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2월 실적 및 3월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분야에서 9개월이 지연되면 3년 정도 뒤쳐지는 상황에 처하기 때문에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인프라 확보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1일 서울정부청사에서 AI사업과 관련해 "국가AI컴퓨팅센터 설립에 필요한 GPU를 원안보다 빨리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추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상임 장관은 이날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2월 실적 및 3월 계획'을 발표하면서 MWC에서 중국의 무서운 추격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유 장관은 "중국은 AI 및 통신 기술에서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AI 인프라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국회의 추경 합의 불발에 대한 점을 의식하고, 현 상황의 시급성을 지적했다.
AI 사업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AI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유 장관은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경쟁력도 함께 강화될 것"이라며,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AI 인프라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 장관은 "국가AI컴퓨팅센터가 빨리 설립되어야 하는 이유는 AI 연구 및 개발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덧붙였다. 그는 MWC에서 중국의 기술력을 직접 보고 느끼며, "한국이 이 분야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최첨단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AI와 첨단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 장관은 "AI 분야에서의 성장은 국가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라며, "AI 인프라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AI 기본법 제정도 진행 중이며, 전문가들이 마련한 시행령 초안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구체화될 예정이다. 이는 AI 분야의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 장관은 "AI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를 최소화하면서도, 고위험 영역에 대해서는 적절한 규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중고폰 안심 거래 사업자 인증제도를 도입해 소비자들이 중고폰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단말기 구매 비용 부담을 줄이고, 중고폰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