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韓 4대산업, '무탄소 전력' 부족..."전력구매계약제도에 원전 포함해야"

한경협, 'PPA'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 발표



韓 4대산업, '무탄소 전력' 부족..."전력구매계약제도에 원전 포함해야"
한국경제인협회.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RE100(재생에너지 100%) 참여기업들의 평균 탄소중립 목표연도인 오는 2042년에도 국내 4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철강·석유화학·반도체·데이터센터)에서만 21.4TWh(테라와트시) 상당의 무탄소 전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서울시 전체 전력 소비량(45.8TWh)의 절반에 맞먹는 규모다. 다른 산업군까지 확장할 경우 무탄소 전력 부족분은 더욱 커지게 될 전망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4일 '전력구매계약제도(PPA)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 소비가 많은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 산업을 중심으로 무탄소 전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4대 산업의 전력수요를 무탄소 전력으로 충당할 수 있는 비율(무탄소 전력 충당률)은 올해 53.4%에 불과하다. 이는 국내 기업이 소비할 수 있는 무탄소 전력이 '재생에너지'로 한정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무탄소 전력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되는 전기를 뜻한다.

보고서는 오는 2038년 4대 산업의 무탄소 전력 충당률은 81.6%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무탄소 전력에 대한 수요가 모든 산업으로 확장될 경우 해당 충당률은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한경협은 전력구매계약(PPA) 제도 활성화를 꼽았다. 전력구매계약은 기업과 발전사업자가 계약을 맺어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이다. 기업이 사용한 전력의 에너지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녹색 프리미엄 등과 함께 대표적인 무탄소 전력 조달 수단으로 활용된다.

한경협은 PPA 활성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구매 시 지불하는 전력 거래대금 중 망 이용료, 전력기반기금 등 부대비용을 한시적으로 면제 또는 경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PA 제도가 활성화되면 무탄소 전력원에 대한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무탄소 전력 초과수요 해소에 기여할 수 있어서다.

현재 비주기적으로 공고되는 전력 배출계수의 공개주기를 최소 연 단위로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러면서 전력 배출계수에 대한 공고가 늦어지면서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과대계상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협은 재생에너지로만 한정돼 있는 PPA를 통해 조달할 수 있는 무탄소 전력원에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을 포함하자는 제안도 내놨다. 미국, 프랑스 등 주요국처럼 PPA에 기존 원전을 포함한다면, 기업들이 경영판단에 따라 자율적으로 전력원을 선택할 수 있어 무탄소 전력의 초과수요를 완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 주력산업은 경영위기와 함께 무탄소전력 사용 요구를 직면하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효율적으로 무탄소전력을 수급할 수 있는 제도 환경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one1@fnnews.com 정원일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