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주재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
주요역사‧밀집지역 안전인력 일 최대 2400여명 투입
안국역 폐쇄, 따릉이 71곳 이용 중지
서울시는 오전 10시 30분 중구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재로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를 열고 자치구·소방·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관리대책을 최종 점검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이틀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 집회인원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찰 차량들을 배치한 모습. 뉴스1
[파이낸셜뉴스] 대통령 탄핵 심판을 앞두고 서울시가 안전관리대책을 최종 점검했다. 최대 24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하고, 헌법재판소 인근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출구를 폐쇄하고, 무정차 통과한다.
서울시는 오전 10시 30분 중구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재로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를 열고 자치구·소방·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관리대책을 최종 점검했다고 2일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에 대통령 탄핵 심판을 선고할 예정이다.
우선, 선고일 하루 전날인 3일부터 선고 다음날인 5일까지 총 3일간 자치구, 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 일 최대 2400여명의 현장대응 인력을 안국역·광화문역·시청역·한강진역·여의도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인파 밀집지역에 투입해 시민 안전을 집중관리한다.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유관기관에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를 가동해 사고를 예방한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현장에 배치해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대응 태세를 높인다.
또 여의도 지역 혼잡을 막기 위해 영등포구청과 협의해 ‘여의도 봄꽃축제’를 기존 4일에서 8일로 시작일을 순연했다.
헌법재판소에서 가까운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커, 당장 이날부터 1~4번 출입구를 우선 폐쇄했다. 선고 당일에는 하루 종일 폐쇄 및 무정차 통과한다.
종각역, 시청역, 종로3가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안국역, 경복궁역, 광화문역,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국회의사당역 등 24개 지하철 역사에 하루 약 415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해 승강장·개찰구 질서 안내, 출입구 안내를 지원한다.
시내버스는 경찰의 교통 통제에 따라 임시 우회 운행에 협조한다.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주요 집회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의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가 있을 예정이다.
이동형 화장실 5개 동을 주요 집회 장소에 설치한다. 화장실 이용 인파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개방화장실과 이동형 화장실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서울맵’과 민간지도(네이버·카카오)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에도 주변 화장실 안내도를 부착해 알린다.
따릉이와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 가로쓰레기통 등은 이날까지 집회 지역 밖으로 이동 조치를 완료한다. 위험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선고일 전날부터 선고일 다음날까지 3일간 안국·세종사거리·광화문·여의대로·한남대로 주변 따릉이 대여소 71개소의 이용을 전면 중단한다. 선고 당일 서울공예박물관과 운현궁도 휴관한다.
환자 발생에 대비해 안국·청계광장·한남동·여의대로에 각 1개소씩 총 4개의 현장진료소를 설치한다.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구급차를 배치해 응급상황에 대비한다. 현장진료소는 선고 하루 전날인 3일 오후 1시부터 본격 운영된다.
‘서울시 재난응급의료 상황실’을 통해 재난의료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현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25개 자치구와 관계기관 비상연락 체계(핫라인)를 통해 신속한 응급의료 대처가 가능토록 한다. 8개 자치구도 신속대응반을 비상 대기, 출동 태세를 유지한다.
소방재난본부와 관할 소방서에는 ‘특별상황실’을 설치·운영한다. 소방력 배치 및 지원 현황, 구조·구급 출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각종 구조·구급 상황 등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집회 참가자든 일반 시민이든 모든 사람이 불안하지 않도록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서울시의 책무”라며 “서울시는 시민 생명과 안전을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에 두고 시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