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정지우 특파원】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위안화 강세가 연일 지속되는 것에 대해 달러화 약세와 중국 경제 회복을 배경으로 분석했다. 23일 경제참고보와 상하이증권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2위안 내린 7.1212위안으로 고시했다. 올해 6월 19일 이후 가장 낮다. 달러·위안 환율 하락은 위안화 가치 상승(강세)을 의미한다. 역내·외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도 전날 기준 4개월 만에 최저치인 7.1356과 7.1330을 각각 기록했다. 위안화의 강한 반등은 현재 외환시장의 주요 관심 사안이다. 역내·외 위안화 환율은 지난 두 달 동안 횡보 추세를 보이다가 11월 들어 가치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세계 각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달러화 강세가 역풍을 맞고 있다고 우선 분석했다. 그러면서 많은 기관에서 글로벌 금리 인상 주기가 끝났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시장이 미국 금리 기대치를 계속 재평가하면서 달러도 주초에 추가 하락세를 보였다”며 “금리 인하 기대와 시장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달러는 내년 초 강보합세를 보이고 주요 통화 대비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미 국채 수익률이 정점을 찍고 미중 격차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등 내·외부 중장기 요인도 위안화 자산에 긍정적으로 분석됐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현재 4.4%로 떨어진 상태다. 지난 10월에는 5%를 돌파했었다. 쟈성그룹의 데이비드 스콧 선임 전략가는 “미국 경제 전망과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달성할지 여부, 연방준비제도(Fed)가 어떻게 대응할지 등은 여전히 불확실하다”면서도 “미 국채 수익률이 이번 라운드에서 정점을 찍었다는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일부 경제지표가 안정화되고, 중국 정부가 환율 안정화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도 요인 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외환시장 심리를 개선했다는 논리다. 상하이증권보는 “수출 반등 등 위안화 강세를 이끌 요인들은 여전히 존재한다”면서 “올해 12월과 내년 1월에도 위안화 가치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11-23 15:38:42[파이낸셜뉴스]16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41원까지 올랐다. 3개월래 최고 수준이다.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중국 위안화에 동조화해 움직이는 가운데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폭을 키웠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1330.9원)대비 9.1원 오른 1340원에 거래를 시작한 후 장중 1341원까지 올랐다. 장중 1340원대를 기록한 건 지난 5월 17일 이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날 1336.9원에 거래를 마감해 종가 기준으로도 5월 17일(1337.2원) 이후 가장 높았다. 7월말 기준 1274.6원까지 낮아졌던 환율은 8월 들어 가파르게 올랐다. 8월 3일 1299.1원으로 마감했던 환율은 다음날 1309.8원으로 뛰었고, 8일에는 1315.7원까지 올랐다. 이후 상승폭을 키우다 장중 1340원을 돌파했다. 8월 들어 환율 등락폭(일평균 환율 기준)은 57.5원에 달한다. 8월 1일 1273.8원이었던 일평균 환율은 16일 1331.3원으로 높아졌다. 중국 경제부진에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도 덩달아 약세였다.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인 완다그룹에 이어 비구위안(컨트리가든)이 달러채 이자 상환에 실패하면서 중국 부동산시장발(發) 금융불안이 현실화되고 있다. 16~24세 청년실업률은 지난 4월 이후 3개월 연속 20%를 넘어서는 등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중국 부동산 시장 불안 이슈가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역외 위안·달러 환율은 7.33위안대까지 오르는 등 연고점을 경신 중이다.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는 것도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이유다. 김유미 연구원은 "위안화 약세도 약세지만,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이어가는 부분이 있어서 추세적으로는 달러화 흐름이 (원·달러 환율에) 더 중요하다"고 내다봤다. 미국 7월 소매판매는 계절조정 기준 전월대비 0.7% 늘어 시장 예상치(0.4%)를 웃돌았다. 미국경제가 연착륙 조짐을 보이면서 달러화가 강세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인덱스는 103 초반에서 등락 중이다. 추가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 김유미 연구원은 "1350~1360원까지 상단을 열어놓고 있다"면서 "중국 부동산시장 이슈가 단기적으로 끝난다고 해도 달러화가 강세여서 환율이 135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2023-08-16 16:54:11[파이낸셜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40원대로 오르는 등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원화 절하는 원화 자체의 약세 요인 때문이 아니라 미국 달러화의 강세 때문"이라며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한·미 통화스왑 필요성을 일축했다. 이 총재는 이날 인천 연수구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에 앞서 CNBC와 인터뷰를 갖고 최근 환율 변동성에 대해 "우리는 유연한 환율 흐름을 갖고 있고 매일 매일의 환율 흐름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는 않는다. 다만 큰 변동성에 대해서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달러화가 지난해와 비교해 약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원화가 '더 약세'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은 최근 1340원대까지 올랐다. 전날 외환시장에서 환율은 장중 고가 기준 지난 4월27일 기록한 연중 최고점(1342.90원)를 터치했다. 종가 또한 1342.1원으로 지난 4월27일 기록한 연고점(1338원)을 경신하는 등 매일 연고점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 총재는 이같은 원화 절하에 대해 "4월은 통상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배당금 지급이 많은 달"이라며 "4월 이후에는 원화 절하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2023-05-03 10:55:42[파이낸셜뉴스] AIA생명은 지난 4월 개정 출시한 '(무)골든타임연금보험II' 상품이 4~5월 두 달 동안 1000건 가까이 판매되고 청약 보험료 기준 1000억원에 육박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동 기간 청약된 보험료 대비 15배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AIA생명은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는 데다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중국 리스크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외화 상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상품이 AIA생명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탄탄한 자산운용능력을 바탕으로 5.22%(16일 기준)라는 시장 최고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는 점도 개정 출시 초기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원인 중 하나로 풀이했다. '(무)골든타임연금보험II' 상품은 일시납 가입 후 10년간 계약을 유지하면 가입시 이자율이 10년동안 변동없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안정성을 선호하는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이다. 여기에 10년 후에는 관련 세법에 따라 보험 차익에 대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AIA생명 관계자는 "세계 금융시장은 미국 중앙은행의 긴축 행보에 엔화 초약세가 더해지면서 미 달러화의 일방적인 강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며 "이때 여윳돈을 달러보험 상품에 분산하는 건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합리적인 투자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상품은 만 15세~75세까지 가입할 수 있으며 연금 수령시점은 45세~80세까지다. 만 71세~75세 가입 고객은 85세까지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 우리, KB, 하나, 신한, SC제일, IBK기업 등 전국 6개 은행에서 이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22-06-16 09:47:34[파이낸셜뉴스] 미 연준(Fed)의 금리 인상 기조로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하락 전환됐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31년 3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3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578억1000만 달러로 전월말(4617억7000만 달러)보다 39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2월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 수준을 유지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4102억1000만 달러(89,6%), 예치금 228억1000만 달러(5%), SDR 154억2000만 달러(3.4%), 금 47억9000만 달러(1%), IMF포지션 45억8000만 달러(1%)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전월에 비해 예치금(-33.9%)과 유가증권(-6.3%)의 하락폭이 컸다. IMF포지션은 0.4% 감소, 금은 유지, SDR은 1% 상승했다. 이 같은 국내 외환보유액 하락은 원·달러 환율이 낮아지면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적어지고, 외환시장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미 달러화를 매도하는 조치 등에 따른 결과라는 게 한은 측 설명이다. 지난달 미 달러화 가치가 높아지면서 주요 6개국 통화 대상 달러 인덱스(DXY)는 전월(96.6)보다 1.2% 오른 97.79를 기록했다. 유로화는 미 달러화 대비 지난달(1.1159) 수준의 환율을 유지했고, 파운드화 환율은 지난달(1.3346) 대비 1.6% 하락한 1.3139을 기록했다. 엔화(121.97)와 호주달러화 환율(0.7508)은 지난달 대비 각각 5.3%, 4.6% 올랐다. 호주달러화 환율 상승은 호주중앙은행(RBA)의 금리인상 가능성 때문이다. 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달에 이어 세계 8위로 집계됐다. 1위인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2136억 달러로 지난달에 비해 78억 달러 줄었다. 일본(1조3846억 달러), 스위스(1조1000억 달러), 인도(6319억 달러), 러시아(6171억 달러), 대만(5500억 달러), 홍콩(4909억 달러), 한국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우디아라비아(4413억 달러), 싱가포르(4266 달러)는 9위, 10위에 위치했다. 러시아 외환보유액이 131억 달러 줄면서 순위가 내려갔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2-04-05 11:31:47미 달러화 강세로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9년 5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외환보유액은 4019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한달 전보다 20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2월 줄었다가 3월에 반등했지만 달러화 강세 흐름에 4월부터 감소세에 있다. 한은은 "달러화 강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 감소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말 주요 6개국 통화를 대상으로 산출한 미국 달러화지수는 98.14로 전달보다 0.3% 올랐다. 유로화 등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다는 의미다. 달러 대비 유로화는 0.5%와 파운드화는 2.5%, 호주달러화 2.0% 약세를 나타냈다. 엔화의 경우 1.9% 강세였다. 외환보유액 가운데 예치금이 157억1000만달러로 전월과 비교해 36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31억8000만달러로 1000만달러,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권리인 IMF포지션은 25억달러로 1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은 47억9000만달러로 변동 없었다. 지난 4월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 수준이다. 1위는 중국으로 3조950억달러, 2위 일본 1조2935억달러, 3위 스위스 8068억달러 등의 순서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19-06-04 15:47:22지난달 한국 외환보유액이 소폭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19년 2월 말 외환보유액'을 보면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4046억7000만달러로 전월말 대비 8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한은은 감소 원인에 대해 "미달러화 강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하자산의 달러화 환산액 감소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등 주요 6개국 통화를 대상으로 산정한 달러화지수(DXY)는 2월 말 기준 96.15로 전월보다 0.8% 상승했다. 2월말 기준 달러화 대비 유로화는 1.0%, 엔화는 1.7%, 호주달러화는 1.4% 절하됐다. 반면 달러화 대비 파운드화는 1.5% 절상됐다. 자산별로 보면 유가증권은 3791억1000만달러로 전달 대비 11.4%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도 33억9000만달러로 전월과 비교하면 0.1% 줄었다. 반대로 예치금은 3.1% 늘어난 152억1000만달러를 나태냈다.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권인 IMF포지션(21억8000만달러)과 금(47억9000만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을 유지했다. 1위는 중국(3조879억달러), 2위는 일본(1조2793억달러), 3위는 스위스(7961억달러) 순이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19-03-05 15:53:2623일 서울환시에서 달러/원은 글로벌 달러화 약세 영향으로 제한적인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달러화 가치 지표인 달러인덱스가 최근 상승 랠리를 접은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가치 회복세에 나선 것에 동조하는 움직임이 유력하다. 달러/원은 지난 14일 1068.00원 종가를 기록한 후에 21일 1085.40원으로 급등해, 5거래일만에 레벨을 17원 가량 높였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에 연동됐던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달러/원 환율의 최근 상승 흐름을 주도했다. 그런데 달러인덱스는 미국 국채 금리 하락과 미연준 5월 회의 의사록 대기에 따른 장내 관망세로 가치가 하락했다. 7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전환된 것이다. 주요기관들은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한풀 꺾인 가운데 수급상 네고물량 우위로 달러/원이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선물은 "미 국채금리 상승과 강달러가 진정세를 나타내며 달러/원 환율도 상승세가 진정될 듯 하다"며 "지난 월요일 거래가 제한되며 1080원대도 매물 부담이 크지 않았는데 매물 소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인지 업체들의 부재 탓인지 향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방미를 마친 가운데 남북 고위급 회담 등이 예정돼 있어 대북 이슈에 시장이 주목할 듯 하다"면서 "이날 아시아 환시 움직임을 주목하며 1070원대 중후반 중심 등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은행은 영국 파운드화 강세로 미 달러화 강세가 주춤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마크 카니 총재의 매파적 발언이 경기 둔화 우려로 통화정책 정상화 경로에서 일시 이탈했던 BOE의 귀환을 암시했다"며 "이는 미연준의 나홀로 긴축에 기댄 강달러 압력을 완화시키는 요인이 됐다"고 관측했다. 그는 "역내에선 징검다리 연휴로 부재했던 수출 네고가 뒤늦게 환율 하락을 좇아 유입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다만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이상 기류가 관찰되면서 지정학 리스크 경계 심리가 상존하는 것은 하방 경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은행은 달러/원이 갭다운 개장한 후, 외국인 자금 및 아시아 환시 동향에 주목하면서 수급상 네고 우위, 롱스탑 물량 주도하에 제한적 하락 압력이 우위에 설 것으로 내다봤다. kmkim@fnnews.com 김경목 기자
2018-05-23 08:47:59달러/원 환율이 전일보다 7.80원 오른 1085.40원으로 21일 장을 마쳤다. 지난 2월 9일(1092.10원) 이후 약 3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의 종가를 기록했다. 미국 국채 금리가 이날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글로벌 달러화가 강세를 보여서 달러/원 환율 상승을 이끌었다. 달러/원은 오후 1시까지 레벨을 높여 전일보다 9원 오른 1086.60원대서 고점을 형성했다. 1086원에서 나온 네고 물량으로 상단이 제한됐다. 오후 매도세가 소폭 우위를 보이면서 레벨을 하향 조정했다. 달러인덱스는 서울환시 개장시간인 오전 9시 이후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코스콤CHECK에 따르면 달러인덱스는 오후 3시36분 전일보다 0.35% 오른 93.9328에 호가했다. 강달러 영향에 주요통화도 가치가 하락하는 장세를 전개했다. 같은 시간 달러/엔이 0.53% 오른 111.37엔, 유로/달러는 0.31% 떨어진 1.17332달러에 거래됐다. 싱가포르달러, 역내외 위안화도 달러보다 가치가 각각 0.28%, 0.11%, 0.27% 하락했다. 미국 국채가 2년물 이상 장기물 위주로 금리 상승세를 보였고, 이는 글로벌 달러 가치를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채 10년물은 오후 3시40분 현재 1.94bp 오른 3.0771%를 기록했다. 아시아 주식시장은 미중 양국간 무역분쟁이 관계자 협상을 계기로 해결 기미를 보이면서 강세 흐름을 보였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0.20%, 0.40% 상승한 채 마감했다. 주식 강세 분위기에도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에서 452억원, 코스닥에서 493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 순매도 규모가 약 950억원을 기록해 달러/원 상승 요인이 됐다. kmkim@fnnews.com 김경목 기자
2018-05-21 15:52:55달러/원 환율이 전일보다 3.80원 오른 1077.60원으로 16일 장을 마쳤다. 환율은 간밤 글로벌 달러화 가치 급등세 영향으로 6.2원 갭업 개장했다. 갭업 개장후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주춤한 가운데 고점 인식에 따른 매도 물량 출회로 1080원 대에서 상단이 제한됐다. 1080~1081원 보합권에서 움직이던 달러/원은 위안화 고시환율이 0.41% 오른 6.3745위안으로 발표된 후 1081원 돌파를 시도했다. 하지만 고점에서 대기중이던 매도 물량이 출회해 하락으로 방향을 잡았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지난밤 3%를 재차 웃돌아 미국주식 부진, 미 달러화 가치 급등 원인이 됐다. 이날 미국채 금리 상승세가 꺾인 가운데 강달러 분위기도 약해진 것이 장중 달러/원 우하향의 주요 원인이 됐다. 수급상 달러 매도 물량이 우위에 섰고 환율은 장중 하락 압력을 받았다. 달러인덱스 상승 동력이 꺼진 가운데 갭업 개장 상승분을 반납하는 장세였다. 코스콤CHECK(5500)에 따르면 오후 3시35분 아시아 주요통화도 달러보다 가치가 상승했다. 달러/엔이 전일보다 0.04% 떨어진 110.277엔에 거래됐고, 역내외 달러/위안이 각각 0.14%, 0.03% 하락했다. 우리나라 주식은 코스피가 0.05% 상승, 코스닥이 1.47% 하락해 혼조세를 보였다. 기관이 순매수를 주도했지만 외국인의 '팔자' 분위기로 약세 흐름이 나왔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50억원, 코스닥에서 785억원 순매도했다. kmkim@fnnews.com 김경목 기자
2018-05-16 15:4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