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전세 사기당한 집을 타인에게 '폭탄 돌리기' 하려 했다는 논란에 휘말린 100만 유튜버 달씨가 계속되는 비판 여론에 결국 사과문을 게재했다. 달씨는 23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지난 몇 주간 많은 분이 남겨주신 댓글들을 천천히 읽어보며 제가 얼마나 경솔한 행동을 했는지 깨닫게 됐고, 많이 반성했다"고 운을 뗐다. 달씨는 "정말 부끄럽게도 댓글에서 많은 분이 지적해 주시기 전까지는 전세 사기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며 "제가 겪었던 일을 전세 사기라고 잘못 표현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무분별한 정보와 개인적 경험을 부정확하게 전달, 제 영상을 시청해 주시는 분들께 실망을 드리게 된 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오직 영상의 재미만을 고려해 '파랑새'와 같은 자극적 단어를 경솔하게 언급한 점도 너무나도 죄송스럽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른 세입자가 겪을 수 있는 피해 가능성까지 고려하지 못한 점 역시 생각이 짧았다"며 "법적인 사항뿐 아니라 도덕적으로도 깊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부연했다. 앞서 달씨는 지난달 22일 올린 자신의 유튜브 영상에서 전세 사기를 당한 후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을 길이 없자 직접 세입자를 구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말했다. 당시 영상에서 달씨는 "전세 사기를 당한 사실을 숨기고 세입자와 계약서를 쓰려고 했으나 '국세 체납기록' 때문에 계약을 물렀다"라며 "세입자가 나타난 순간부터 계약서 쓰는 날까지 1분 1초가 고통이었다. 그 사람이 마음을 바꿀까 봐"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달씨는 "나의 유일한 희망, 파랑새였던 그분이 가셨다"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달씨가 전세 사기 피해를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는 이른바 '폭탄 돌리기'를 하려고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누리꾼은 "보증금 받지 못하는 집을 알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넘기려고 노력했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비난했다. 논란이 커지자 달씨는 변호사와 함께 의혹을 해명하고 나섰다. 달씨는 "혼자 잘 해결하려 했는데 (전세 사기가) 아니었다"라며 "상대방이 주택의 국세 체납기록 확인한 부분도 내가 제공한 것이다. '폭탄 돌리기' 의혹은 억울하다"고 항변했다. 해명 영상을 올렸음에도 누리꾼들은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듯하다. 사과 한마디가 없다", "지금까지 본 유튜버 해명 영상 중 최악. 진정성이 없다", "사과할 생각 없으면 올리지 말라. 이미지 회복할 방법 없다" 등 비난이 이어졌다. 2001년생으로 알려진 유튜버 달씨는 2022년부터 대학 생활과 영어 회화를 주제로 한 브이로그 영상을 올려 주목받았다. 달씨의 구독자 수는 120만명에 육박하기도 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106만명까지 구독자가 하락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4-07-23 11:25:28[파이낸셜뉴스] 117만 구독자를 보유한 스타 유튜버 달씨가 전세 사기를 당한 집을 내놔 다른 세입자에게 떠넘기려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유튜버 달씨는 지난 22일 유튜브 채널에 전세 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전세 사기를 당한 뒤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을 방법이 없자 직접 세입자를 구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계약하겠다는 세입자가 나타나는 순간 계약서를 쓰는 날까지 1분 1초가 고통이었다. 그 사람이 마음을 바꿀까 봐"라고 말했다. 이어 "집주인의 국세 체납기록을 떼보는 게 요즘 의무다. 세입자가 확인한 뒤 계약을 무르고 갔다"며 "나의 유일한 희망, 파랑새였던 그분이 가셨다"고 했다. 결국 그는 대출을 받아 전세사기 주택을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자신도 폭탄 돌리기 하려던 건데 영상으로 찍냐", "본인이 사기당한 집을 다른 사람한테 그냥 팔려고 했던 게 진짜 소름 돋네" 등 반응을 보였다. 논란이 커지자 달씨는 해당 영상을 삭제한 뒤 지난 23일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 "제 의도는 결코 폭탄 돌리기와 같은 무책임한 행동이 아니었다. 주변 분들이 다음 세입자를 구해보는 것도 방법이라 하여 그게 맞는 방법이라 생각했다. 구독자분들의 댓글을 읽어 보니 이 부분이 크게 잘못된 부분이라 인지하게 됐다. 제가 무지했고 깊이 반성하고 있다"라며 사과했다. 또 '폭탄 돌리기' 의혹에 대해 "처음에는 임대인과 공인중개사의 말대로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인 줄 알았다. 시가가 보증금을 포함한 담보가액 보다 낮고, 보증보험도 가입이 안 된다는 점을 사실대로 말씀드렸다"며 "일부 의견처럼 '폭탄 돌리기'였다면, 제가 계약에 불리한 부분은 숨겼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6-24 16:28:23유니브는 국내 유일 교육 전문 다중채널네트워크(MCN) 스타트업이다. 지난 2017년 하나의 유튜브 채널로 시작한 유니브는 현재 '연고티비'와 '입시덕후'를 비롯해 총 3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 채널의 누적 조회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4억회, 구독자도 110만명을 넘어서는 등 성장세가 가파르다.지난해 8월에는 메가스터디교육으로부터 25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다중채널네트워크(MCN)는 연예인들의 기획사처럼 유튜브 등 인플루언서를 관리하고 뉴미디어 콘텐츠를 기획하는 매니지먼트 회사이다. ■MZ세대 취업·재테크 CP로 확장 24일 찾은 유니브는 한창 이사 중이었다. 기존 공유 오피스에서 다양한 스튜디오와 더 넓은 사무 공간을 갖춘 서울 삼성로 사무실로 확장 이전하게 됐다. 유니브에 소속된 인플러언서는 달씨, 밍찌채널, 스튜디오 샤 등 28개 팀으로 이들이 운영하는 채널만 30개에 이른다. 유니브 정재원 대표는 "청소년을 위한 뉴미디어 콘텐츠를 만들던 스튜디오에서, 또 하나의 '미디어'로 발돋움하려는 유니브의 의지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대학생때 유니브를 창업했다. 정 대표는 "원래는 컨설팅 회사를 들어가고 싶었다"며 "창업학회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뉴미디어를 통한 대학생 멘토링'이었다"라고 말했다. 교육 콘텐츠에서 가능성과 보람, 재미를 느낀 정 대표는 지난 2016년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고 MCN까지 차리게 됐다. 정 대표는 "우리 미션은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을 조금 더 가치 있게 만들자'"라며 "우리는 교육 MCN이기 때문에 재밌으면서 유익한 콘텐츠, 재밌으면서 남는 게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고, 그걸 제일 잘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니브가 제대로 된 수익을 내기 시작한 건 2019년부터다. 지난해부터는 유니브의 방향성에 대해 다시 고민하기 시작했다. 정 대표는 "다른 MCN처럼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크리에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넘어서서, 교육에 필요한 화두를 던지고 내용을 채우는 미디어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유니브는 올해부터 콘텐츠와 채널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입시덕후나 연고티비 등을 보며 자란 중고등학생이 대학생이 돼 취업을 고민하는 시기가 됐다"라며 "밀레리얼·Z세대(MZ세대)를 위한 취업과 커리어 관리, 재테크 등을 다룰 수 있는 콘텐츠 제공자(CP)가 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튜브 플랫폼에서도 벗어나 틱톡 등 MZ세대가 좋아하는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신뢰성 높은 교육브랜드로 도약 최근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들의 사회경제적 영향력이 커지면서 부정적인 이슈도 많아졌다. 이 때문에 유니브는 콘텐츠 심의기구를 만들고 있다. 정 대표는 "교육이란 장르를 선택한 이상 '진정성' 있게 시청자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한다"라며 "크리에이터들의 사생활에 일일이 간섭할 수도 없고 모든 이슈를 다 예방할 수도 없다. 하지만(심의기구를 통해) '선하지만 똑똑하게'라는 철학을 갖고 콘텐츠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니브는 교육 MCN로서 사교육 업체들과 협업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정 대표는 "MZ세대에게 인터넷 강의건 유니브의 유튜브 콘텐츠건 쏟아지는 콘텐츠 중 하나일 뿐"이라며 "우리는 기존 사교육 시장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다. 앞으로 기존 사교육 업체들과도 협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버버튼을 2년 안에 15개를 확보하는 등 다양한 채널을 만들어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실버버튼은 유튜브 구독자 10만명 이상의 채널에게 제공되는 인증이다. 그는 "교육이란 장르는 무궁무진한 확장이 가능하면서 보람도 느낄 수 있다"며 "MZ세대가 가장 사랑하고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로 유니브를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2021-01-24 17:4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