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건설경기 위축·관세전쟁
중국산 저가제품 대거유입 타격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사들이 1·4분기에도 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건설경기 위축 등 수요 산업 부진과 중국산 저가제품 대거유입으로 어려움을 겪어 온 철강업계는 글로벌 관세전쟁까지 더해져 삼중고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에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은 상호협력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나간다는 전략을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1·4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17조 4370억원, 영업이익 5680억원, 순이익 344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포스코그룹측은 "전분기(지난해 4·4분기) 대비 매출은 약 2.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4730억 증가해 실적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지난해 1·4분기) 수준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철강사업은 주요 공장의 수리 증가로 생산 및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절감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한 4500억원을 기록했다. 에너지소재사업의 경우 포스코퓨처엠의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가 확대됐으며 음극재도 고객사의 공급망 다변화 수요 확대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했다. 에너지·건축·DX·물류사업 등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판매 증가와 발전부문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307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81.7% 증가했다.
현대제철은 올해 1·4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5635억원, 영업손실 190억원, 당기순손실 54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으나, 지난해 4·4분기 일회성 비용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68억원 개선됐다.
실적 부진은 철강 시황 회복 지연과 파업 영향으로 인한 제품 판매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다만 현대제철은 오는 2·4분기부터 △중국 내 감산 기조 △경기 부양책 효과 △국내 봉형강 성수기 진입 등에 따라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고수익·고부가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 재편과 안정적 매출 기반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이동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