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생, 초등생 학부모 599명 설문
법조인, 과학자, 외교관, 교사 순
윤선생 제공
[파이낸셜뉴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10명 중 4명 이상이 자녀의 직업이 의사나 한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중 8명은 인공지능(AI) 기술 발달 때문에 자녀의 진로를 고민하고 있었다.
28일 윤선생이 발표한 초등 학부모 599명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86.3%의 학부모는 희망하는 자녀의 미래 직업이 '있다'고 답했다. 이중 복수 응답으로 의사·한의사를 선택한 학부모가 45.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법조인 26.9%, 과학자·연구원이 18.2%를 차지했다. 또 외교관 15.9%, 교사 13.3% 순이었으며, 수의사와 IT 개발자가 12.2%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크리에이터, 예술가, 디자이너 등의 답변도 있었다.
이같은 직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여유로울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36.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자녀가 좋아하는 과목, 관심 분야여서'가 30.6%, '자녀가 소질, 능력이 있어서'가 12.2%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직업이어서'가 11.0%, '자녀 본인이 원해서'가 4.8% , '국내외에서 저명한 인물이 되었으면 해서'가 3.7%순이었다.
윤선생 제공
또한, 학부모 대다수는 인공지능(AI)과 자녀 진로의 상호 관계성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AI 기술의 발전 때문에 자녀의 진로를 고민한 적 있는지 묻는 질문에 학부모 81%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들 가운데 71.3%는 'AI 기술 발전에 맞춰 자녀 진로를 변경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AI가 자녀의 미래 직업과 일자리에 끼칠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예상한 학부모가 59.0%,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예상한 학부모가 33.7%였다.
이와함께, 초등생 학부모의 요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자녀의 공부, 성적'가 37.9%로 가장 많았다. 2위는 '자녀의 학교 생활 전반'이 28.4%, '자녀의 친구 관계'와 '자녀의 외모, 키'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이외의 답변으로는 자녀의 자유시간, 자녀의 용돈 등도 있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