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김민석 총리, 첫 과제로 ‘경제위기 극복’…사회적 갈등 조정·규제 개혁 '시험대'에


김민석 총리, 첫 과제로 ‘경제위기 극복’…사회적 갈등 조정·규제 개혁 '시험대'에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정부의 초대 내각을 이끌게 된 김민석 국무총리는 ‘경제위기 극복’, ‘사회적 갈등 조정’, ‘규제 개혁’ 등 산적한 현안 앞에 서 있다. 침체된 민생 경제를 되살리는 한편, 의정 갈등이나 농민단체의 장관 유임 반대 등 첨예한 정책 갈등을 사회적 대화로 풀어내야 하는 ‘조정자’로서의 리더십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

김 총리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이 통과된 직후 “폭정 세력이 초래한 경제위기 극복이 제1 과제”라며 “대통령의 방향을 바닥에서 풀어내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김 총리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국무총리이자 제49대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김 총리는 후보자 시절부터 현 상황을 “IMF 때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은 선진국 안착이냐 탈락이냐의 국가적 대위기”라는 위기감을 드러낸 바 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지금 성장과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성장에 모든 에너지를 쏟겠다”고 밝혔다.

경제 회복과 직결된 규제 개혁도 김 총리가 가장 강조한 과제다. 그는 “성장을 위한 규제 개혁은 총리실이 실질적으로 맡아야 한다”며 대통령이 정책 방향을 규제개혁위원회를 통해 집행할 뜻을 밝혔다. 특히 인공지능(AI)·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여러 부처가 얽혀 있어 사안을 풀어가기 위해선 부처간 조정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총리실이 컨트롤 타워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지도 김총리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김 총리가 마주한 또 다른 중대 과제는 사회적 갈등 해소다. 의대 정원 확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에 반대하는 농민단체의 반발 등 갈등 현안이 누적된 상황이다.

김 총리는 후보자 시절부터 “국민적 논쟁이 첨예한 사안일수록 일방적 추진보다는 사회적 대화와 협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특히 의료계와 정부의 충돌로 진료 공백 사태까지 이어진 최근 상황을 거론하며 “일방 통보식 정책은 사회적 비용만 키운다”고 지적했다.

이날 이 대통령 또한 신뢰 회복·대화·적절한 타협을 통한 의정갈등 해소를 강조한 만큼 김 총리의 조정 역할이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김 총리는 재난·위기 대응 시스템 점검에도 나설 전망이다. 비상 계엄 등으로 사회 불안 요인이 커진 데다 기후 재난 등 복합 위협에 대비한 정부 차원이 체계적 대응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야당과의 관계 복원도 과제다. 김 총리 임명안은 국민의힘이 표결에 불참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범여권 정당 의원들만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다. 본회의장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규탄 집회를 벌이기도 했다.
여대야소 국면에서 협치의 출발선에 균열이 생긴 셈이다. 김 총리가 ‘갈등 조정자’로서의 위상을 확보하려면 정치권 내 신뢰 회복과 소통의 진정성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 총리는 “국민의 뜻을 하늘같이 받들고, 여야를 넘어 의원들의 지혜를 국정에 녹여내겠다”며 “위대한 국민, 위대한 정부, 위대한 대통령의 시대를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