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전당대회 경선 1라운드 마무리
李 74% 압도적 지지율에 SNS 메시지로 리스크 관리
朴 "당 대표 되면 공천권 내려놓겠다" 李 저격수 자처
姜 무계파 노선 유지.. 부울경 찾아 다음 경선 준비
朴-姜 단일화 논의 '동상이몽'.. 파급력도 의견 분분
7일 오전 제주난타호텔 대연회장에서 열린 8·28 전당대회 지역 순회 경선 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박용진, 강훈식 당 대표 후보가 당원들에게 정견을 발표하고 있다. 2022.08.07.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7일 인천 남동체육관에서 열린 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자 인천 지역 합동연설회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 2022.08.07.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당 대표 후보가 8일 국회 소통관에서 사당화 방지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8.8 [국회사진기자단]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7일 인천 남동체육관에서 열린 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자 인천 지역 합동연설회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8.7/뉴스1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1라운드 경선 결과 이재명 후보가 누적 득표율 74.15%(총 3만3344표)로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의 대세론 발판을 마련한 가운데 당권주자들은 굳히기와 추격전으로 저마다 3인 3색 행보에 나섰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당권주자 3인은 첫째주 경선 성적표를 받아들고 선거 전략을 유지하거나 일부 수정에 집중하며 치열한 수싸움에 돌입했다.
이재명 후보는 특별한 공개 일정 없이 '조용한 행보'로 리스크 줄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캠프 차원의 평과 SNS 글을 통해 정제된 메시지를 내면서 '설화 리스크' 잠재우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 후보는 이날 SNS를 통해 한일 현안에 입장문을 내고 "전범기업 미쓰비시 중공업이 강제징용 배상을 계속 미루면서 피해자들의 권리회복이 늦어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 외교부의 미온적 태도를 비판했다.
이 후보 캠프에서도 당 내 현안보다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견제의 메시지를 내며 제1야당 대표 후보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당 내 현안에 대한 발언으로 설화 논란이 일었던 만큼 정부에 대한 대립각을 세우는 것에 집중한 모양새다. 이 후보측 한민수 수석대변인은 윤석열 정부가 '재계 민원'을 이유로 노동기본권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제도마저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정부의 규제개혁 일부를 '노동 개악'이라고 일갈했다.
누적 득표율 20.88%(9288표)로 2위를 기록 중인 박용진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저격수로 변신했다. 친문재인계 지지층 표결집을 고려한 행보로 보인다. 박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당 대표의 공천권한을 내려놓겠다고 선언했다.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를 선거 1년 전에 구성하고, 공관위원장을 당 대표가 아닌 당 중앙위원회에서 의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또 최고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현행 당헌·당규상 민주당 최고위원회는 사실상 심의기구로 그 역할이 한정돼 있는데, 실질적인 의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누적 득표율 4.98%(2239표)로 3위를 기록한 강훈식 의원은 다음 경선 지역인 부산·울산·경남을 찾는 등 현장 행보에 집중했다. 강 의원은 이날 봉하마을을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경남지역 당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강 후보는 "유일한 비수도권 당 대표 후보로서 국가균형발전을반드시 완성하겠다"며 국가균형발전과 통합을 내세운 '노무현 정신' 계승을 외쳤다.
강 후보는 양산 평산마을을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 앞 시위를 규탄, 친문계 표심도 공략했다. 강 후보는 평사마을 평화지킴이, 마을 주민들을 만나 "문재인 전 대통령과 평산마을의 평화를 지키겠다"며 범친문계 결집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2~3위 후보 간 단일화를 두고는 여전히 의견차가 감지된다.
1~2위 후보 간 격차가 약 55%p인 만큼 단일화를 하더라도 파괴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엄경영 시대연구소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단일화가 급물살을 타려면, 단일화를 통해 어대명을 위협할 수 있어야 하는데 주말 경선 결과를 보면 단일화해도 별 영향 미치기 어렵다. 단일화 조건이 좋지 않다"며 단일화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서지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