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정은경 복지부 장관 "의정갈등 조속히 해소할 것"

취임사 통해 의정갈등 조속한 해소 의지 공공의료 체계 강화 핵심 과제로 제시해 의료현장 회복·체계 개편, 실천중심 행정

정은경 복지부 장관 "의정갈등 조속히 해소할 것"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공식 취임하며 국민 중심의 보건의료 개혁과 의정갈등의 조속한 해소, 공공의료 체계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취임사에서 “지금은 보건복지부가 본연의 역할인 ‘국민 건강 증진’에 다시 집중해야 할 시기”라며, 의료현장 회복과 체계 개편을 위한 실천 중심 행정을 강조했다.

정 장관은 최근 반복되어온 의료계와의 갈등 상황을 직시하며, 신뢰 회복이 의료개혁의 전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화된 의정갈등으로 의료현장이 흔들리고 있다”며 “정부와 의료계가 공감하고 협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대화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정책은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의료인과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어야 지속된다”며 향후 보건복지부가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의료계와의 신뢰 기반을 복원하는 데 주력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 붕괴 위기와 필수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이대로는 의료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정 장관은 의료인력 수급 추계를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 인력 규모 산정과 안정적인 인력 공급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필수의료 컨트롤타워로서 국립대병원을 체계화하고, 중앙정부가 공공의료 운영을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복지부 소속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 간 의료격차를 줄이고, 응급·분만 등 기피과의 공공의료 역량을 회복한다는 구상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속화된 비대면 진료 수요에 맞춰,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제시됐다. 아울러 지역사회 기반의 일차의료체계를 강화해 경증환자 중심의 효율적 의료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진료 접근성 개선뿐 아니라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보건복지 정책 추진을 약속했다.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의료비 부담 완화, 상병수당 확대, 자살위험군 조기 발굴과 개입 강화 등 생애 전 주기 건강안전망 구축에 대한 계획도 강조됐다.

특히 자살예방과 관련해서는 “OECD 최고 수준의 자살률이라는 불명예를 벗기 위해 정부가 먼저 나서겠다”며 자살시도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정신건강 정책을 국정의 주요 아젠다로 삼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K바이오·백신산업 육성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구축도 병행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뒷받침하고, 의사과학자 양성체계를 확립해 미래 경쟁력을 키울 계획이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