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서울 송파구와 강동구 아파트가 높은 거래량을 나타내며 부동산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4년 전부터 헬리오시티·파크리오 등 대단지로 거래량을 압도하던 송파구를 역대급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을 업은 강동구가 바짝 추격하는 양상이다. 3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송파구·강동구 아파트들이 지난 1~2월 서울 내 가장 많이 팔린 단지 10위권 안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 먼저 1위, 3위, 8위, 10위는 송파구다. △파크리오(45건) △헬리오시티(30건) △잠실엘스(23건) △가락쌍용1차(21건) 순으로, 총 119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파크리오는 6864가구, 헬리오시티는 9510가구, 잠실엘스는 5678가구의 대단지로 모두 송파·잠실의 대장아파트로 꼽힌다. 신축·준신축에 속하는 이들과 달리 가락쌍용1차는 1997년 준공된 2064가구의 구축단지다. 송파구 내 최대 리모델링 단지라는 점에서 수요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위, 4위, 6위, 7위는 강동구가 차지했다. △고덕그라시움(37건) △올림픽파크포레온(29건) △선사현대(26건) △강동롯데캐슬퍼스트(24건) 순으로 총 116건이다. 2019년 입주해 그간 탄탄한 매매량을 유지해 온 고덕그라시움(4932가구)에, 1만2032가구의 올림픽파크포레온 거래까지 더해지며 힘이 실리는 모양이다.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로 불리는 올림픽파크포레온은 지난해 11월 입주를 시작한 만큼, 거래량은 올해부터 2~3년 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선사현대와 강동롯데캐슬퍼스트 역시 2900여가구, 3200여가구로 이뤄져 강동의 주요 단지로 자리잡은 곳이다. 최근 거래량이 높은 이들 단지에서 신고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거래량 1위인 파크리오 전용면적 59㎡는 지난 6일 21억2000만원에, 2위인 고덕그라시움 84㎡는 지난 12일 21억원에 손바꿈됐다. 또 헬리오시티 49㎡는 지난 1월 11일 17억5000만원에, 올림픽파크포레온 59㎡는 1월 23일 20억5236만원에 신고가를 새로 썼다. 업계에서는 인접한 두 지역인 송파구와 강동구 부동산은 앞으로도 등락을 함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서울 동남권의 대표적인 주거지로 '집값 키맞추기'를 서로 주고 받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3-03 18:54:17[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서울에서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0억원 이상 거래는 1년 새 5건에서 22건으로 4배 증가했다. 2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모두 2305건(거래 해제건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의 875건보다 2.6배 늘어난 것이다.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는 강남구와 서초구에 집중됐다. 강남구 거래가 928건으로 40.3%를 차지했고, 서초구 거래는 833건으로 36.1%였다. 강남·서초구 거래가 합쳐서 76.4%다. 용산구(191건), 송파구(142건), 영등포구(113건), 성동구(50건), 양천구(31건)가 뒤를 이었다. 작년에는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22건 이뤄졌다. 초고가 거래는 용산구에서 9건 있었고 강남구 6건, 성동구 5건, 서초구 2건이었다. '최고가'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7월 전용면적 273.4㎡가 220억원에 거래됐다. 2위 거래 역시 나인원한남으로 6월 273.9㎡가 200억원에 거래되며 '200억원 아파트 시대'를 알렸다. 3위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234.9㎡(180억원), 4위는 한남동 파르크 한남 269㎡(170억원), 5위는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198.2㎡(145억원)였다. 100억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대부분이 전용면적 200㎡ 이상인 가운데, 지난달에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134㎡가 106억원에 거래됐다. 이는 3.3㎡(평)당 2억 원이 넘는 거래다. 2023년 100억원 이상 거래는 파르크한남(180억원), 아크로리버파크(110억원),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110억원·103억원),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100억원) 5건이었는데, 1년 새 대폭 늘었다. 5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 거래는 지난해 382건으로 역시 전년(146건)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개별 단지 기준으로는 서초구 반포동에 3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가 몰렸다. 반포자이 거래가 92건으로 가장 많았고 아크로리버파크 84건, 래미안퍼스티지 82건 순이었다. 다음으로 거래 건이 많았던 곳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브라이튼여의도(59건),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58건),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숀(37건)이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5-01-28 10:23:57[파이낸셜뉴스] 대출 규제 등의 여파로 서울 지역 주택 거래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난달 모든 주택 유형에서 매매 거래와 임대차 거래가 모두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지역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월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287건, 전·월세 거래량은 1만3282건이었다. 연립·다세대 매매 거래량은 1682건, 전·월세 거래량은 7510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7월 9047건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8월 6353건, 9월 2984건, 10월 2287건으로 지속 하락하는 모양새다. 올해 10월 매매 거래량의 경우 전월 대비 23.4% 하락했으며 고점을 기록한 7월 대비 74.7% 감소한 수치다. 전·월세 거래 또한 올해 9월 1만3892건에서 10월 1만3282건으로 4.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다세대의 경우 매매와 임대차 거래 모두 9월 대비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였다. 매매 거래량은 올해 9월 2153건에서 10월 1682건으로 21.9% 감소했고 전·월세 거래는 올해 9월 8626건에서 10월 7510건으로 12.9% 하락했다. 이는 작년 10월과 비교해 1년 새 아파트 매매 5.4%, 전·월세 41.2%, 연립·다세대 매매 17%, 전·월세 35.4% 모두 하락한 수치다. 다방의 마케팅실 장준혁 실장은 "지난 9월부터 시행된 강도 높은 가계부채 관리로 인한 대출 규제 여파가 아파트뿐만 연립·다세대 거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특히 매매와 임대차 거래가 모두 줄며 부동산 거래 전반에 한파가 부는 가운데 당분간 실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며 비슷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4-11-12 10:40:52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9월 이후 서울에서 팔린 아파트 중 9억원 이하의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2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9∼10월 매매돼 이달 25일까지 거래 신고된 서울 아파트 4138건 중 9억원 이하의 거래는 2184건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 이는 직전 2개월(7∼8월) 동안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43%였던 것에 비해 약 10%P 증가한 수치다. 특히 10월에는 거래 신고 건의 58.7%가 9억원 이하로 집계되며 중저가 아파트의 손바뀜이 급증했다. 9억원 이하 주택의 경우 정부의 정책 대출 혜택을 받지만, 9억원 이상은 대출 규제와 은행 금리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로인해 중저가와는 달리 15억∼30억원대 중고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7∼8월 19.2%에서 9∼10월 15.1%로 감소했다. 9월에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와 은행의 대출 이자 인상, 유주택자 대상 대출 제한이 도입되면서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7월에 9024건이었던 매매 건수는 8월에 6329건으로 줄었고, 9월에는 2890건에 그쳐 전월 대비 절반 수준이 됐다. 특히 9억∼15억원 사이의 중고가 아파트 거래는 7∼8월 33.7%에서 9∼10월 27.6%로 감소해 6%P 이상 줄어들었다. 반면 30억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7∼8월 4.0%에서 9∼10월 4.5%로 소폭 증가했다. 강남지역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고가아파트는 일부 현금 부자나 전문직 종사자들만이 진입이 가능한 특수한 시장"이라며 "정부의 대출 규제와 별개로 돌아가는 구조"라고 말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2024-10-27 18:22:33지난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지수가 올해 들어 첫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출규제와 가격급등 피로감 등으로 거래량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실거래가도 상승국면을 마무리하는 모습이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지수는 1.49% 올랐다. 올해 들어 1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9월 실거래지수 잠정치는 -0.47%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했다. 권역별로 보면 서남권(0.09%)을 제외하고는 도심권(-0.99%), 동북권(-0.38%), 동남권(-0.08%), 서북권(-1.23%) 등 대부분의 권역에서 하락으로 전환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대출규제 등으로 거래량이 크게 줄면서 실거래가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9월 아파트 거래량은 이날 기준 2556건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총 거래량은 3000여건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8월 거래량(6234건)의 반토막 수준에 불과하다. 거래량이 피크를 찍었던 7월(8958건)과 비교하면 감소폭이 더 크다. 서울 뿐 아니라 경기와 인천 등도 9월 실거래지수 잠정치가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변동률을 보면 경기 -0.04%, 인천 -0.08% 등이다. 수도권 전체 변동률도 -0.20%로 올들어 첫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9월 확정치도 잠정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실거래지표상으로는 8월에 상투를 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내집마련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이런 추세라면 4·4분기에 서울 아파트값이 본격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단 대출규제 강도가 세지만 금리 인하로 가격 조정폭은 심하지 않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대출규제의 강도를 계속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전세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하는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4-10-16 18:03:45[파이낸셜뉴스]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지수가 올해 들어 첫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출규제와 가격급등 피로감 등으로 거래량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실거래가도 상승국면을 마무리하는 모습이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지수는 1.49% 올랐다. 올해 들어 1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9월 실거래지수 잠정치는 -0.47%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했다. 권역별로 보면 서남권(0.09%)을 제외하고는 도심권(-0.99%), 동북권(-0.38%), 동남권(-0.08%), 서북권(-1.23%) 등 대부분의 권역에서 하락으로 전환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대출규제 등으로 거래량이 크게 줄면서 실거래가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9월 아파트 거래량은 이날 기준 2556건을 기록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총 거래량은 3000여건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8월 거래량(6234건)의 반토막 수준에 불과하다. 거래량이 피크를 찍었던 7월(8958건)과 비교하면 감소폭이 더 크다. 서울 뿐 아니라 경기와 인천 등도 9월 실거래지수 잠정치가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변동률을 보면 경기 -0.04%, 인천 -0.08% 등이다. 수도권 전체 변동률도 -0.20%로 올들어 첫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광석 리얼하우스 대표는 "9월 확정치도 잠정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실거래지표상으로는 8월에 상투를 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내집마련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이런 추세라면 4·4분기에 서울 아파트값이 본격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단 대출규제 강도가 세지만 금리 인하로 가격 조정폭은 심하지 않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대출규제의 강도를 계속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전세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하는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4-10-16 10:03:52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일부 지역은 20%대까지 주저 않았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거래금액도 11억원대 초반까지 하락하는 등 6~8월 시장이 뜨겁게 달궈졌던 분위기와는 확연히 달라졌다. 9월 매매거래 신고기한은 이달 말로 줄어드는 거래량을 감안해 볼 때 상승거래 비중과 평균 매매가는 전달에 비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급등장은 마무리 되고 조정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7일 직방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직전 거래 가격과 비교해 가격이 오른 상승거래 비중은 48.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을 보면 집값이 반등한 올 1월 38.7%를 기록한 이후 3월 42.2%, 5월 45.9% 등을 보였다. 특히 6월에는 50.3%로 절반을 넘어선 이후 7월(52.1%)과 8월(52.5%)도 10채 중 5채가 상승거래였다. 9월 서울 구별 상승거래 비중을 보면 4곳(중구·송파구·양천구·강서구)을 제외한 21곳에서 상승거래 비중이 줄었다. 서초구는 상승 비중이 7월 61.2%에서 8월 59.6% 등 고공행진을 했지만 9월에는 22.2%로 크게 낮아졌다. 종로구도 8월 54.2%에서 9월에는 20%대로 주저 않았다. 평균 매매 거래금액도 줄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지난 6월 12억4703만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이후 7월 12억2965만원, 8월 11억9540만원을 기록하더니 9월에는 이날 현재까지 11억1442만원으로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월 들어 감소세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1941건으로 남은 신고기한을 감안해 보면 3000여건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매매거래량은 지난 7월 8884건, 8월 6114건 등을 기록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실장은 "현재 매매 시장에서 혼조세가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대출규제 강화, 집값 급등 피로감 등으로 거래량과 가격 상승폭은 둔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는 주택시장의 긍정 요인이지만 올 여름의 급등장 보다는 횡보·보합국면이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금리 인하보다 대출 규제의 약발이 더 크게 먹힐 수 있다"면서 "금리 인하기 이뤄져도 대출 규제가 이를 상쇄하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증가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4-10-07 18:19:24[파이낸셜뉴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올해 50억원 아파트 매매는 작년 한 해에 비해 60% 늘었고, 100억원 이상 매매는 세배 수준으로 증가하는 등 초고가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의 시가총액 역시 2021년 최고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계약 중 100억원 이상 거래는 총 14건(9월 15일 집계 기준, 취소 거래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한 해 이뤄진 100억원 이상 거래(5건)의 세 배에 가까운 수치다. 올해 신고된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총 242건으로 작년 연간 거래 건수(151건)에 비해 60% 증가했다. 100억원 이상 초고가 거래가 가장 많았던 곳은 용산구 한남동이었다. 모두 14건의 계약 중 6건이 한남동에서 이뤄졌는데 이 가운데 5건은 나인원한남에서 나왔다.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73.94㎡가 지난 6월 200억원에 손바뀜하면서 공동주택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한 달 뒤인 지난 7월 전용 273.41㎡가 20억원 오른 220억원에 계약이 체결되면서 최고가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서초구 반포동에서는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234㎡ 펜트하우스가 지난 8월 180억원에 거래됐다. 10년 전 분양가(20억원)의 9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성동구 성수동의 고급 주상복합 아크로서울 포레스트에서는 전용 198㎡가 지난 4월 145억원에 거래되는 등 100억원 이상 거래가 총 3건 나왔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9차에서는 전용 245㎡가 지난 3월과 6월 각각 115억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매매뿐 아니라 초고가 전세 거래도 잇따랐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올해 들어 신고된 전세 보증금 50억원 이상 계약은 총 17건이었다. 아파트뿐 아니라 연립·다세대주택(빌라)까지 포함한 공동주택으로 범위를 넓히면 보증금 50억원 이상 전세 계약은 18건으로 늘어난다. 올해 최고 전셋값 기록은 아파트가 아닌 빌라에서 나왔다. 용산구 한남동의 라누보한남 전용 255㎡가 지난 7월 보증금 105억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이 빌라는 지하 2층∼지상 4층 건물에 4가구만으로 구성된 고급 주택으로 지난 2022년 준공됐다. 준공 이후 매매 이력이 없지만, 네이버 부동산에 전용 255㎡가 220억원에 매물로 올라와 있다. 아파트 중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200㎡ 펜트하우스가 지난 6월 보증금 90억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되면서 올해 최고 전셋값 기록을 세웠다. 한편, 부동산R114가 현재 시세로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을 집계한 결과 약 1190조로 2021년 정점이었던 1210조원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대비 3.07%(35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2024-09-17 13:26:57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해 연간 거래량을 크게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들어 총 3만571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거래량 3만6165건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올해가 아직 4개월 여 남은 것을 감안하면 매우 가파른 상승세다.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2020년 8만3553건까지 폭증했다가 2021년 4만3870건에서 2022년에는 1만2907건까지 감소했었다. 각 자치구별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로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주요 지역 중심으로 거래가 늘고 있다. 이날 기준으로 송파구 매매거래량은 올해들어 2598건으로 가장 많고 노원구가 2529건으로 뒤를 이었다. 강동구와 강남구 거래도 각각 2259건, 2211건으로 올해 모두 2000건을 넘겼다. 개별 단지기준으로도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가 올해 262건에 달했고, 신천동의 파크리오도 214건으로 200건을 넘었다. 이어 강동구 고덕그라시움이 197건으로 200건 가까운 거래량을 나타냈다. 현재 서울에서 100건 이상 거래된 단지도 18개에 이른다. 쌓였던 매물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이날 기준 서울지역 매물은 11만9047건으로 올해 1월1일 12만8109건에서 1만건 가량 감소했다. 올해초부터 꾸준히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시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7월 7946건이다. 지난 3월부터 5개월째 상승세다. 외지인보다는 서울 거주자의 거래가 많았다. 이날 직방이 등기정보광장의 주소지별 소유권이전등기(매매)신청 매수인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7월까지 서울 집합건물의 서울 거주자 매수인 비중은 74%에 달한다. 지난해72%보다 2%p 줄어든 수치다. 동일 자치구 내 거주자가 부동산을 매입한 비중도 2023년 38%에서 2024년 42%로 증가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전셋값 상승, 분양가 인상 등 가격상승에 대한 불안심리가 실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서울 거주자들이 과거보다 낮아진 금리 등으로 기회를 엿보며 기존 거주지의 주택을 매수한 영향으로 풀이된다"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9월 시행을 앞두고 생활권 내 매입을 서두르는 실수요 매수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4-08-19 18:18:32[파이낸셜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해 연간 거래량을 크게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들어 총 3만571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거래량 3만6165건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올해가 아직 4개월 여 남은 것을 감안하면 매우 가파른 상승세다.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2020년 8만3553건까지 폭증했다가 2021년 4만3870건에서 2022년에는 1만2907건까지 감소했었다. 각 자치구별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로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주요 지역 중심으로 거래가 늘고 있다. 이날 기준으로 송파구 매매거래량은 올해들어 2598건으로 가장 많고 노원구가 2529건으로 뒤를 이었다. 강동구와 강남구 거래도 각각 2259건, 2211건으로 올해 모두 2000건을 넘겼다. 개별 단지기준으로도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가 올해 262건에 달했고, 신천동의 파크리오도 214건으로 200건을 넘었다. 이어 강동구 고덕그라시움이 197건으로 200건 가까운 거래량을 나타냈다. 현재 서울에서 100건 이상 거래된 단지도 18개에 이른다. 쌓였던 매물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이날 기준 서울지역 매물은 11만9047건으로 올해 1월1일 12만8109건에서 1만건 가량 감소했다. 올해초부터 꾸준히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시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7월 7946건이다. 지난 3월부터 5개월째 상승세다. 외지인보다는 서울 거주자의 거래가 많았다. 이날 직방이 등기정보광장의 주소지별 소유권이전등기(매매)신청 매수인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7월까지 서울 집합건물의 서울 거주자 매수인 비중은 74%에 달한다. 지난해72%보다 2%p 줄어든 수치다. 동일 자치구 내 거주자가 부동산을 매입한 비중도 2023년 38%에서 2024년 42%로 증가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전셋값 상승, 분양가 인상 등 가격상승에 대한 불안심리가 실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서울 거주자들이 과거보다 낮아진 금리 등으로 기회를 엿보며 기존 거주지의 주택을 매수한 영향으로 풀이된다"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9월 시행을 앞두고 생활권 내 매입을 서두르는 실수요 매수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4-08-19 13:2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