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여섯 번째 지구궤도 시험 비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다만 이전 비행에서 신기술로 환호를 받았던 '젓가락 팔'을 이용한 '슈퍼헤비(로켓의 1단 부분)'의 발사탑 회수 장면은 연출되지 않았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CNN 등에 따르면 스타십은 이날 오후 4시(미 중부시간)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됐다. 스페이스X는 이날 발사 과정을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발사 3분 여만에 슈퍼헤비 로켓 부스터가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분리됐다. 하지만 지난 5차 비행에서처럼 발사탑의 젓가락 팔에 안착하지 않고 발사장 인근의 멕시코만에 수상 착륙했다. 스페이스X 측은 이날 중계에서 이번에는 로켓 부스터의 지상 회수를 시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우리 팀과 대중의 안전, 발사대 자체가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타협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의 성공적인 시험 비행 후, 이번 시도는 부분적인 후퇴를 보여줘 회사가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지난 비행에서 가장 이슈가 됐던 슈퍼헤비의 지상 착륙은 볼 수 없었지만, 스타십의 2단부인 우주선은 계획대로 65분 가량의 비행에 성공했다. 스타십 우주선은 시속 2만6316㎞ 안팎의 속도로 고도 190㎞에 도달해 지구 궤도 항로를 비행한 후 대기권에 재진입해 바다에 하강, 착수(Splash down)했다. 스타십 시험비행은 우주비행사가 탑승하거나 화물이 탑재되지 않은 무인 비행이다. 이날 바나나 1개를 줄로 매달아 향후 화물 적재를 위한 시험 비행을 진행하기도 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방문해 머스크와 함께 로켓 발사 모습을 지켜봤다. 트럼프 당선인은 스타베이스 도착 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역사상 가장 큰 물체가 우주로 올라가는 것 뿐 아니라 땅에서 이륙하는 것을 보기 위해 텍사스주로 향하고 있다"면서 "이 놀라운 프로젝트에 참여한 일론 머스크와 위대한 애국자들에게 행운을 빈다"고 말했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2024-11-20 11:09:532일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은 중국 남부 하이난 상업용 우주 발사장(海南商業航天發射場)의 2호 발사대가 완공됐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지난해 말 완공된 1호 발사대와 함께 하이난 상업용 우주 발사장은 총 두 개의 발사대를 갖추게 됐다. 하이난 국제상업우주발사유한공사 관계자는 “중국항천과학기술그룹이 개발한 창정(长征) 8호 개량형 로켓과 창정 12호 운반 로켓이 올해 두 발사대에서 첫 발사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창정 8호 개량형 로켓은 기존 창정 8호 로켓을 기반으로 개량된 것으로, 저궤도에 발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CMG는 “창정 8호 개량형 로켓이 700km 태양 동기 궤도에서 최대 7톤의 운반 능력을 갖추고 있고, 지름 4.2m와 5.2m의 두 가지 페어링을 장착할 수 있다”면서 “1호 발사대에서 첫 비행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이어서 CMG는 “창정 12호 운반 로켓의 경우 가까운 지구의 궤도에서는 10톤 이상, 700km 태양 동기 궤도에서는 6톤 이상의 운반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2호 발사대에서 첫 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발사장은 발사 준비를 모두 마친 상태이며, 올해 3분기에 첫 발사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 제공: CMG
2024-08-02 13:45:53【도쿄=김경민 특파원】 미국과 일본 정부가 로켓 발사 기지가 되는 우주공항 건설을 위해 협력한다. 이달 10일 미일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계획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미일 양국 정부는 일본에서 미국의 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 체결을 목표로, 10일 정상회담과 연계해 교섭 중이다. 이 협정은 미일 우주 협력의 기본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정상은 미국산 로켓을 일본에 반입할 때 다른 나라에 기술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보호협정'(TSA)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로켓 발사는 미사일 기술과 공통점이 많아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로켓을 발사할 때에는 깐깐한 기밀 보호를 요구해 왔다. 미국 정부는 영국·오스트레일리아와 기술보호협정을 맺은 것을 근거로 일본과 논의를 심화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오이타현에 관련 스타트업이 진출하는 등 로켓 발사와 관련한 우주 비즈니스가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미국 스타트업과 제휴해 오이타 공항을 우주 수송선의 기지로 활용할 방침이다. 우주공항의 정비는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상당하는 평가다. 우주공항 인근에는 로켓 조립공장과 부품업체 등 관련 산업이 집적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우주산업 진흥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지난달 일본 정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우주 개발을 진행시키는 기술과 로드맵인 포함된 '우주 기술 전략'을 수립했다. 1조엔 규모의 우주전략기금을 활용해 민간 기업과 대학의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 골자다. 국제적으로도 로켓을 보유하지 않는 국가들이 다른 나라의 로켓을 유치하는 전략을 세우는 등 우주 개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국빈 대우로 미국을 방문한다. 기시다 총리는 10일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이어 11일에는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고, 미·일·필리핀 3국 정상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2024-04-08 14:24:14【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지난해 4일에 1번 꼴로 우주로 로켓을 쏘아올렸다. 이는 지난 2022년 스페이스X가 세운 자체 신기록을 경신한 것으로 스페이스X가 우주발사체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해 12월 29일(현지시간) CNBC는 스페이스X가 지난해 팰컨 9 로켓 91회, 대형 로켓인 팰컨 헤비 5회 등 총 96회의 로켓을 발사하면서 이전 연간 발사 기록을 경신했다고 전했다. 스페이스X의 기존 로켓 발사 최다 횟수 기록은 지난 2022년의 61회였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한해동안 지난 2010년 출시된 팰컨 9로켓 발사를 출시 후 첫 10년 보다 더 많이 발사했다. 아울러 250번째 궤도 로켓 부스터를 착륙시키며 로켓 재사용의 한계를 계속 넓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스페이스X는 지난 연말 또 하나의 의미있는 기록을 세웠다. 로켓 발사 최단 시간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지난 1966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제미니 11호 발사 이후 처음으로 로켓 발사 시간을 3시간 미만으로 단축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스페이스X의 팰컨 발사체 담당 부사장인 존 에드워즈는 자신의 SNS에 "머스크가 불과 몇 년 전에 100번의 발사 목표를 제시했다"면서 "이를 벌써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2024년에 우리가 무엇을 성취할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스페이스X는 올해 최대 144개의 팰컨9 로켓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페이스X는 1800억 달러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스타링크 시스템용 위성을 계속 배치할 계획이다. 톰 오치네로 스페이스X 부사장은 지난 3월 "연간 200차례 발사도 가능하다"라고 말했고 머스크는 우주사업 관련 채팅에서 "우리는 경쟁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theveryfirst@fnnews.com 홍창기 기자
2023-12-30 10:00:08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사진) 3차 발사 성공으로 민간 우주시대 '뉴 스페이스(New Space)'가 시작됐지만 우주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선 '한국형 로켓의 가성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엔진 등 핵심부품 성능 고도화, 더 많은 운용 노하우 축적, 중장기 재활용 로켓 기술 확보 등이 필요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민간 우주산업은 위성 제작, 발사 수송, 위성 서비스, 우주 개발·탐사 등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우주 발사 상업화로 수익 창출은 물론 수조원대의 국가적 유무형의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누리호 3차 성공 발사를 계기로 한국형 발사체의 안정·경제성을 지속적으로 확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선 발사 신뢰성과 안정성이다. 업계 전문가는 "우주산업 상업화를 위해선 발사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신뢰와 안정성을 기초로 '한국형 로켓의 가성비'를 높여 경제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작·발사 비용 및 기술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 통상 위성 1기를 완성하는데 2000억~3000억원이 투입된다. 우주개발 기업 미국 스페이스X는 재활용 로켓 '팰컨9'을 한 번 쏘는데 받는 비용은 900억원 정도다. 발사체 탑재 중량을 높이거나 발사체 재활용, 소형 위성 발사 등의 전략적 시장 확대도 필요하다. 스페이스X와 같이 발사체 재활용, 경량화 등 중장기적으로 상업적 접근의 기술 개발도 요구된다.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 기술 집약, 클러스터화, 민간기업 경쟁 촉진과 같은 한국형 경제의 강점을 우주 산업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 누리호 3차 발사때 국내 300여개 기업이 발사체와 위성 부품을 제작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심장'인 75t급 액체엔진 5기 등 총 6기 엔진을 직접 제작했다. 오는 2025년 4차 발사부터 2027년까지 세 차례의 누리호 제작·발사를 총괄 지휘한다. 달 탐사를 위한 차세대 100t급 엔진도 개발한다. 업계 관계자는 "우주 기술은 극비로 취급돼 이전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기업의 독자적 기술력, 국가 전체의 제조업 기반이 지속적으로 축적돼야 한다"고 말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2023-05-29 18:35:22[파이낸셜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민간 우주시대 '뉴 스페이스(New Space)'가 시작됐다는 기대감이 높다. 한국 기업들의 발사체 제작·조립 및 발사·운용 기술력과 잠재 역량을 세계에 알렸다는 데 의미가 크다. 전문가들은 "민간 우주 개발에 첫발을 내디뎠다"는데 공감하지만 우리나라가 미국, 일본 등 우주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의견이다. 엔진 등 핵심 부품 성능 고도화, 가격 경쟁력 확보, 더 많은 운용 노하우 축적, 중장기 재활용 로켓 기술 확보 등이 그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민간 우주산업은 위성 제작, 발사 수송, 위성 서비스, 우주 개발·탐사 등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우주 발사 상업화로 수익 창출은 물론 수조원대의 국가적 유무형의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누리호 발사는 현재 3차까지 2조원 정도의 국민 세금이 투입된 국가 우주 프로젝트다. 우주산업 기업 및 전문가들은 누리호 3차 성공 발사를 계기로 한국형 발사체의 안정·경제성을 지속적으로 확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아울러 발사 단계별 기술 고도화와 민·관의 우주산업 생태계(클러스터) 조성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다. 우선 발사 신뢰성과 안정성이다. 업계 전문가는 "우주산업 상업화를 위해선 발사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신뢰와 안정성을 기초로 '한국형 로켓의 가성비'를 높여 경제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제작·발사 비용 및 기술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 통상 위성 1기를 완성하는데 2000억~3000억원이 투입된다. 우주개발 기업 미국 스페이스X는 재활용 로켓 '팰컨9'을 한 번 쏘는데 받는 비용은 900억원 정도다. 발사체 탑재 중량을 높이거나 발사체 재활용, 소형 위성 발사 등의 전략적 시장 확대도 필요하다. 스페이스X와 같이 발사체 재활용, 경량화 등 중장기적으로 상업적 접근의 기술 개발도 요구된다. 업계 전문가는 "우리나라는 우주 개발 선진국에 비하면 여러 면에서 후발주자"라며 "경제성(합리적인 제조 비용 및 우주 발사·수송 비용)과 기술력(발사 안정성, 발사체 경량화), 체계화(연관 기업간 연계·협력 시너지)의 세 박자를 갖춰나가야 한다"고 했다.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 기술 집약, 클러스터화, 민간기업 경쟁 촉진과 같은 한국형 경제의 강점을 우주 산업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 누리호 3차 발사때 국내 300여개 기업이 발사체와 위성 부품을 제작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심장'인 75t급 액체엔진 5기 등 총 6기 엔진을 직접 제작했다. 오는 2025년 4차 발사부터 2027년까지 세 차례의 누리호 제작·발사를 총괄 지휘한다. 달 탐사를 위한 차세대 100t급 엔진도 개발한다. 이뿐아니라 △발사대 시스템 전반을 독자기술로 설계, 제작한 HD현대중공업 △추진기관 시스템의 시험 설비를 제작한 현대로템 △누리호 3호의 체계 총조립 임무를 수행한 한국항공우주(KAI)등 민간 제조기업들의 협력이 있었기에 누리호 3차 성공이 가능했다. 업계 관계자는 "우주 기술은 선진국들끼리도 극비로 취급해 기술을 이전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기업의 독자적 기술력, 국가 전체의 제조업 기반이 지속적으로 축적돼야 하는 일"이라고 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2023-05-29 13:47:33[파이낸셜뉴스] 7개 테마를 기반으로 전 세계 우주관련 기업에 폭넓게 투자하는 공모펀드가 출시됐다. 항공우주나 방위산업뿐 아니라 정밀 3D 프린팅, 소형 로켓 기업 등도 골고루 담는다는 게 특징이다. 25일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한국투자글로벌우주경제펀드’이 이날 출시됐다.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는 환헤지(H)형, 환율 변동에 자산을 노출하는 언헤지(UH)형, 미국 달러(USD)로 투자하는 USD형으로 각기 나왔다. 유안타증권에서 가입할 수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해 민간 우주개발 시대에 발맞춘 우주경제(space economy) 분류 체계를 발표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이를 △위성 커뮤니케이션 △항법 시스템 △지구 관측 △우주 수송 △우주 탐사 △우주 과학 △우주 기반 기술 등 7개로 추렸다. 이번 상품은 해당 7대 우주경제 세부 테마를 토대로 빅데이터 유사도 상위 종목을 유니버스에 편입하고 관리한다. 유니버스는 각 세부 테마별 기술력과 대표성을 가진 종목 종목·상장지수펀드(ETF) 약 300개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유니버스 내 모든 종목 주요 토픽 트렌드, 이벤트, 뉴스, 리서치를 수시 모니터링 한다. 이후 자체 개발한 ‘우주경제 테마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점수를 매기고 상위 종목들을 최종 포트폴리오에 편입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주기적으로 공시하는 파트너 기업 △데이터 기반 밸류체인 분석을 통해 발굴한 비상장 혁신기업 주요 협력사 △발사체 기술, 군집위성 보유 등 우주산업 주도권을 가진 경쟁 우위 기업 △OECD 우주경제 세부 테마 내 대표성을 가진 기업 등이다. 보잉, 록히드마틴 등 대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기업부터 스페이스X 등 혁신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정밀 3D 프린팅 기업 벨로3D, 미국 대표 소형 로켓 개발 및 발사 서비스 제공 기업 로켓랩 등도 편입 대상이다. 우주기업 융합 생태계를 포괄하는 셈이다. 김현태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퀀트운용부 책임은 “미·중 무역 갈등, 러·우 전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후퇴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경기 재개(리오프닝), 방위비 확대, 위성 서비스 성장 등으로 구조적 수혜를 볼 수 있는 우주산업이 주목받고 있다”며 “특히 최근 떠오르는 민간 우주경제는 기존 항공우주 제조업 및 방위산업뿐 아니라 위성 인터넷, 위성 이미지, 6G 이동통신, 도심항공교통(UAM), 3D프린팅 등 혁신 우주 기업 생태계를 포괄하는 넓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은 “이번 상품은 이 같은 우주산업의 풍부한 성장 시나리오에 투자고 싶은 장기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3-05-25 11:10:14[파이낸셜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로켓인 스페이스X의 팰컨헤비 로켓이 1일(이하 현지시간) 다시 하늘을 날았다. 2019년 중반 이후 3년만이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팰컨헤비 로켓은 이날 오전 미국 항공우주국(나사·NASA)의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미 우주군을 위한 위성들을 싣고 발사됐다. 이 위성들은 미 우주군-44(USSF-44)라는 비밀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팰컨헤비는 2018년 데뷔한 3단 로켓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출력을 자랑한다.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당시 스페이스X CEO로 자신의 개인 소유 테슬라 로드스터 자동차를 시험발사 화물로 실었다. 머스크의 로드스터는 아직도 우주를 떠다니고 있으며 태양 주변을 거쳐 화성 궤도까지 닿는 것이 목표다. 팰컨헤비가 머스크의 로드스터를 우주로 날려보내는데 성공했지만 이후 실적은 미약하다. 실제임무는 단 두 차례에 그쳤다. 모두 2019년에 실행됐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랍샛을 위한 TV·통신용 위성 발사, 미 국방부의 실험용 위성을 쏘아 올린 것이 전부다. 2019년 이후 팰컨헤비는 격납고 신세를 못 면했다. 스페이스X의 위성 발사 임무가 대부분 팰컨헤비의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수준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스페이스X는 주로 팰컨9을 위성 발사에 활용했다. 올해에만 이미 50 차례 가까이 임무를 수행했다. 한편 스페이스X는 로켓 하단 좌우에 붙은 보조연료 탱크는 수거하지만 가운데 탱크는 수거하지 않을 계획이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2-11-02 03:29:11[파이낸셜뉴스] 한때 한반도에 떨어질 가능성이 제기됐던 중국 우수발사체 잔해가 결국 필리핀 서쪽 바다에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 우주군과 중국 우주국의 발표를 통해 '창정 5B호 잔해물'이 31일 오전 1시 45분경 필리핀 서쪽 바다지역에 최종 추락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이날 밝혔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추락 징후를 인지한 지난 27일부터 우주위험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과 창정 5B 잔해물의 궤도 변화를 감시, 로켓 잔해의 한반도 추락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위험에 대비한 우주감시활동을 수행해 왔다. 그리고 전날 한반도 추락 가능성이 없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 창정 5B호는 우주정거장의 모듈 등을 운송하기 위해 개발된 무게 837톤에 이르는 대형 우수발사체다. 전문가들은 발사체 잔해의 일부가 대기권에 전부 소각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2022-07-31 09:38:41전세계 우주산업 규모가 지난해 4690억달러(약 616조원)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 이후 8년만에 가장 가파른 성장세다. CNBC는 27일(현지시간) 미 우주재단 발표를 인용해 전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의 로켓, 인공위성 생산 규모가 지난해 전년대비 9% 증가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우주재단 최고경영자(CEO) 톰 젤리보는 CNBC와 인터뷰에서 올들어 미 금융시장과 경제가 둔화를 겪으면서 우주산업에도 어려움이 닥쳤지만 지금의 폭풍을 잘 버텨내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젤리보는 올해 성장세가 지난해와 같은 9% 수준에는 못미치겠지만 우주산업은 상당한 내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주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제가 심각한 둔화세를 겪었던 2020년에도 성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젤리보는 현재 전세계 90여개국이 우주산업에 발을 담그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미국이다. 지난해 미국은 2위를 기록한 중국 정부 우주 예산의 4배에 육박하는 600억달러를 우주산업에 할당했다. 인도와 유럽 각국등도 지난해 우주산업 예산이 각각 30% 이상 늘었다. 송경재 기자
2022-07-28 18:2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