장감이나 계절성 우울증 등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트로스트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이 일상 속에서 감정의 변화를 자각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심리 상태를 점검하고자 하는 흐름이 확인됐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자가진단 및 심리 상담 솔루션을 제공해, 일상적인 마음 관리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트로스트는 비대면 심리상담 플랫폼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상담, 셀프케어 콘텐츠, 심리검사, 명상·사운드 등 다양한 정신건강 솔루션을 제공한다. 넛지헬스케어의 자회사 '다인'이 인수한 이후 서비스 품질과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건강관리 앱 '캐시워크'와의 연동을 통해 일상 속 멘탈케어 접근성도 강화하고 있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