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지난해 국내 4대 시중은행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2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이 공시한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임직원 평균 연봉은 1억1800만원으로 전년(1억1600만원)대비 1.72%(200만원) 가량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당기순익 9000억 늘어난 시중은행, 보수도 올라 국내 4대 시중은행 중 하나은행의 연봉이 평균 1억20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1억1900만원, 우리은행 1억1400만원으로 파악됐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평균 연봉이 1억3475만원으로 여성 평균(1억450만원)에 비해 3025만원 더 많았다. 이는 여성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에 비해 짧고, 단시간 근로자 비중이 더 많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시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3조원으로 전년 대비 9000억원 늘었는데,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거두면서 직원들의 보수도 올라간 것으로 분석된다. KB국민 이재근 전 행장 26억2000만원 '최고' 한편 지난해 4대 은행에서 각 5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아 보수총액 상위 5명에 오른 임직원은 대부분 퇴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에서는 이재근 전 행장이 26억2000만원을 받았으며, 부행장 직위 3명이 퇴직하면서 급·상여와 퇴직소득 등으로 10억5100만원~11억4400만원을 받았다. 하나은행의 한 퇴직자는 급·상여와 기본퇴직금과 특별퇴직금 등을 합해 최고 11억79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이승열 전 하나은행장의 연봉 12억5200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나머지 보수 상위 직원 4명도 퇴직금 등과 함께 10억원대의 보수를 수령했다. 신한은행에서는 보수 총액 상위 5명 중 정상혁 행장(12억35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직원 4명이 전부 퇴직자였다. 센터장, 지점장, 커뮤니티장 등을 지낸 이들은 퇴직금 등으로 8억3200만~9억2900만원을 수령했다. 우리은행에서는 조병규 전 행장이 급여와 상여, 퇴직소득 등으로 10억6800만원을 받았으며, 부장대우로 희망퇴직한 직원 4명도 8억3500만~8억7100만원을 받았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2025-03-24 07:36:07[파이낸셜뉴스] 4대 시중은행원의 평균 급여가 1억1600만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직원의 평균 연봉은 4대 시중은행원보다 더 높은 1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19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공시한 '2023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은행원의 평균 급여는 1억1600만원으로 지난 2022년(1억1275만원)과 비교해 2.9% 증가했다. 은행별 평균 급여는 △KB국민은행 1억2000만원 △하나 1억1900만원 △신한 1억1300만원 △우리 1억1200만원 순이었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7100만원으로 전년(1억6925만원)보다 약 1% 늘었다. 4대 금융지주에는 직급이나 근무 연차가 긴 직원이 주로 근무하면서 평균 연봉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것으로 보인다. 금융지주 직원 평균 연봉은 KB금융지주가 1억9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금융지주(1억7300만원), 우리금융지주(1억6700만원), 하나금융지주(1억5300만원)가 순이었다. 한편 금융지주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지난해 연봉 22억5300만원을 받았다. 양종희 KB금융회장은 15억5500만원,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6억5900만원,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6억5200만원을 각각 수령했다. 은행장 중에서는 이재근 국민은행장 지난해 연봉이 12억5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정상혁 신한은행장 10억3300만원, 이승열 하나은행장 8억3900만원 순이었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의 보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3억20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4-03-19 14:25:43[파이낸셜뉴스] #OBJECT0# 최근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뱅크런까지 발생한 가운데 이를 관리·감독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 직원들은 시중은행 보다 높은 수준의 연봉을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1900만원으로 4대 시중은행 직원의 평균연봉 1억1200만원 보다 높은 수준이다.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연봉이 높은 하나은행(1억1700만원) 보다도 높다. 9일 새마을금고 중앙회 2022년 경영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정규직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19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연봉은 1억20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연봉은 작성일인 지난 3월 21일 기준으로 계산된 지급예상액이다. 공시자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 직원의 평균 연봉은 2018년 1억1500만원, 2019년 1억1400만원, 2020년 1억1500만원, 2021년 1억1700만원, 2022년 1억1900만원으로 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종업원 수는 948.6명, 평균근속연수는 13.9년이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직원들이 받는 연봉은 4대 시중은행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4대 시중 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1200만원으로 KB국민은행 1억1600만원, 신한은행 1억1300만원, 하나은행 1억1700만원, 우리은행 1억500만원 을 기록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경우에도 지난해 6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아 우리은행장(5억6100만원)보다 많은 연봉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6억5600만원이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2018년 6억900만원에 이어 2019년 5억8700만원, 2020년 5억6600만원, 2021년 6억3800만원, 2022년 6억5600만원으로 5~6억원대의 연봉을 꾸준히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는 약 6억4800만원의 연봉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상근임원의 경우에도 지난해 연봉은 4억8800만원에 달했으며 올해는 5억2900만원을 수령할 것으로 공시됐다. 지난해 4대 시중은행장 가운데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은행장은 KB국민은행 이재근 행장으로 13억9600만원을 받았으며 이어 하나은행(10억1600만원), 카카오뱅크(9억5300만원), 신한은행(8억2500만원), 우리은행(5억61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우리은행장보다 연봉을 더 많이 받았는데 지난해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고의 이익을 올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3-07-07 21:05:31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 연봉이 모두 1억원을 넘고 직원 상위 10% 평균 연봉은 2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로 가계, 기업이 모두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이 '이자 장사'로 벌어들인 돈으로 최근 성과급까지 인상하고 나서자 비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5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받은 주요 시중은행 총 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 총 급여(성과급 포함)는 처음으로 각사 모두 1억원을 넘어섰다. 국민은행이 1억107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한 1억529만원, 하나 1억525만원, 우리 1억171만원, 농협 1억162만원 순이었다. 평균 연봉뿐만 아니라 총 급여의 중위값도 2021년 국민 1억676만원, 신한 1억606만원, 하나 1억44만원으로, 3개 은행이 1억원을 넘었다. 농협은행(9670만원)과 우리은행(9636만원)도 1억원에 근접한 수준이었다. 중위값은 연봉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사람의 총 급여를 말한다. 중윗값이 평균 연봉과 유사하다는 것은 소수의 초고액 연봉자가 평균 연봉을 크게 끌어올린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임금 인상률 효과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2022년 평균 급여는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5대 은행이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단체협상을 마친 은행들부터 성과급을 속속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은행의 경우 기본급(통상임금) 대비 성과급 지급 비율을 2021년 350%에서 2022년 400%로 올리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2021년 300%에서 2022년 361%(우리사주 61% 포함)로 올려 지급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비율을 300%에서 280%로 내리는 대신 특별격려금 340만원을 지급하기로 해 실제 직원이 받는 금액은 더 늘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3-01-15 18:39:42[파이낸셜뉴스] 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연봉이 모두 1억원을 넘어섰다. 여기에 직원 상위 10% 평균연봉은 2억원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받은 주요 시중은행 총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직원 평균 총급여(성과급 포함)는 처음으로 각사 모두 1억원을 넘어섰다. 국민은행이 1억107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 1억529만원, 하나 1억525만원, 우리 1억171만원, 농협 1억162만원 순이었다. 평균연봉뿐만 아니라 연봉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사람의 총급여인 중위값도 2021년 국민 1억676만원, 신한 1억606만원, 하나 1억44만원으로, 3개 은행이 1억원을 넘었다. 한편 농협은행은 9670만원, 우리은행은 9636만원으로 1억원에 근접했다. 중위값이 평균연봉과 유사하다는 것은 소수의 초고액 연봉자가 평균연봉을 크게 끌어올린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한편 2021년 직원 상위 10%의 평균연봉은 2억원에 근접한 수준이었다. 국민은행이 1억9784만원이었고, 하나 1억9553만원, 신한 1억9227만원, 우리 1억8527만원, 농협 1억7831만원 순이었다. 기본적인 임금 인상률 효과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2022년 평균 급여는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이다. 5대 은행이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단체협상을 마친 은행들부터 성과급을 속속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은행의 경우 기본급(통상임금) 대비 성과급 지급 비율을 2021년 350%에서 2022년 400%로 올리기로 했고 신한은행은 2021년 300%에서 2022년 361%(우리사주 61% 포함)로 올려 지급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성과급 비율을 300%에서 280%로 내리는 대신 특별격려금 340만원을 지급하기로 해 실제 직원이 받는 금액은 더 늘었다. 고금리로 가계와 기업이 고통을 겪는 상황에서 이자 장사로 돈을 번 은행들이 성과급까지 발 빠르게 인상하자 비판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성과보수 체계 개선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임원 회의에서 "은행의 성과보수 체계가 단기 성과에 너무 치우쳐 중장기적으로 내부통제 및 리스크관리 소홀, 금융사고 발생 등 문제점이 초래되지 않도록 은행권과 함께 성과보수 체계의 개선 노력도 지속해달라"고 임원들에게 주문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23-01-15 08:56:34[파이낸셜뉴스] 국내 4대 시중은행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 20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발표한 '202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 직원의 지난해 평균 급여는 1억550만원이었다. 4대 은행 직원의 평균 급여는 2019년 9550만원에서 2020년 9800만원으로 2.6% 올랐고, 지난해에는 7.6% 상승했다. 은행별로 KB국민은행이 1억12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1억700만원), 하나은행(1억600만원), 우리은행(9700만원) 순이었다. 증가 폭은 신한은행이 11.5%로 가장 컸다. 이어 KB국민은행 7.7%, 하나은행 9.3%, 우리은행 2.1% 순이었다. 올해 희망퇴직 열풍이 불면서 '연봉 톱5'에 이름을 올린 직원들 대부분은 희망퇴직자들이 차지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에서는 희망퇴직자들의 연봉이 은행장보다 높았다. 신한은행 연봉 상위 5명은 모두 희망퇴직자들로, 퇴직금을 포함해 8억3200만∼8억7600만원을 받았다. 진옥동 행장의 월급은 8억2500만원이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2022-03-20 15:49:56올들어 3·4분기까지 국내 4대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7300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기준으로는 1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은행권의 3·4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들어 9월 말까지 우리은행 직원들의 1인당 평균 급여는 7300만원으로 4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이어 신한은행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이 7000만원, 하나은행 6900만원, 국민은행은 64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직원들의 급여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휴가보상금 폐지로 지난해 지급 결정된 금액의 일부가 올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면 평균급여는 6700만원이다. 올해 들어서도 은행권의 실적 고공 행진이 이어지면서 다른 시중은행들의 급여도 크게 늘었다. 4대 시중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했다. 이를 감안한 올해 평균 급여는 9400만원으로 연봉 1억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도 은행들의 실적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어 성과급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연봉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2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3·4분기 누적기준으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3조1000억원 이후 최고치다. 3·4분기 순이익은 4조1000억원으로 3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4대 시중은행 중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의 임금 격차가 가장 큰 곳은 하나은행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에 근무하는 남성 직원들이 올해 9월 말까지 받은 평균 급여액은 9000만원이었지만 여성 직원들은 5400만원 수준이었다. 반면 국민은행은 남성 직원이 7500만원, 여성 직원은 5200만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다. 직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이 가장 긴 곳은 국민은행으로 평균 근속연수는 9월 말 기준 16년 8개월로 집계됐다. 우리은행(16년 7개월), 신한은행(14년 6개월), 하나은행(14년 6개월)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계 은행을 포함하면 한국씨티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이 7700만원으로 은행 중에서 가장 많았다. 평균 근속연수는 16년으로 나타났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SC제일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6300만원, 근속연수는 14년 8개월로 집계됐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2018-11-26 17:16:14올들어 3·4분기까지 국내 4대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7300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기준으로는 1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은행권의 3·4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들어 9월 말까지 우리은행 직원들의 1인당 평균 급여는 7300만원으로 4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이어 신한은행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이 7000만원, 하나은행 6900만원, 국민은행은 64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직원들의 급여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휴가보상금 폐지로 지난해 지급 결정된 금액의 일부가 올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를 제외한 평균 급여는 6700만원이다. 올해 들어서도 은행권의 실적 고공 행진이 이어지면서 다른 시중은행들의 급여도 크게 늘었다. 4대 시중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했다. 이를 감안한 올해 평균 급여는 9400만원으로 연봉 1억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도 은행들의 실적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어 성과급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연봉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2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3·4분기 누적기준으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3조1000억원 이후 최고치다. 3·4분기 순이익은 4조1000억원으로 3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4대 시중은행 중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의 임금 격차가 가장 큰 곳은 하나은행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에 근무하는 남성 직원들이 올해 9월 말까지 받은 평균 급여액은 9000만원이었지만 여성 직원들은 5400만원 수준이었다. 반면 국민은행은 남성 직원이 7500만원, 여성 직원은 5200만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다. 직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이 가장 긴 곳은 국민은행으로 평균 근속연수는 9월 말 기준 16년 8개월로 집계됐다. 우리은행(16년 7개월), 신한은행(14년 6개월), 하나은행(14년 6개월)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계 은행을 포함하면 한국씨티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이 7700만원으로 은행 중에서 가장 많았다. 평균 근속연수는 16년으로 나타났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SC제일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6300만원, 근속연수는 14년 8개월로 집계됐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2018-11-26 14:29:56산업은행의 10개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평균 연봉이 3조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조선해양 부실관리, 낙하산 인사 파견 등 비판을 받아온 산은의 자회사 CEO의 고연봉이 도마에 올랐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산은에 제출받은 '2015년 산업은행 출자회사 CEO 연봉 현황'자료를 분석해 "산업은행 자회사(지분 15% 이상 보유) CEO의 2015년 평균연봉이 3억6000만원에 달했다"고 4일 밝혔다. 최고 연봉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하성용 대표로 8억3000만원에 달했다. 이어 산은캐피탈 구동현 대표 3억9000만원,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대표 3억4000만원, KDB인프라자산운용 김상로 대표 3억3000만원, 한국수출입은행 이덕훈 행장 3억2000만원, 한국감정원 서종대 원장 3억2000만원, 나노코 이종두 대표 3억원 순이었다. 이들을 포함한 상위 10개 자회사 대표의 연봉총액은 36억원에 달했다. 김 의원은 "산은 자회사 CEO들의 연봉이 일반 국민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며"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과도한 연봉 책정 관행이 시정될 수 있도록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점검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2016-10-04 13:56:43은행의 실적악화와 주가하락에도 불구하고 유럽과 미국의 주요 은행 최고경영자(CEO)들의 연봉은 두 자릿수나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임금 조사 기관인 에퀼라의 통계를 인용해 미국과 유럽등 세계 15개의 주요 은행 CEO의 평균 연봉이 전년대비 11.9% 오른 1280만달러(약 150억원)로 조사됐다고 보도했다. 연봉이 가장 많이 오른 CEO로는 JP모간의 제이미 다이먼,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브라이언 모이니헌, 씨티그룹의 비크람 팬디트 등이 꼽혔다. 특히 제이미 다이먼은 최근 JP모간의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 트레이드 거래 손실에도 불구하고 2년 연속 연봉 순위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다이먼의 지난해 연봉은 전년대비 11% 인상된 2310만달러(약 270억원)였다. 은행 실적이 개선될 때까지 지난 2년간 1달러의 보수를 받았던 씨티그룹의 팬디트 CEO의 지난해 연봉은 1490만달러(약 170억원)를 기록했다. 영국에서는 바클레이즈의 밥 다이아몬드 CEO의 연봉이 2010만달러(약 23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로이즈뱅킹그룹의 안토니오 호르타 오소리오 CEO는 1570만달러(약 180억원)를 받았다. 하지만 은행권 CEO들의 연봉 인상이 최근 수년간 이어지고 있는 실적 악화 속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난을 비켜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은행지수(FTSE)는 지난해 25% 급락했으며, 15개 은행 중 FTSE보다 주가가 선전한 은행은 웰스파고, BBVA, JP모간 등 단 세 곳에 불과했다. 한편, 에퀼러는 고액임금 인상에 대해 고려한듯 CEO들의 기본 연봉은 인상됐지만 현금 보너스등은 줄었다고 분석했다. 이번에 에퀼러가 조사한 연봉은 지난해 기본급에 현금 보너스, 스톡옵션 및 기타 혜택을 더한 금액이다. hbh@fnnews.com 황보현 기자
2012-06-25 14: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