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의 '쇠고기 맛 하이브리드 쌀’ 개발에 해외 언론들이 주목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BBC는 연세대 홍진기 교수팀이 학술지 매터(Matter)에 공개한 발표를 인용,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쇠고기 쌀’이 개발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쌀은 일반 쌀에 비해 단백질은 8%, 지방은 7% 더 많다. 쌀알에 소 근육과 지방 세포를 심어 최대 11일 동안 배양한 결과다. 아울러 소고기 세포가 쌀알에 더 잘 붙게 하도록 쌀 표면을 생선 젤라틴으로 코팅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BBC는 쇠고기 쌀이 소고기에 비해 탄소 발자국이 적은 점도 조명했다. 단백질 100g당 쇠고기 쌀은 6.27㎏ 미만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같은 양의 쇠고기 생산 시 49.89㎏이 나온다. 쇠고기 쌀 개발에 참여한 박소현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보통 가축에서 단백질을 얻지만, 축산업은 많은 자원과 물을 소비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며 "영양가가 높은 쌀에 가축 세포를 추가하면 영양 수준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양육 연구는 이전에도 활발히 진행돼 왔다. 2013년 런던에서 최초의 배양육 햄버거가 출시됐다. 또 싱가포르에선 최근 세계 최초의 배양 닭고기 제품이 나왔다. 반면 이탈리아는 자국의 음식 전통을 보호하기 위해 배양육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고 BBC는 덧붙였다. 영국영양재단의 홍보 담당자 브리지트 베넬람은 "인류와 지구에 도움이 되는 식단을 개발하는 건 중요한 과제"라며 쇠고기 쌀 연구에 대해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 연구 결과는 고단백 식품 개발이 아닌, 쌀의 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조금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며 "(쇠고기 쌀 개발 등) 기술이 기존의 동물성 식품을 대체할 단백질 공급원이 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2-15 22:05:37[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쌀에 소의 줄기세포를 붙여 쇠고기 쌀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배양육이 개발됐지만 곡물을 지지체로 이용한 방법은 세계 최초다. 특히 쌀에 배양한 쇠고기는 가축을 직접 길러 얻는 고기보다 탄소 배출량이 8분의 1 정도여서 국가적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쇠고기 쌀은 지금까지 알려진 실험실에서 키운 배양육이나 귀뚜라미, 메뚜기 등으로 얻어낼 수 있는 단백질을 새로운 방법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일반 쌀보다 단백질 8%, 지방 7% 더 높아 연세대 홍진기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쇠고기 쌀을 개발해 15일(한국시간) 학술지 '매터(Matter)'에 공개했다. 쇠고기 쌀 개발에 참여한 존스홉킨스 대학의 박소현 박사후연구원은 "쌀은 그 자체만으로도 영양분이 많지만 가축 세포를 추가하면 더 향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쇠고기 쌀은 일반 쌀보다 단백질이 8%, 지방이 7% 더 많았다. 이 쇠고기 쌀로 만든 밥은 근육과 지방 함량의 정도에 따라 쇠고기나 아몬드 냄새, 크림과 버터 냄새가 났다. 박소현 박사는 "단백질 100g이 함유된 쇠고기 쌀을 만들때 이산화탄소 6.27㎏이 배출되지만 축산으로 얻은 쇠고기는 49.89㎏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홍진기 교수에 따르면 배양육을 만들때 가장 중요한 요인을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사용할 세포의 종류와 배양액의 종류, 세포를 키울때 사용하는 지지체 그리고 어떻게 식품으로 가공할지 등이다. 세포가 모여 조직을 이루기 위해서는 세포들을 감싸고 입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지체가 있어야 한다. 연구진은 소의 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기 위한 지지체 후보군을 탐색하던 중 쌀을 주목했다. 홍 교수는 "살아있는 소의 세포를 채취해 따로 키우면 잘 자라지 않는데 쌀에서 정말 잘 자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kg당 쇠고기 2만원...쇠고기쌀 3000원 쌀은 세포가 구석구석 들어가 성장할 수 있는 매우 미세한 구멍이 있어 세포를 키우는데 이상적으로 조직화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쌀에는 소 줄기세포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가지고 있어 매우 이상적인 지지체다. 연구진은 우선 세포가 쌀에 더 잘 달라붙도록 하기 위해 생선에서 추출한 젤라틴으로 코팅했다. 소 근육과 지방 줄기세포를 이 쌀에 파종한 후 실험실 접시에서 9~11일 동안 배양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쇠고기 쌀은 식품 안전 요건을 충족하고 식품 알레르기 유발 위험이 낮은 성분으로 돼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쇠고기 쌀이 식용으로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밥을 지어 영양가, 냄새, 질감 등 다양한 분석을 진행했다. 그결과, 쇠고기 쌀은 일반 쌀처럼 밥을 지었을때 찰지거나 끈적이고 부드럽지 않고, 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웠다. 또 근육 함량이 높은 쇠고기 쌀은 쇠고기나 아몬드와 같은 냄새가 났으며, 지방 함량이 높은 것은 크림, 버터 및 코코넛 오일 냄새가 났다. 박소현 박사는 "쇠고기가 ㎏당 2만원에 육박하고 있지만 쇠고기 쌀 배양이 상용화된다면 쇠고기 쌀은 ㎏당 약 3000원이 될 수 있다"면서 "이 쇠고기 쌀은 향후 기근을 위한 식량 구호, 군사 배급, 심지어 우주 식량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쇠고기쌀이 식품 안전 위험성이 낮고 생산 공정도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을 들어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번 개발에 힘입어 쌀에서 성장하는 근육과 지방이 더 많아지도록 하기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4-02-14 14:52:1710일 실질적으로 타결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중국산 쌀 추가 개방은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쌀(쌀 관련 제품 포함)은 FTA 협정대상에서 제외키로 했기 때문이다. 쌀과 함께 초민감품목으로 분류됐던 보리, 팝콘용 옥수수, 감자,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도 추가 개방 의무로부터 보호되는 '양허제외' 리스트에 포함됐다. 다만 중국산 김치는 관세가 일부 낮아지면서 국내 수입 물량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내에서 생산하는 사료용 조제품, 잼 및 과실젤리, 그리고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냉동) 등은 즉시 또는 10년 내에 관세가 철폐돼 중국 진출길이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수산물 중에선 중국산 오징어, 넙치, 멸치, 갈치, 김, 고등어, 꽃게, 전복, 조기 등 대부분이 초민감품목군으로 분류되면서 '보호막'을 쳐놨다. ■쌀은 지키고, 김치는 양보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이번 FTA 협상 결과 관세철폐 등을 통한 농수산 자유화율은 품목 수 기준으로 70%, 수입액 기준으로 40%를 각각 기록하며 이미 체결한 FTA와 비교할 때 최저 수준이다. 앞서 다른 지역과 체결한 FTA 농수산물 평균 자유화율은 각각 78%(품목수), 89%(수입액)였다. 중국과의 FTA 협상 타결이 우리 측에 유리하게 체결됐다는 분석이 정부 안에서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전체 농수산물 가운데는 수입액 기준으로 40%만이 곧바로, 또는 중장기적으로 관세가 철폐돼 수입이 자유로워지게 됐다. 하지만 60%는 초민감품목으로 분류됐고 이 중 30%, 610여개 품목은 양허에서 제외돼 관세를 현 수준에서 유지키로 했다. 초민감품목으로 분류되면서 일정물량에 대해서만 저율관세를 부과하고 그 이후 물량부터는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의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은 전체 수입액의 16%로 결정됐다. 참깨, 팥, 대두, 사료용 식물성 부산물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 관세의 일부를 내리는 방식인 '관세감축'(14%)은 김치, 혼합조미료, 팥, 당면, 들깨 등에 대해 적용키로 했다. 관세감축은 기존 관세율보다 20%를 낮추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중국산 김치·양념채소가 몰려올 것을 우려해 우리 정부는 기존 관세율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재 관세율이 20%인 중국산 김치는 상황에 따라 관세율이 19.8~18%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여 수입량이 지금보다 다소 늘어날 전망이다. ■수산물, 중국산 수입문 '꽁공' 수산물 역시 한.중 FTA를 통해 입을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우리나라는 중국산 수산물의 최대 수입국(27.2%)이기도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수입액의 64.3%는 초민감품목군으로 포함시켜 국내 시장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반면 우리 수산물의 대중국 수출 확대 가능성은 최대한 넓혔다. 품목별로는 농어, 돔, 민어, 뱀장어 등 조정관세품목과 대게, 소라, 전갱이, 홍어 등 자원관리품목도 초민감품목군에 포함됐다. 특히 초민감품목에 포함된 품목을 제외한 35.5%의 수산물도 15년 내지 20년의 장기 철폐로 설정했고, 10년 내 단기 철폐되는 일반품목은 약 0.2%에 불과해 실질적인 국내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해수부의 자체 분석이다. 반면 김, 미역, 넙치, 전복, 해삼 등 62개 주요 대중 수출품목 대부분은 관세 즉시 철폐 또는 10년 내 조기철폐로 중국 수출길이 크게 넓어질 전망이다. bada@fnnews.com 김승호 이유범 기자
2014-11-10 16:42:34행정안전부는 추석을 맞아 오는 12일까지를 물가관리 중점기간으로 정하고 21개 품목의 가격을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행안부는 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전국 시·도 행정부시장 및 부지사 회의를 개최, 추석명절 물가관리와 현안 등을 논의했다. 물가관리 대상 품목은 쌀, 배추, 쇠고기, 밤 등 농·수·축산물 16개와 이발·목욕료 등 개인서비스 5개 등 21개다. 행안부는 추석 전까지 자치단체별로 직거래 장터를 5차례 이상 운영토록 하고 전통시장 상품권을 구입해 명절선물이나 직원 포상, 불우이웃시설 돕기 등 용도로 활용하도록 했다. 회의를 주재한 정남준 제2차관은 “올해 추석은 연휴기간이 짧고 고유가로 인한 물가상승 등으로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물가 안정, 치안, 재난안전관리 등 추석연휴 종합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정 차관은 또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지방의회 의정비 가이드라인 제시에 대해 의정비의 과다인상 및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소방방재청은 소방차량 노후화로 현장대응력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내년도 시·도예산에서 소방차량 교체비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정 차관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경기 광주시의 경안시장을 찾아 추석 성수품 수급상황을 점검하고 물가안정을 위해 상인들이 적극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기자
2008-09-05 21:06:57행정안전부는 추석을 맞아 오는 12일까지를 물가관리 중점기간으로 정하고 21개 품목의 가격을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행안부는 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전국 시·도 행정부시장 및 부지사 회의를 개최, 추석명절 물가관리와 현안 등을 논의했다. 물가관리 대상 품목은 쌀, 배추, 쇠고기, 밤 등 농·수·축산물 16개와 이발·목욕료 등 개인서비스 5개 등 21개다. 행안부는 추석 전까지 자치단체별로 직거래 장터를 5차례 이상 운영토록 하고 전통시장 상품권을 구입해 명절선물이나 직원 포상, 불우이웃시설 돕기 등 용도로 활용하도록 했다. 회의를 주재한 정남준 제2차관은 “올해 추석은 연휴기간이 짧고 고유가로 인한 물가상승 등으로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물가 안정, 치안, 재난안전관리 등 추석연휴 종합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정 차관은 또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지방의회 의정비 가이드라인 제시에 대해 의정비의 과다인상 및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소방방재청은 소방차량 노후화로 현장대응력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내년도 시·도예산에서 소방차량 교체비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정 차관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경기 광주시의 경안시장을 찾아 추석 성수품 수급상황을 점검하고 물가안정을 위해 상인들이 적극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기자
2008-09-05 18:08:20이르면 다음달부터 모든 식당은 쇠고기와 쌀의 원산지를 공개해야 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농산물품질관리법 시행형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다음 달 17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원산지 의무표시 대상자를 △식당,뷔페,예식장 등 일반음식점 △패스트푸드점,분식점 등 휴게음식점 △학교,기업,기숙사,공공기관,병원 등 집단급식소 등으로 규정했다. 원산지표시 대상 식품에는 △소,돼지,닭,축산물가공품을 이용해 구이,탕,찜,튀김 등으로 조리해 판매되는 것 △쌀과 곡류 등을 혼합, 조리 판매하는 밥류(떡,죽,면,식혜 제외) △배추를 주원료로 절임,양념혼합 과정 등을 거쳐 발효시켰거나 가공한 김치 등을 포함시켰다. 이는 모든 종류의 식당이 취급하는 소,돼지,닭,쌀,배추김치류의 원산지를 반드시 표시해야 한다는 뜻이다. 쇠고기 원산지와 종류를 표시하지 않으면 500만원, 쇠고기 원산지나 종류 한 가지만 표시하지 않으면 각각 300만원과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원산지를 속였다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 개정안이 예정대로 6월 중 공포되면 쇠고기는 즉시, 쌀은 6월22일부터, 돼지고기, 닭고기, 김치류는 12월 22일부터 적용된다. /star@fnnews.com김한준기자
2008-05-28 16:13:41호주산 쇠고기를 국산으로, 일반 쇠고기를 횡성 한우로, 중국쌀로 만든 떡을 국산 전통식품으로 속여파는 상술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있다. 3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6개월동안 적발된 쇠고기와 쌀 관련 원산지 위반 사례는 각각 193건, 14건이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의 191건, 6건과 비교해 쇠고기는 비슷한 수준이나 쌀은 이미 두 배를 넘어섰다. 원산지를 밝히지 않은 ‘미표시’를 제외하고 원산지를 일부러 속여 판 ‘허위표시’만 따지면, 쇠고기도 109건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의 88건보다 24%나 증가했다. 쌀은 지난 해나 올해 적발 사례 모두 ‘허위표시’에 따른 것이었다. 쇠고기 관련 위반 유형으로는 호주산을 국산으로 표시해 판매한 경우가 7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 뉴질랜드산→호주산 8건 ▲ 호주.뉴질랜드산→국산 6건 ▲국내산→유명 한우 브랜드 6건 ▲ 뉴질랜드→국산 4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호주산을 국산으로 속여 파는 범죄는 지난해 상반기 36건의 두 배이상으로 늘었다. 쌀 관련 적발은 모두 중국산을 국산으로 둔갑시켜 팔다 덜미가 잡힌 경우였다. 중국쌀로 떡이나 도시락 등 가공식품을 만들고 ‘국산’ 원산지 표시를 붙여 차익을 챙긴 경우가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쌀의 포장만 바꿔 국산으로 파는 이른바 ‘포대갈이’ 수법과 국산과 중국쌀을 섞어 국산으로 속인 경우도 각각 3건씩 집계됐다. 농관원은 원산지 위반 사범을 형사입건하고, 원산지 미표시 건에는 최하 5만원에서 최고 1000만원까지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이처럼 원산지 허위표시 적발 건수가 계속 늘어나는 것은 수입 증가와 단속 강화가 맞물린 결과다. 농수산물유통공사(aT) 농수산물무역정보(KATI) 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5월까지 수입된 농축산물은 모두 54억5237만달러어치(1171만t)로,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27.4%나 증가했다. 쌀만해도 지난달까지 올해 우리나라가 ‘최소시장접근’(MMA)물량으로서 의무적으로 들여와야 하는 3만4429t의 쌀(밥쌀용)이 모두 수입됐다. 이는 지난해 2만1564t에 비해 50%이상 많은 규모다. 농관원도 원산지 위반 단속 대상 업소를 지난 해 상반기 4만4000여개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6만개로 크게 늘렸다. /blue73@fnnews.com 윤경현기자
2007-07-03 07:54:51한·미 자유무역협정(FTA) 7차 협상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시작됐다. 이번 협상에서는 쇠고기 수입 재개 여부와 쌀 시장 접근성 개선 문제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쇠고기 수입 재개에 대해 FTA 비준권을 갖고 있는 미국 의회가 워낙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고 쌀 시장 접근성 제고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측의 입장이 완강해 주목된다. 웬디 커틀러 미국 수석대표는 ‘쌀이 한국에 민감한 사안이라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시장 접근성의 개선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혀 그동안 쟁점이 돼왔던 쇠고기 문제에 더해 쌀 시장 접근성 제고도 협상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미 의회는 3월 말까지 모든 민감한 문제를 타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우리측 대표들도 이 점을 잘 알고 있다. 일부 미국 상원의원들은 뼛조각이 들어있는 쇠고기 수입 불허 조치를 이유로 FTA 체결 자체를 반대하고 세계무역기구(WTO)에 한국을 제소하자는 결의안까지 준비하고 있다. 한·미 FTA 체결이 필요한 한국으로서는 이른 시일 안에 해법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쇠고기 문제뿐만 아니라 자동차 의약품 무역구제 등 이제까지의 협상 과정에서 쟁점으로 떠오른 문제들에 대해서도 여전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 중간선거에서 의회를 장악한 민주당이 쇠고기는 물론이고 무역구제법 개정에 완강히 반대하고 있으며 자동차 및 의약품과 관련된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전혀 완화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측으로서는 FTA 체결이 절실하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수출산업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보와 타협 없이는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없는 게 사실이고 양측이 극적인 타협을 이룰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아무리 협정 체결이 중요하다고 해도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07-02-12 18:12:0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농산물 분야 협상이 4차부터 뜨거워질 전망이다. 3차 협상까지는 옥수수 등 비 민감 농산물 위주로 논의가 진행됐으나 차기 협상에서는 쇠고기 등 민감 품목에 대해서도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FTA 농업분과장인 배종하 농림부 국제농업국장은 12일 브리핑에서 “미국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지만 관세 개방안(양허안)이 기대 이하라는 반응을 나타냈다”면서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품목부터 논의하고 민감 품목은 추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3차 협상에서는 옥수수와 밀, 사료 및 가공용 콩 등 비 민감 품목에 대해 협의가 진행됐지만 이르면 4차 협상부터는 쌀과 쇠고기 등 민감 품목에 대한 논의가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배국장은 “미측은 대미 수입금액이 크고 국내 생산이 적은 품목, 현행 관세가 낮아 관세를 철폐해도 국내 농업에 영향이 작은 가공농산물 등의 관세철폐 시기를 앞당겨 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관세개방 수정안의 전제조건으로 농산물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의 확보를 요구했다”면서 “4차 협상까지 국내 영향이 작은 품목을 중심으로 양허안의 수정 여지가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국장은 위생·검역(SPS) 분야와 관련, “미측이 양국간 협의채널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동물검역과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전문가 협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면서 “SPS 분야의 차기 협상은 2차에서 작성한 협정문 내용을 확정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lue73@fnnews.com 윤경현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06-09-13 08:58:19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농산물 분야 협상이 4차부터 뜨거워질 전망이다. 3차 협상까지는 옥수수 등 비 민감 농산물 위주로 논의가 진행됐으나 차기 협상에서는 쇠고기 등 민감 품목에 대해서도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FTA 농업분과장인 배종하 농림부 국제농업국장은 12일 브리핑에서 “미국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지만 관세 개방안(양허안)이 기대 이하라는 반응을 나타냈다”면서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품목부터 논의하고 민감 품목은 추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3차 협상에서는 옥수수와 밀, 사료 및 가공용 콩 등 비 민감 품목에 대해 협의가 진행됐지만 이르면 4차 협상부터는 쌀과 쇠고기 등 민감 품목에 대한 논의가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배국장은 “미측은 대미 수입금액이 크고 국내 생산이 적은 품목, 현행 관세가 낮아 관세를 철폐해도 국내 농업에 영향이 작은 가공농산물 등의 관세철폐 시기를 앞당겨 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관세개방 수정안의 전제조건으로 농산물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의 확보를 요구했다”면서 “4차 협상까지 국내 영향이 작은 품목을 중심으로 양허안의 수정 여지가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국장은 위생·검역(SPS) 분야와 관련, “미측이 양국간 협의채널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동물검역과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전문가 협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면서 “SPS 분야의 차기 협상은 2차에서 작성한 협정문 내용을 확정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lue73@fnnews.com 윤경현기자
2006-09-12 17: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