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지난 1일 서울 구로구 벤처기업협회 이민화라이브러리에서 열린 혁신벤처업계 활력 회복을 위한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14일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유연화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중소기업계의 정책 제안을 대선 공약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전날 중소기업중앙회와 소상공인연합회 등 13개 중소기업 단체가 제안한 주요 정책과제를 언급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이 언급한 중소기업계 제안은 △현재 주간 단위로 설정된 연장근로단위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유연화 △업종·기업규모별 최저임금 차등화 △예방 중심의 중소기업 산업재해 감축 방안 마련 △규제배심원제 도입 △업종별 인공지능(AI) 확산 근거법 제정 △중소기업 퇴직연금기금에 벤처펀드 출자 허용 △지방노후산업단지 민간투자 활성화 촉진 등이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 같은 제안들에 대해 "국민의힘이 그간 중요성과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며 "전체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의힘은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성장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소기업계가 제안한 정책과제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대선공약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정책위의장은 "특히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유연화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민주당은 대선기간에만 관심을 보이는 데 그치지 말고 국민과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해 신속히 국회에서 입법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