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먹는 치매약, 5000억에 기술 수출

KIST 창업기업 큐어버스, 안젤리니파마에 수출
출연연구기관 기술이전 사례중 역대 최대금액 성과

먹는 치매약, 5000억에 기술 수출
KIST 박기덕 박사가 21일 서울 정부청사 브리핑실에서 치매 치료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진이 먹는 치매 치료약물을 개발, 출연연구기관이 기술이전한 것 중 최대 금액인 약 5037억원(3억7000만 달러)에 해외 기술수출을 계약했다. 이는 출연연의 공공 연구성과가 산업 분야로 확산될 수 있는 잠재력과 경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IST 창업기업인 ㈜큐어버스가 지난 16일 이탈리아 제약사 안젤리니파마와 개발단계별 마일스톤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술이전 대상 기술은 지난 9월 임상 1상에 착수한 'CV-01'로, 신약 상용화 성공 여부에 따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수출 사례 중 역대 최대 금액의 성과다.

이번 계약 이전까지의 역대 최고 수출액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술창업기업인 진코어가 지난해 미국 보스턴 소재 글로벌 제약사와 초소형 유전자가위 기술 수출 계약액인 3억5000만 달러(약 4500억원)였다.

■먹는 치매약 임상 돌입
조성진 ㈜큐어버스 대표는 "CV-01은 치매, 뇌전증, 파킨슨병 등과 뇌신경계 질환에 획기적인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치매 등 뇌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IST 박기덕 박사팀이 개발한 치료약물 'CV-01'이 신약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해당 기전의 치매치료제로는 세계 최초가 된다. 파킨슨병, 뇌전증 등 뇌 신경 손상이 원인인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 박기덕 박사팀은 지난 2014년부터 차세대 치매치료제 개발에 돌입했다. 특히 특정 단백질(Keap1/Nrf2) 신호 경로를 통해 신경염증 반응을 억제해 뇌 신경회로 손상을 방지하는 방식에 집중했다. 연구 결과, 해당 반응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약물 'CV-01'을 개발했다.

이 약물은 통상 주사제가 대부분이지만 치매 치료제로는 흔치 않게 먹는 약으로 개발했다. 때문에 환자가 집에서 손쉽게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질병의 원인 물질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이 커 기존 뇌혈관 부종 등 부작용도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저분자 화합물 약물이어서 뇌혈관장벽도 쉽게 통과해 뇌 등으로의 약물 침투가 빠르다.

뿐만아니라 치매의 발병 전 예방 용법으로도 활용이 가능해 고령화의 사회적 비용을 낮추는 획기적 약물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지원 성공
KIST 오상록 원장은 "KIST 연구자가 개발한 기술이 첨단바이오 스타트업 창업으로 이어지고, 글로벌 제약시장에 진출한 훌륭한 사례"라고 말했다.

이번 기술이전 성과는 다양한 정부 지원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KIST를 중심으로 한 연구진이 지난 2016년부터 7년간 43억원을 투입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미래선도형 융합연구단에 선정돼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이후 KIST 기술출자회사 큐어버스가 '바이오스타 사업'의 지원으로 2021년 창업하고, 이듬해 KIST와 'CV-01'에 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큐어버스는 이후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에 입주해 과기정통부로부터 연구소기업 등록, 세제혜택 등 사업화 지원을 통해 비임상을 2년만에 완료, 81억원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현재는 과기정통부·보건복지부 공동 주관의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지원을 통해 임상 1상 단계를 진행 중이다.

과기정통부 황판식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출연연과 대학의 우수 연구성과를 바이오 기업의 임상과 사업화까지 연계하는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중심에 두고,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을 위한 기술사업화 정책과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