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교육 제도 개발 및 발명교육 운영 위원회설립 추진
목성호 특허청 차장(가운데)이 지난 5일 오후(현지시간) 캄보디아 씨엠립 소카 씨엠립 리조트 & 컨벤션 센터에서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킴 세타니 차관(왼쪽 첫번째), 상무부 옥 쁘러찌어 차관과 발명교육 ODA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MOU를 교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앞으로 3년(2025~2027년)간 캄보디아에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을 전수하기 위한 공적개발원조(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이 시작된다.
특허청은 지난 5일 오후(현지시간) 캄보디아 씨엠립 소카 씨엠립 리조트 & 컨벤션 센터에서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킴 세타니 차관, 상무부 옥 쁘러찌어 차관과 발명교육 ODA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고 7일 밝혔다.
MOU는 △지속가능한 발명교육 제도의 개발 △'발명교육 운영 위원회' 설립 △공중의 인식제고 등에 대해 협력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특허청은 이 사업을 통해 △‘캄보디아 국가 발명교육 종합 계획’의 수립 △발명교육 프로그램과 교재 준비 △교육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지정 학교 내 발명교육 교실 설치·운영 등의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목성호 특허청 차장은 MOU 교환 행사에 앞서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상무부 차관과 고위급 회의를 갖고, △발명교육 ODA 사업의 중요성 및 지식재산권 보호 △상표 데이터 교환 △워크 플랜 수립 등 지난해 맺은 양국간 지식재산 분야 심화협력 MOU이행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MOU 교환 행사 뒤 효과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기관의 고위급이 참여하는 '발명교육 운영 위원회' 발족식을 갖고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의 캄보디아 도입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그간 특허청이 쌓아온 발명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통해 캄보디아의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한편, 지식재산에 기반을 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경험을 개도국에 확산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성호 특허청 차장은 "캄보디아의 혁신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번 발명교육 ODA 사업은 의의가 크다"면서 "캄보디아에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을 성공적으로 도입해 향후 세계로 확산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