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서울 지하철의 냉·난방과 관련해 지난 5개월간 28만건이 넘는 민원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냉난방 불편 민원이 쏟아지면서 응급환자 등 중요한 민원을 처리하고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만큼 시민 협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지하철 민원 5개월간 냉난방 민원만 28만건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들어 5월까지 접수된 냉난방 불편 민원이 총 28만3972건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고객센터로 접수된 불편 민원 전체 중 75.5%에 달하는 수치로 날씨가 따뜻해진 5월 한 달에만 11만건이 넘는 민원이 들어왔다.
지난해 접수된 냉난방 민원을 시간대별로 분석해 보면 민원이 몰린 시간은 탑승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였다. 출근시간인 오전 7∼9시, 퇴근시간인 오후 6∼8시에 '덥다'는 민원이 62만3969건으로 가장 많았고 '춥다'는 민원도 3만5538건이나 됐다.
특히 같은 시간대, 같은 칸에서 상반된 민원이 동시에 들어와 고객센터 상담원을 난감하게 하기도 했다.
호선별로는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2호선에 냉난방 민원(35.0%)이 집중됐고 7호선(20.6%)과 5호선(12.6%)이 뒤를 이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객실 내 냉난방 취급은 개별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되고 있다. 열차 내 냉방 온도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일반칸은 24도, 약·냉방칸은 25도로 설정돼 있다.
중요민원 처리 못해…"혼잡도·약냉방칸 확인하고 타면 도움"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객실 내 추위나 더위를 피하기 위한 방법도 공유했다.
열차 안에 승객이 많을 수록 객실 온도가 올라가는 만큼 서울교통공사 공식 앱인 '또타 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게 좋다.
좌석 위치에 따라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도 알아두면 좋다.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고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추위를 느낀다면 일반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면 좋다. 약냉방칸은 1·3·4호선 4·7번째 칸, 5·6·7호선은 4·5번째 칸, 8호선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냉난방 관련 민원이 많이 들어와 고객센터 상담원들이 응급환자 등 긴급한 민원을 처리하는 데 큰 지장이 있다. 열차 이용 중 덥거나 추운 승객은 민원 시 또타 지하철 앱 또는 공식 챗봇을 이용해 달라"고 설명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