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일본에서 20년 이상 부부로 지내온 이들이 '황혼 이혼'을 택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일본 아사히신문은 일본의 총 이혼 건수는 줄어든 반면 황혼 이혼으로 분류되는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이 최근 4만건 전후에서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후생노동성의 인구동태통계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의 총 이혼 건수는 17만9099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인 2002년 28만9836건보다 38.2% 줄어든 수치다. 2022년 이혼 중 결혼 기간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1만2894건)를 제외한 16만6205건을 결혼 기간별로 분석한 결과 5년 미만 부부의 이혼이 5만2606건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5년 미만 부부의 이혼 수나 비율은 혼인 수 자체의 감소에 따라 매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황혼 이혼은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일본에서 황혼 이혼을 택한 이들은 3만8991건으로 전체 이혼의 23.5%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가 있는 1947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혼 상담가인 오카노 아쓰코 일본가족문제상담연맹이사장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수명 증가에 따라 부부가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성격이 맞지 않는 문제 등을 더 이상 못 참고 부부 관계를 리셋하려는 사례들이 눈에 띈다"고 진단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2024-08-14 09:27:14[파이낸셜뉴스] 50년 넘는 결혼 생활 동안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며 가정을 위해 희생한 여성이 ‘황혼 이혼’을 하고 싶다며 조언을 구했다. 70대 여성 A씨는 2일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를 통해 황혼이혼에 대한 자문을 구했다. A씨는 스무 살 무렵 남편을 만나 50년 넘게 결혼생활을 하며 아들 셋을 낳고 살았지만 가정 폭력에 시달렸다고 한다. 목회자로 존경 받는 남편은 집에서는 폭언과 폭행을 일삼았다. A씨는 “교회 사람들은 남편이 폭언과 폭행을 한다고는 상상도 하지 못할 것”이라며 “남편 때문에 다쳐 약을 바르는 건 거의 일상이었다. 심할 때는 병원에 갈 정도로 다쳤지만 아무 말 없이 묵묵히 견뎠다. 그 이유는 아이들 때문이었다”라고 호소했다. A씨는 “이혼하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한 이유도 있었고 70년대엔 이혼녀를 바라보는 시선이 그리 좋지 않았다. 세월이 흘러 70세를 훌쩍 넘겼고 다행히 아이들은 잘 자라 결혼했고 각자 자식도 낳았다. 수십 년 동안 폭언과 폭행을 한 증거는 없지만, 이혼이 가능한가”라고 물었다. 사연을 접한 정두리 변호사는 “황혼이혼은 보통 혼인 기간이 20년 이상이신 분들이 이혼하는 것을 말한다. 황혼이혼은 혼인 기간이 장기간이므로 전업주부였더라도 재산분할의 기여도가 많이 인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편도 이혼을 원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이혼이 가능할 것이고, 그런 경우에는 재산분할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인가가 쟁점이 되겠지만, 만약 남편이 이혼 기각을 구하는 경우라면, 폭언, 폭행 등 이혼의 유책사유가 입증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남편의 폭언과 폭행을 입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황혼이혼은 특별히 이혼에 대한 증거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만약 성년 자녀가 아내의 편에 서서 진술을 해주는 경우라면, 아버지의 폭언 폭행을 지켜본 성년 자녀의 진술서를 통해 입증할 수도 있지만, 간혹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제력에 따라서 성년 자녀가 아버지의 편을 드는 때도 있다”고 말했다. 정 변호사는 “그런 경우 가사 조사를 통해 당사자의 구체적인 진술을 활용한다”며 “당사자들의 주장이 대립하면 가사 조사관이 사실관계 조사를 한다. 당사자는 소송 절차에서는 얘기하지 못했던 것들을 가사 조사관에게 말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가사조사관의 조사 보고서는 이혼 판결의 기초 자료가 되고 사실인정을 위한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며 “남편과 함께 조사를 받기 어렵다면 분리요청을 할 수 있다”고도 전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2-05 05:18:15[파이낸셜뉴스] 이혼 후 배우자와 국민연금을 나눠 받는 수급자 수가 7만 명에 육박했다. 26일 국민연금공단의 '2023년 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분할 수급자는 6만943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6만1507명, 남성 7931명 분할수령 연금 분할은 국민연금법에 따라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자가 이혼했을 때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 배우자의 노령연금을 분할한 일정 금액을 받는 제도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6만1507명, 남성이 7931명이다.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3만100명으로 가장 많고 60~64세 2만2524명, 70~74세 1만1589명, 765~79세 4040명, 80세 이상 1184명이다. 분할 수급자의 평균 연금 수급액은 23만7830원이며 최고액은 191만5720원이다. 나눠 받는 연금액은 평균 23만7830원 분할연금 수급자는 2010년까지만 해도 4632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1년 6106명, 2012년 8280명, 2013년 9835명에서 2014년 1만1900명으로 1만 명을 넘어선 뒤 2017년엔 2만5302명, 2019년 3만5004명, 2020년 4만3229명, 2021년 5만3911명, 2022년 6만8196명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황혼 이혼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의 '2022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결혼(동거) 기간이 20년 이상인 부부의 이혼 건수는 6만8422건으로 10년 전인 2012년 6만466건에 비해 8000여건 늘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23-05-26 09:31:32[파이낸셜뉴스]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지속한 부부가 이혼하는 비율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황혼이혼'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을 만큼 꾸준히 증가해오던 '고연차 부부'의 이혼은 2022년 13.1% 쪼그라들며 하락세로 전환했다. 통계청에서 16일 발표한 '2022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3000건으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그 중 결혼 지속기간이 긴 부부에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전년대비 감소율은 20~24년(-14.0%), 25~29세(-13.4%), 30년 이상(-12.4%)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2016년부터 감소 없이 꾸준히 증가해오던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율은 7년만에 처음으로 13.1% 줄어들며 큰 낙차를 보였다. 반대로 10년 이하 부부의 이혼율은 혼인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락폭이 크지 않다. 4년 이하는 9.3%, 5~9년은 3.5% 감소에 그쳤다.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10~14년(-5.3%), 15~19년(-1.1%)의 감소폭은 크지 않았지만 두 구간의 비중이 26.8%에 그쳐 9년 이하(36.6%)와 20년 이상(36.7%)에 비해 절대적인 이혼 건수가 낮았던 탓이 컸다. 결혼 지속기간이 10년을 넘어가면서부터 이혼 건수가 줄어들고,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율이 급감하는 것을 감안하면 '황혼이혼'의 발생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10년 이상 결혼을 지속하는 부부라면 30년 이상 이혼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령별 이혼율에서도 초혼연령이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높아진 만큼, 결혼 10년차 수준의 44세 이하에서 이혼 부부의 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로는 연령 상승에 따라 이혼 건수가 감소하는 추이다.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2021년까지 증가추세였던 고령 부부 이혼율이 올해 큰 감소폭을 보였다"며 "55~59세 남성 이혼율은 이미 2020년에 감소추세로 들어섰고, 그 영향이 올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45세 이상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이혼율이 감소함에 따라 이후 통계에서도 고연차 부부의 '황혼이혼'은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0년차 이하 부부의 이혼 감소가 고연차 부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연령이 낮을 수록 이혼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측면이 있다. 2020년 통계청의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떤 이유라도 이혼해서는 안된다"라고 이혼에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연령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이 낮을 수록, 그리고 결혼 지속 연차가 낮을 가능성이 높을 수록 이혼 가능성을 더 크게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낮은 출산율도 저연차 부부의 이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은 3만9000건으로 전체 이혼의 41.7%이며,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기록하고 있다. 자녀가 1명인 경우의 비중은 22.1%, 2명은 16.3%, 3명인 경우에는 3.1%로 자녀 유무와 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대로 미성년 자녀가 없는 부부의 경우 구성비는 54.9%로 10년 전 대비 7.9%p 증가했다. 출산율 하락에 따라 자녀를 두지 않은 부부가 늘어나면서 황혼 이혼 대신 이른 '새벽 이혼'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이유범 기자
2023-03-17 10:42:15[파이낸셜뉴스] "엄마, 이제 참지 말고 이혼하세요. 저도 다 컸어요." 23년간 결혼 생활을 이어온 60대 김씨는 지난달 딸에게 이 같은 얘기를 듣고 이혼을 결심했다. 김씨는 남편이 가정에 충실하지 않아 10년이 넘도록 다퉈왔지만 자식들이 상처 받을까봐 이혼을 하지 않고 결혼 생활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딸의 얘기를 듣고 20년이 넘는 결혼 생활을 끝냈다. 최근 전체 이혼 건수는 줄고 있지만 황혼 이혼은 늘고 있다. 예전에는 이혼을 '인생의 오점'으로 생각해 끝까지 참고 사는 노부부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힘들게 남은 인생을 참느니 이제라도 내 인생을 찾겠다'는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이혼 건수는 1980년대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1981년 이혼 건수는 2만4278건에서 매년 증가하다 1998년 11만6294건으로 처음 10만건을 넘겼다. 이후 2003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이후 점차 감소했다. 지난해 이혼건수는 10만65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결혼을 하는 사람이 줄면서 자연스레 이혼건수도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혼인 지속기간이 20년 이상 된 부부의 황혼 이혼은 증가하는 추세다. 황혼 이혼 건수는 1990년 2363건에서 1998년 1만4375건으로 처음으로 1만건을 넘어섰다. 특히 올해 1분기에는 전체 이혼 건수의 40%를 넘어설 정도로 늘었다. 1·4분기 이혼은 2만5206건으로 전년 대비 3.5% 늘었다. 이 가운데 40.4%인 1만191건이 황혼 이혼이다. 지난해 3만9671건으로 집계된 황혼이혼은 올해 4만건을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 1·4분기 황혼이혼은 작년 1·4분기 8719건보다 16.9% 증가했다. 전체 이혼 건수 대비 황혼 이혼 비율은 2019년 34.7%에서 지난해 37.2%로 증가했다. 올해 1·4분기와 같은 증가세를 유지한다면 4만건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2021-08-13 18:03:45[파이낸셜뉴스] 지난해 혼인 건수가 전년 대비 10.7%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집합금지 명령으로 결혼을 미루거나 취소한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0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21만4000건으로 전년 대비 2만6000건(10.7%) 감소했다. 이혼건수도 10만6500건으로 전년 대비 4331건(3.9%) 감소했다. 반면 코로나19 와중에도 황혼 이혼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혼인 지속기간이 20년 이상인 이혼은 1년 전과 비교해 3.2%(1200여건) 늘었다. 그에 비해 20년 미만 이혼은 모든 혼인 기간 구분에서 일제히 줄었다. 각각 △혼인 4년 이하 -9.4%(2200여건) △5~9년 -7.7%(1500여건) △10~14년 -3.3%(500여건) △15~19년 -9.8%(1300여건) 등이다. 특히 혼인 기간 30년 이상인 이혼은 전년보다 10.8%(1625건) 증가하면서 10년 전에 비해 2.2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로써 지난해 혼인 기간이 20년 이상인 이혼은 전체 이혼의 37.2%를 차지했다. 비중이 전년보다 2.5%포인트 증가, 10년 전(23.8%)보다 13.4%포인트 증가했다. jinie@fnnews.com 박희진 기자
2021-03-18 18:01:11[파이낸셜뉴스] '황혼이혼'이 멈추지 않고 있다. 2010년대 이후 한국의 전체 이혼건수와 조이혼율은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독 20년 이상 혼인을 지속하던 50~60대의 결별은 급증하는 추세다. 기혼 중고령자의 이혼에 대한 태도도 허용적인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7년 기준 조이혼율(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들과 비교할 때 보통 수준이었다. 이혼 건수와 조이혼율은 2003년 이후 소폭 하락 또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 1990년부터 2019년까지 50대 이상 중고령층의 이혼건수 구성비율이 가파르게 상승(남: 7.4% → 44.0%, 여: 3.1% → 32.9%)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성별 평균 이혼연령도 상승(남: 36.8세 → 48.7세, 여: 32.7세 → 45.3세)했다. 특히 20년 이상 혼인을 지속하다가 자녀가 성인기에 접어든 후 이혼으로 이행하는 부부의 수와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 이혼건수 및 비율은 지난 1993년 3977건(6.7%)이었지만 2019년 3만8446건(34.7%)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미성년자녀가 없는 이혼건수·비율도 1만8492건(31.2%)에서 5만9356건(54.8%)로 크게 늘었다. 2019년 현재 이혼건수는 50~60대에 집중되어 있고, 남편과 아내 모두 50세 이상인 이혼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2년간 유배우자의 '이혼에 대한 유보적 응답 비율' 상승 폭은 18.9%포인트(p)로 이혼(5.0%p), 미혼(10.0%p), 사별(16.3%p) 보다 놓았다. 같은 기간 '연령별 이혼에 대한 유보적 태도' 역시 20대(12.4%p)와 30대(15.0%p)에서의 상승보다 40대(24.4%p), 50대(26.2%p), 60대 이상(19.6%p)에서 더 높아졌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2020-12-11 12:58:22우리나라 50∼60대의 10명 중 4명은 '황혼이혼'이나 '졸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인식은 남자보다는 여자, 60대보다는 50대에서 훨씬 더 높았다. 19일 보건사회연구원은 전국 50∼69세 2022명을 대상으로 50세 이후 황혼이혼에 대한 생각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다', '전적으로 할 수 있다' 등 긍정적 응답이 41.2%로 나타났다. 부정적 응답 ('가능하면 안 된다', '절대 안 된다') 응답은 49.7%였다. 성별로 보면, 부정적 응답은 남자가 58.4%로 여자(41.0%)보다 많았다. 특히 '절대 하면 안 된다'는 응답은 남자가 30.1%로 여자(14.6%)보다 훨씬 높았다.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다'는 응답은 여자가 48.7%로 남자(31.1%)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황혼이혼에 부정적이었다. 부정적 응답 비율은 65∼69세가 64.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60∼64세(54.6%), 55∼59세(47.4%), 50∼54세(39.6%) 순이었다. 법률적으로 결혼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제 별거 생활을 하며 각자의 생활을 하는 '졸혼'에 대해서는 42.2%가 긍정적, 45.8%가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결혼 #부부 #황혼이혼 #중년 #졸혼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19-06-19 08:58:51지난해 '황혼이혼' 건수가 1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비중이 전체 이혼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황혼이혼은 20년 이상 같이 산 부부가 이혼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성인이 된 자녀가 독립하면서 제2의 인생을 찾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급속한 고령화로 60세 이상 인구의 비중 자체가 증가하고 있는 점도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됐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은 총 10만8700건으로 전년(10만6000건)보다 2700건(2.5%) 증가했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자가 48.3세, 여자가 44.8세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매년 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전체 이혼의 33.4%가 혼인 지속기간이 20년을 넘은 황혼이혼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황혼이혼 건수는 3만6300건으로 1년 전(3만3100건)보다 9.7% 늘었다. 증가 폭은 지난 2003년(30.7%) 이후 가장 높다. 30년 이상을 같이 산 부부가 이혼한 건수도 지난해 1만3600건(비중 12.5%)으로 10년 전(7100건)의 약 2배를 기록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가 어느 정도 독립할 때까지 기다리다가 이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인구고령화로 60대 이상 인구 비중이 커지는 것도 황혼이혼 증가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혼 #이혼 #황혼이혼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19-03-20 15:56:24#OBJECT0# 지난해 매달 100만원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17만2000명으로 전년보다 3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첫해였던 지난해 100세 이상 수급자는 85명으로 5년 전(2012년) 29명의 3배가량 늘었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 17만2000명 국민연금공단은 '2017년 국민연금 지급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수급자는 전년대비 33만명 증가한 469만명으로 19조800억원(매월 1조6000억원)의 국민연금을 지급했다고 28일 밝혔다. 향후 연금을 받기 위한 가늠자가 되는 소득 신고자수도 지난해 1799만명으로 사상최대를 기록했다. 국민연금 총 지급액중 83.5%인 15조9000억원이 노령연금으로 지급됐고 유족연금 9.8%(1조8700억원), 장애연금 1.8%(3400억원), 일시금이 4.9%(92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매달 100만원 이상 받는 수급자는 17만 2000명으로 전년보다 33%나 증가했다. 특히 150만원이상 수급자는 4045명으로 전년보다 큰폭으로 증가(314.9%)했다. 연령별로 보면 노인 기준연령인 65세 이상 연금을 받는 사람은 5년간 183만명에서 288만명으로 1.6배 늘었다. 이는 최근 5년간 65세 인구증가율인 1.2배 보다 높은 수치다. 80세 이상 고령 수급자도 5년 전(4만 5000명)보다 5배나 늘었다. 100세 이상 수급자도 85명이나 됐으며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국민연금측은 내다봤다. 여성의 사회생활이 늘어나면서 여성 수급자의 비율도 증가추세다. 여성 수급자는 186만명으로 41.6%를 차지하며 전년보다 9.7%(16만명) 증가했다. 특히 노령연금수급자 중 여성의 비율도 전년보다 11.3%(12만명) 증가한 121만명을 차지했다. ■이혼 배우자에 지급 '분할노령연금' 급증 20년 이상 가입한 노령연금 수급자는 33만명으로, 이들은 매월 평균 89만원의 연금을 받고 있다. 특히 노령연금 수급권자의 이혼한 배우자에게 지급되는 분할연금 또한 2만5500명으로 28.9%나 증가해 황혼이혼 추세를 엿볼 수 있다. 본인의 건강상태나 경제력을 고려해 노령연금 시기를 연기하는 이들도 1만명가량 늘었다. 연금 지급 연기를 희망하는 경우 연금수급개시연령에서 최대 5년(출생연도에 따라 70세까지)까지 연기할 수 있으며, 연기기간동안 월 0.6%(연 7.2%)의 연금을 가산(2012년 7월 가산율 연 6.0% →연 7.2%로 개정)해 받을 수 있다. 이색 기록도 나왔다. 부부 합산 최고 월 연금액은 302만8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 A씨는 국민연금제도 최초 시행시기인 1988년 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23년11개월 기간 동안 국민연금에 가입했다. 2012년 6월부터 매월 노령연금 125만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5년간 연기, 연기 가산율(36.0%, 연 7.2%)이 반영돼 월 181만7천원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다. 부인 B씨는 1988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25년3개월간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현재 월 121만 1000원을 받고 있다. 최장기 수급 기간은 28년11개월로 가입자가 12개월간 53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고 그 유족이 28년 11개월 동안 약 8200만원의 유족연금을 받았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18-03-28 16: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