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3.50% 동결한 한은 "예상보다 물가 안 떨어져, 상당기간 긴축 지속" [통화정책방향 전문]

금통위, 19일 회의서 금리 3.50%로 동결
"물가 둔화흐름 이어지나 예상보다 속도 더뎌"
"가계부채 증가 흐름도 지켜봐야"
"연간 경제성장률 1.4%에 대체로 부합할 것"
6회 연속 동결한 한은 "상당기간 긴축 지속"

3.50% 동결한 한은 "예상보다 물가 안 떨어져, 상당기간 긴축 지속" [통화정책방향 전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3.10.19 [사진공동취재단]

3.50% 동결한 한은 "예상보다 물가 안 떨어져, 상당기간 긴축 지속" [통화정책방향 전문]
[파이낸셜뉴스]한국은행이 19일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하고 상당기간 긴축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점 등을 들어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높아졌다며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치인 1.4%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며 전망을 유지했다. 물가와 성장 전망에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어려워진 한은이 재차 동결을 선택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다. 지난 2, 4, 5, 7, 8월에 이어 6회 연속 동결이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물가 및 성장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졌다"라며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8월 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올해 물가상승률을 3.5%(근원물가 3.4%), 내년 상승률을 2.4%(근원물가 2.1%)로 예상한 바 있다.

금통위는 '가계부채 증가 흐름' 또한 금리를 동결한 이유로 지목했다. 금통위는 "가계부채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에 대해서는 당초 전망치인 1.4% 유지를 시사했다. 한국은행은 "국내경제는 소비 회복세가 다소 더딘 모습이지만 수출 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며 "앞으로 수출 부진 완화로 성장세가 점차 개선되면서 금년 성장률도 지난 8월 전망치(1.4%)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했다.

고금리 장기화를 시사한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성장 하방위험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양상 등을 향후 통화정책 결정에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10월 19일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전문
□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물가상승률이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물가 및 성장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의 증가 흐름도 지켜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

□ 세계경제는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의 영향으로 경기 및 인플레이션 흐름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증대되었다. 글로벌 경기는 성장세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인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증대되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미 달러화가 상당폭 강세를 나타내는 등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국제유가 움직임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둔화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파급효과,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전개양상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 국내경제는 소비 회복세가 다소 더딘 모습이지만 수출 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고용은 낮은 실업률과 견조한 취업자수 증가가 이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 완화로 성장세가 점차 개선되면서 금년 성장률도 지난 8월 전망치(1.4%)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 소비자물가는 에너지 및 농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9월중 상승률이 3.7%로 전월보다 높아졌지만,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모두 9월중 3.3%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말에는 3%대 초반으로 낮아지고 내년에도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높아진 국제유가와 환율의 파급영향,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근원물가도 수요압력 약화 등으로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이어가겠으나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의 파급영향 지속 등으로 둔화 속도는 당초 예상보다 완만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금융·외환시장은 미 연준의 높은 정책금리 장기화 시사,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장기 국고채 금리와 원·달러 환율이 상당폭 상승하고 주가는 하락하였다. 일부 비은행부문의 리스크는 진정되는 모습이다. 주택가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으며 가계대출은 주택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지속되었다.

□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아진 상황이다. 따라서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지속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와 성장의 하방위험,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양상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