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 중학생 A양(16)은 음식을 씹다가 뱉고, 잔뜩 먹은 뒤 토하기를 반복하는 극단적 다이어트를 시작했다. 사실 A양은 전혀 비만이 아니다. 160cm에 53kg 정도다. 그럼에도 A양은 "너무 뚱뚱하다"면서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다"라고 토로했다. A양 사례와 같이 먹고 토하는 이른바 ‘먹토’는 의료계에 따르면 섭식장애 증상으로 알려져있다. 대표적으로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과 폭식증(신경성 대식증)이다. 모두 정신적 문제로 음식 섭취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살찌는 것에 공포 느끼는 거식증 환자.. 4년새 50% 증가 거식증 환자는 살찌는 것에 공포를 느끼며 비만이 아닌데도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한다고 의료계는 분석한다. 반면 폭식증은 비정상적으로 많은 음식을 섭취한다. 환자에 따라 거식증과 폭식증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일부 증상만 나타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섭식장애 진료 현황을 보면 2018년 8517명이던 섭식장애 환자는 2022년 1만2714명으로 불과 4년 만에 50% 가까이 증가했다. 아울러 최근 5년(2018~2022년)간 섭식장애로 진료받은 환자는 모두 5만1253명으로, 이 중 여성(4만 1577명) 비율이 81.1%로 압도적이다. 특히 10대 이하 여성 거식증 환자가 2018년 275명에서 2022년 1874명으로 7배 가까이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또 보건복지부가 소아 2893명과 청소년 3382명 등 소아·청소년 6275명을 대상으로 2022년 9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실시한 ‘2022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소아(6~11세)의 1.0%, 청소년(12~17세)의 2.3%가 섭식장애를 앓고 있다. 섭식장애를 앓는 여성 청소년 비율이 3.0%로 가장 높다. '깡마른 몸매' 추구하는 SNS 영향 일각에서는 10대에서 섭식장애 환자가 늘고 있는 것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영향이 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건강한 몸이 아닌 아예 깡마른 몸 사진을 올리고 극단적 절식을 함께 할 친구를 찾는 글들이 올라 오는가 하면, 관련 사진이나 영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최종 목표는 ‘키에서 몸무게를 뺀 수치’가 125 이상이 되는 것이다. 키가 168㎝, 몸무게는 43㎏이 돼야 이른바 ‘뼈말라’(뼈가 보일 정도로 마른 몸)가 된다는 주장이다. 문제는 '뼈말라' 모습을 보이거나, 그 과정에서 건강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섭식장애 환자에게선 우울한 기분, 사회적 위축, 자극에 과민한 상태, 불면 등 음식에 대한 강박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자칫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 폭식증 환자는 반복적으로 음식을 많이 먹고 싶은 욕구를 조절할 수 없어 먹고 나서 체중을 줄이려는 행동을 강박적으로 반복한다. 섭식장애가 적어도 1주일에 2회 이상씩, 3개월 이상 지속되면 폭식증으로 진단한다. 이런 현상이 지속하면 섭식장애로 영양 상태가 나빠지면 뇌가 위축돼 집중력·기억력 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의료계에서는 심한 저체중 환자는 체중과 영양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치료와 함께, 다른 합병증으로의 확산을 막기 위해 입원 치료도 권고한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5-07 08:35:41[파이낸셜뉴스] 오늘은 먹는 것과 잠자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오늘 식사 메뉴는 무엇인가요. 우리는 매 끼니 때마다 어떤 맛있는 음식을 먹을지 고민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난해서 못 먹는 경우는 매우 드물죠. 한끼당 칼로리는 늘고, 몸을 움직이는 시간이 적다보니 비만인구가 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비만 환자는 1500만명, 당뇨병 환자 500만명, 전당뇨 환자 1500만명, 심장질환 환자 18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거식증 환자 30만명 달해 반면 음식을 먹지 못하는 거식증 환자도 있습니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자신이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 생각하거나, 살찌는 것이 두려워 먹는 것을 거부하는 정신질환입니다. 거식증의 치료법은 제한적이고 현재 사용하는 치료 방법은 재발률이 52%에 이릅니다. 거식증의 원인도 여전히 불분명확 합니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은 정신질환 중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질병으로 새로운 예방 전략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꼭 필요하다고 관련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국내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거식증 환자 수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거식증 환자는 4881명이지만 관련 연구자들은 통계 밖 환자까지 감안하면 30만명이 넘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5일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음식을 먹지 못하는 신경성 식욕 부진, 즉 거식증이 불면증과 유전적으로 연관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우울증, 폭식장애, 그리고 조현병과 같이 주로 저녁에 발생하는 다른 장애들과 대조적입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섭식 장애와 신체 내부의 시계 또는 생체 리듬이 연관됐다고 말해왔습니다. 생체 리듬은 수면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조절하며 신체의 거의 모든 기관에 영향을 미칩니다. 거식증·불면증 유전자 상호작용 연구진은 신경성 식욕 부진과 생체 리듬, 그리고 불면증을 포함한 여러 수면 특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살펴보고 이 관계를 더 확실하게 알아보기 위해 조사했습니다. 연구진은 '멘델 무작위 분석법(Mendelian randomization)'이라는 통계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성 식욕 부진을 겪는 사람들의 수면 패턴을 조사해서 불면증이 더 자주 발생하는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조사 결과, 신경성 식욕 부진과 관련된 유전자와 아침형 인간, 즉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자는 특성과 관련된 유전자가 상호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시 말해, 일찍 일어나는 것이 신경성 식욕 부진증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 발생할 경우 더 일찍 일어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MGH 마취, 중환자 및 통증 의학부의 조교수이자 하버드 의대 마취과 조교수 하산 다쉬티는 "이번 연구결과는 거식증을 저녁에 발생하는 다른 대부분의 질환과 달리 아침형 장애"라고 말했습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4-01-04 14:50:53[파이낸셜뉴스] 중국에서 짝사랑하는 소년이 날씬한 여자친구와 사랑에 빠졌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은 15세 소녀가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다 결국 숨졌다. 31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광둥성 둥관시에 살던 15세 소녀 샤오링(가명)의 사연을 공개했다. 샤오링은 자신이 짝사랑하던 남학생이 날씬한 자신의 친구와 사랑에 빠졌다는 소식을 듣고 급격한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샤오링은 약 한 달간 지속된 무리한 다이어트로 신경성식욕부진증 진단을 받고 결국 병원으로 이송됐다. 병원으로 옮겨진 샤오링은 심각한 영양실조와 호흡부전 상태였으나 치료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링은 20여 일간 혼수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결국 사망했다. 사망 당시 165㎝였던 샤오링의 몸무게는 25㎏에 불과했다. 샤오링이 혼수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자 의료진은 그의 부모에게 "특별한 방법이 없다"고 말했고 부모는 샤오링의 치료를 중단하고 딸을 놓아주기로 결정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왜 많은 사람들이 날씬한 것을 소녀들에게 요구하나",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모두가 아름답습니다" 등의 의견을 보였다. 한편 중국에서 이러한 사건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6월 중국 북부에서 식이장애를 앓던 30세 여성이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급히 병원으로 이송됐는데 당시 이 여성의 몸무게는 불과 25kg으로 확인돼 의사들을 경악하게 했다. 앞서 2018년 중국 중부에서는 거식증을 앓던 50대 여성의 체중이 30kg 미만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2023-06-01 08:09:00거식증 예방법이 화제다.거식증은 다른 말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 그리고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이러한 거식증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신만의 고유한 가치를 키우고,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장애(폭식증, 거식증)의 경우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인 원인과 개인적인 이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또한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밥을 안 먹는 등 최소한의 영양조차 섭취하지 않으려는 초기 상태에 바로잡아 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고 최소한의 영양은 섭취하면서 운동을 통해 살을 빼는 것이 효과가 있다.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
2015-07-27 13:42:39▲ 거식증 예방, 이사벨 카로거식증 예방 다른 말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라고도 하는 ‘거식증’이 화제가 되면서 거식증 예방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유명 모델 이사벨 카로가 거식증으로 끝내 사망해 큰 충격을 주었다. 미국의 한 연예주간지는 지난 2010년 “이사벨 카로가 일본 도쿄에서 일을 마치고 프랑스로 돌아온 직후 갑자기 사망했다”고 전했다. 카로의 연기를 지도해왔던 다니엘 듀브륄 프러보는 “카로가 사망하기 전까지 별다른 이상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면서 “다만, 13살부터 거식증을 앓아와 힘들어했다”고 말했다. 카로는 이탈리아 사진작가 올리비에 토스카니의 패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며 유명세를 탔으며, 지난 2007년 거식증 캠페인의 일환으로 거식증에 걸려 몹시 마른 자신의 나체를 공개해 충격을 안겼다. ‘거식증 예방’ 기사를 접한 네티즌들은 “거식증 예방, 정말 무서운 병이구나” “거식증 예방, 카로 너무 심하게 말랐어” “거식증 예방, 카로 결국엔 사망했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fnstar@fnnews.com fn스타
2015-07-27 10:57:58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해 거식증과 폭식증을 앓고 있는 20대 여성이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9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거식증 및 폭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섭식장애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연령별 진료인원 비중이 20대에서 2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30대로 범위를 넓히면 그 비율은 절반에 달한다. 2012년 연령대별 섭식장애 진료인원 점유율<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특히 20대와 30대 여성의 경우 동일한 연령대의 남성보다 진료인원이 각각 8.8배, 8.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로 봐도 여성의 섭식장애 진료인원 비율은 77.0~81.1%로 남성 18.9~23.0%보다 월등히 많았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이 1.6%에 불과한 반면 여성은 5.4%였다. 2008~2012년 섭식장애 성별 진료인원 추이<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섭식장애는 뇌 이상으로 인한 생물학적 요인뿐 아니라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 경향 및 심리학적 요인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한다. 체중이 느는 것을 극도로 기피할 경우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나 신경성 과식증이 나타나는데 식욕부진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체온 또는 혈압이 떨어지거나 생리가 끊길 수 있다. 반대로 과식증이 나타나면 폭식 후 스스로 구토를 하거나 이뇨제 등 약물을 남용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심평원 관계자는 "섭식장애 치료의 가장 큰 목표는 식이습관 교정"이라며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역동적 정신치료, 가족치료 등과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섭식장애 환자는 낮은 자존감으로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를 하는 데 있어 가족과 주변인의 꾸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심평원은 당부했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기자
2013-05-24 09:3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