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29일 국회에서 순직 해병대원 사건의 진상규명 과정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9일 채해병 특검을 당론으로 반대했던 것을 사과했다. 당론에 따라 특검안 국회 본회의 표결에 불참했지만, 특검에서 의혹의 진실이 밝혀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순직 해병대원 사건의 진상규명 과정에서 유가족께 상처를 드리고 국민께 실망을 드린 점을 사과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비대위원장은 "국가공동체의 가장 소중한 자원인 군인에 대해 국가가 보호와 예우의 책무를 다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2023년 7월 갑작스러운 폭우 상황에서 경북 예천군 호명면 황지리의 내성천 실종자 수색 작전 중 해병대원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과정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과정에 대한 개입 의혹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게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규명하는 것이 정치인으로서 당연한 도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채해병 사건은) 22대 총선에서 참패한 원인 중 하나"라며 "국민들은 억울하게 희생된 군인의 죽음이 올바르게 밝혀지길 요구하고 있었다"고 짚었다.
채해병 특검법은 지난 21대 국회에서부터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지만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고, 재표결에서 국민의힘의 반대로 부결됐다.
이를 두고 김 비대위원장은 "정부여당은 야당의 특검 요구를 정권 자체를 퇴진시키려는 정략적 공격이라고 판단했다"며 "국민의힘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 결과가 미진할 경우 특검을 검토하자는 당론을 유지했지만 수사 결과는 지지부진했고 정권이 교체돼도 아무런 수사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6·3 대선 직후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해병)을 강행했고 국민의힘은 재차 반대했다. 김 비대위원장도 당론에 따라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유가족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사건의 진실이 명명백백히 밝혀져 순직 해병대원이 편안히 영면하고 수사과정에 참여했단 박정훈 대령 역시 군인의 명예를 회복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국민의힘의 당론 제도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당론을 정할 때 권력자에 종속되지 않고 당원주권, 유권자 지향, 국회의원 자율성이라는 3원칙이 존중되도록 제도화 돼야 한다"며 범지지층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활성화를 제안했다. 그러면서 "당론에 대한 국회의원의 선택권도 존중돼야 한다"며 "(당론이) 소속 의원을 억압하는 수단이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대선 패배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를 포함한 5대 개혁안을 추진한 바 있다.
한편, 김 비대위원장은 오는 30일 임기가 종료된다. 국민의힘은 내달 1일 전국위원회를 열고 새 비대위 구성을 의결할 계획이다.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할 것으로 보인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