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은행의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판매 전면 금지부터 지역별 거점점포에 한해 판매 허용, 고난도 상품 판매채널을 분리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업계, 학계, 소비자계 등의 의견을 듣고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5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보안교육센터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H지수 기초 ELS 대책 마련을 위한 공개 세미나'를 열었다. 이정두 금융연구원 박사는 '은행의 고난도 금투상품 판매 관련 금융소비자 보호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홍콩 H지수 ELS 대규모 손실 사태가 벌어진 이후 1년 만에 금융당국의 제도개선 방향이 윤곽을 드러낸 것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정책 방안을 정해놓고 발표 전 의견 수렴에 나서는 일반적인 공청회와 달리 3가지 안을 공개했다. △은행을 통한 고난도 금투상품 판매 전면 금지 △지역별 거점점포에 한해 고난도 금투상품 판매 허용 △창구분리 중심으로 불완전판매 방지 관련 내부통제 강화 등이다. 먼저 최대 20%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상품을 은행에서 전면 판매 금지하는 안이 제시됐다. 2019년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에도 판매돼온 일정 조건의 ELS 편입 신탁과 고난도 금투상품 편입 공모펀드를 은행 창구에서 팔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고난도 금투상품 판매를 위해 갖춰야 할 조건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이를 준수하는 지역별 거점점포에 한해 판매를 허용하는 안도 나왔다. 은행 일반창구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거점점포에서 일정 기간 이상 고난도 금투상품 판매 경력을 보유한 직원을 갖춘 경우에만 해당 상품을 팔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이 박사는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 국가 은행들은 대부분 투자상품을 전용창구에서 판매한다"며 "주요 은행이 금융센터 등으로 운영하는 지역별 대형점포 등을 거점점포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고객 창구를 △일반창구 △전용창구 △별도 사무실로 나누고, 고난도 금투상품은 별도 사무실에서만 판매하도록 하는 방안도 있다. 은행 영업점의 일반적인 대고객 창구는 예·적금 전용과 비고난도 금투상품 판매용으로 분리하고, 고난도 금투상품은 창구와 분리된 별도 사무실에서만 판매를 허용하게 된다. 금융당국이 3가지 안을 공개하고 의견수렴에 나선 이유는 제도 개선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여전해서다. 일각에서는 "안전한 예·적금 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은행이 고위험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반면, 소비자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그동안 전문가 및 업계 간담회 등을 진행했지만 의견이 엇갈리고 소비자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청취했다고 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며 "이날 취합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빠른 시일 안에 최종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판매규제가 실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도·관행을 개선하고, 불완전판매를 예방하는 내부통제 체계를 확립할 예정이다. 손실감수능력에 맞게 계약하도록 적합성 원칙 등을 구체화하고, 책무구조도와 내부통제기준 관리를 통한 불완전판매를 예방하는 안을 추진한다. 성과보상체계(KPI)를 개선해 고객 중심의 영업환경도 조성키로 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24-11-05 18:13:56[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총 5만6275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특히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민원 급증으로 은행권의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가장 많이 늘었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민원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는 전년동기 대비 16%(7769건) 늘어난 5만6275건을 기록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은행(5594건 증가), 손해보험(1802건 증가), 중소서민(1111건 증가) 민원은 증가한 반면 생명보험(582건 감소)과 금융투자(156건 감소) 민원은 감소했다. 권역별 비중은 손해보험(35%), 은행(25%), 중소서민(21%), 생명보험(11.7%), 금융투자(7.3%) 순이엇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 은행 민원은 1만4080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65.9% 급증했다. 홍콩 H지수 기초 ELS 관련 민원이 다수 제기되어 펀드·신탁 민원유형이 대폭 증가했고 보이스피싱, 예적금 관련 민원유형이 소폭 증가했다. 반면 여신 관련 민원유형은 감소했다. 중소서민 민원은 전년동기 대비 10.4% 늘어난 1만1836건이었다. 신용카드사(367건 증가)와 신용정보회사(235건 증가) 민원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올해 상반기 생명보험 민원은 6586건으로 전년동기보다 8.1% 감소했다. 보험모집과 보험금 산정·지급이 1년 전보다 각각 12.5%, 15% 감소한 영향이다. 생명보험과 달리 손해보험 민원은 1만9668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보험금 산정 ·지급(1662건 증가)과 계약 성립·해지(395건 증가)가 각각 17.5%, 30% 늘어난 반면 면부책 결정(251건 감소)에서 12.5% 줄었다. 금융투자 민원은 4105건으로 전년동기보다 3.7% 감소했다. 증권사와 투자자문사에 대한 민원은 각각 79건, 219건 감소했지만 부동산 신탁사와 자산운용사 민원은 증가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처리건수는 총 4만9941건으로 전년동기보다 2.1% 증가했다. 처리건수는 2022년 상반기 4만734건, 2023년 상반기 4만8902건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상반기 전체 민원에 대한 평균 처리기간은 35.3일로 전년 동기(48.9일) 대비 13.6일 대폭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민원 수용률은 37.2%로 전년 동기(34.9%) 대비 2.3%p 증가했다. 일반민원 수용률은 33.5%로 전년 동기(31.2%) 대비 2.3%p 증가했으며 분쟁민원 수용률은 44.5%로 전년 동기(40.3%) 대비 4.2%p 늘었다. 금감원은 "신속한 분쟁처리와 함께 소비자 피해구제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적체 민원 해소, 처리기간 단축 등 민원처리 효율화와 함께 소비자 피해예방 및 구제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실손보험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실손보험 보험금 산정 및 지급에 대한 민원유형은 총 349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6%(839건) 증가했다. 금감원은 "실손보험과 관련된 소비자 유의사항 등을 지속적으로 안내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24-09-12 00:50:005대 시중은행장의 임기가 올해 말 만료되는 가운데 은행장들의 연임 여부에 은행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올해 실적이 홍콩 H지수 기반 주가연계증권(ELS) 자율배상이라는 악재 속에서도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가는 만큼 실적보다는 횡령·부당대출·배임 등 은행권의 내부통제 문제와 지배구조가 은행장의 연임을 가르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상최대 실적 속 연임 가능성은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재근 국민은행장과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의 임기가 연말 동시에 종료되면서 내달부터 각 금융지주에서 후임 인선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각 금융지주는 은행장 선임을 위한 계열사 대표추천위원회 혹은 자회사 대표추천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최종 은행장 후보를 추천한다. 은행장 후보는 롱리스트, 숏리스트 과정을 거친다. 최대 관심은 현 은행장들의 연임 여부다. 당장 눈으로 보이는 올 상반기 실적은 5대 은행 모두 나쁘지 않다.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신한은행 2조535억원 △하나은행 1조7509억원 △우리은행 1조6735억원 △KB국민은행 1조5059억원 △NH농협은행 1조2667억원 순이었다. H지수 기반 ELS 관련 충당부채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5대 은행 모두 양호한 실적을 냈다는 평가다. 이에 은행장들의 연임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다는 관측이다. 실적과 금융사고 관리를 모두 양호하게 관리한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연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승열 하나은행장은 첫 외환은행 출신 행장으로 지난해 '리딩뱅크'를 달성하며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단 정량적인 지표, 즉 좋은 실적을 냈다면 차기 행장으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신한·하나은행이 안정적으로 좋은 실적을 낸 것은 연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한·하나은행에 대규모 금융사고 이슈가 없었던 것도 리스크관리·내부통제 역량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은행 이재근 행장은 '2+1년' 임기를 마치고 추가 연임을 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ELS 자율배상 악재 속에서도 호실적을 내면서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와 ELS 자율배상에 따른 대규모 손실, 부동산담보 과당대출 사고 등이 연임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동시에 나온다.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는 "이재근 행장 나이가 타 은행장과 비교해 젊은 편이고 조직안정 차원에서 1년 추가 연임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KB금융지주 회장 후보에 올랐던 허인 전 행장은 3연임(임기 총 4년)을 하기도 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신한은행장 시절 총 4년간 행장을 지냈고, 하나은행에서도 연임은 물론 3연임 사례가 적지 않다. ■내부통제·지배구조도 '변수' 우리은행 조병규 행장은 높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올해 연이어 발생한 횡령·부당대출 사고가 연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전날 우리금융 현 경영진에 강도 높은 비판을 한 점도 부담을 키우는 대목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상반기 1조4720억원에서 올 상반기 1조6735억원으로 1년 새 당기순이익을 2015억원 끌어올렸다. 하지만 우리은행 직원의 180억원 횡령에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350억원대 부당대출 사고가 적발되면서 내부통제 관리 부족이 문제로 지적됐다. 주가 허위로 증빙서류를 제출했음에도 우리은행 직원들이 기업대출을 내주고, 부동산 담보가치가 부족하거나 담보물이 없는데도 신용도를 상향 평가해 수십억 대출을 실행하면서 우리은행은 158억원 재무적 피해를 보게 된 점이다. 이와 관련, 우리은행은 직위에 상관없이 임직원들이 부당한 업무지시에 대해 내부제보를 할 수 있도록 업무처리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등 제도개선에 나섰다 농협은행은 실적보다는 농협중앙회-금융지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가 핵심 변수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올해 3월 취임한 가운데 금융지주 자회사 중에서도 핵심인 농협은행 수장이 바뀔 것이란 관측이 크다. 농협은행장 중 '2+1년' 연임을 한 사례가 없지 않지만 2년으로 임기를 마치는 게 통상적이다. 이석용 농협은행장이 내부 출신 세대교체를 이뤄냈지만 올해에만 총 170억원대 금융사고가 적발된 것이 부담이다. 다만 이 행장은 일요일 비상경영위원회를 가동하는 등 목표 손익 달성에 주력하고 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박소현 기자
2024-08-21 18:25:00[파이낸셜뉴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충당금 적립과 금리 인하 효과 등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조5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2024년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이 12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수치다. 시중은행 순이익이 6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9000억원) 대비 2000억원 감소한 반면 지방(+1000억원)·인터넷은행(+1700억원)은 소폭 증가했다. 특수은행 순이익은 4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4000억원) 대비 1조6000억원 감소했는데 이는 2023년 상반기 한화오션 경영정상화로 순이익이 크게 늘어난 기저효과에 주로 기인한다. 2024년 상반기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7%로 전년 동기(0.79%) 대비 0.12%p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9.03%로 전년 동기(10.85%) 대비 1.82%p 하락했다. 항목별로 국내은행 이자이익은 29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9조4000억원) 대비 4000억원 늘었다. 이는 이자수익자산 증가(+4.1%)에 주로 기인하며 순이자마진(NIM)은 0.06%p 축소해 이자이익 증가세가 둔화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3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8000억원) 대비 4000억원 줄었다. 수수료이익(+2000억원)과 유가증권관련이익(+2000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는데 외환·파생관련이익이 6000억원 감소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12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 늘었다. 대손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5000억원 줄어든 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상반기 중 특수은행의 한화오션 관련 충당금 환입에도 불구하고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 등에 따라 국내은행 대손비용이 큰 폭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다. 마지막으로 영업외손익은 -1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원) 대비 2조3000억원 줄었다. 2023년 상반기는 한화오션 투자지분 손상차손 환입으로 영업외손익이 증가한 반변 올 상반기에는 ELS 관련 충당부채 1조4000억원을 적립하며 영업외손익이 감소했다. 금감원은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금융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위기시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08-21 15:48:24[파이낸셜뉴스]SC제일은행이 올해 상반기 204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2.5% 감소한 것이다. 비이자이익 부문이 성장했지만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으로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SC제일은행은 올 상반기 전년동기(2092억원) 대비 2.5% 감소한 204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고 14일 공시했다. H지수 ELS 상품 배상 추정액(969억원)을 일회성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하면서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3471억원으로 전년동기(2782억원)보다 689억원(24.8%) 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자이익은 순이자마진(NIM)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자산 규모의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5.3% 감소했다. 비이자이익은 소매금융그룹 자산관리(WM) 부문의 판매수수료 등이 증가해 전년동기대비 14.2% 늘었다. 비용은 전년동기(4802억원)보다 439억원(9.1%) 감소했다. 정기적 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증가했음에도 다른 비용 등을 철저히 관리한 결과다. 대손충당금전입액은 전년동기대비 345억원 감소한 216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 같은 기간 발생한 기업대출 충당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관련 선제적인 추가 적립 충당금이 기저 효과로 나타난 영향이다. 기타충당금전입액은 상생금융지원 자율프로그램 관련 충당금의 영향으로 284억원을 기록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48%로 전년동기대비 0.06%포인트 증가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65%로 전년동기대비 0.28%포인트 감소했다. 자산건전성 지표는 나빠졌다.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기업 및 가계 고정이하여신이 늘어남에 따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3%로 전년동기대비 0.12%포인트 상승했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전년대비 22.54%포인트 하락한 211.17%를 기록했다. SC제일은행의 올해 상반기 자산 규모는 전년 말(85조7008억원)보다 6947억원(0.8%) 증가한 86조395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6월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CAR)은 21.62%로 2023년 초 바젤3 최종안 도입 이후 6분기 연속 20%를 상회하고 있다.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7.69%를 기록했다. SC제일은행은 △소매금융 부문에서 모기업 스탠다드차타드(SC) 그룹과 연계한 글로벌 자산관리 △현대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디지털 혁신 상품, 사업 제휴 △SC그룹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별화된 기업금융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실적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2024-08-14 16:42:05[파이낸셜뉴스]지난 3년 동안 15개 은행들 중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종합 '우수' 등급을 받은 곳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셍중국기업지수 기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과정에서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 사례가 적발된 데다, 100억원대 횡령·배임 사고가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H지수 ELS 상품을 불완전판매한 일부 은행들이 관련 항목에서 가장 높은 '우수' 등급을 받은 경우도 있어 금융감독원의 소비자보호 실태평가 실효성에 의문도 제기된다. ■ 소비자보호 실태평가 '우수' 은행 15곳 중 제로 4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금감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를 받은 15개 은행들 중 종합 등급이 우수 등급인 은행은 한 곳도 없었다. 평가등급은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취약 등 5개 등급으로 내부통제기준·금융소비자보호기준이 요구되는 수준보다 높아 매우 높은 수준의 소비자보호를 달성할 수 있으면 우수 등급을 받는다. 지난 3년간 평가를 받은 15개 은행 중 KB국민은행·신한·NH농협은행 총 3곳만 종합 평가 양호 등급을 받았고, 12개 은행 모두 보통 등급으로 평가됐다. 보통 등급은 내부통제기준, 금융소비자보호기준이 요구하는 소비자보호 수준을 대체로 이행하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소비자보호 체계·조직·제도와 실제 운영간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은행은 민원·분쟁 발생건수, 평균 민원처리 기간과 같은 계량 항목보다 판매과정에서 소비자보호 체계 구축·운영과 같은 비계량 항목에서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 지난 2021년 실태평가를 받은 하나·부산·경남은행과 카카오뱅크는 △금융소비자보호 전담조직 △금융상품 개발 과정의 소비자보호 체계 구축 및 운영 △금융상품 판매 과정의 소비자보호 체계 구축 및 운영 등 3개 비계량 항목에서 보통 이하 등급을 받았다. 광주·수협은행과 케이뱅크는 지난 2022년 실태평가에서 총 6개의 비계량항목에서 모두 보통 이하 등급을 받았다. 금융상품 개발 시 소비자 위험요인 점검기준 마련, 해피콜·미스터리 쇼핑 등 판매절차 준수, 소비자보호 담당임원(CCO) 및 금융상품 판매 임직원·영업점 조직에 대한 성과보상제도 마련 등 비계량 항목을 살펴본 결과 실질적으로 소비자를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2021년 3월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시행됐음에도 은행이 외형적으로 소비자보호를 강화했을 뿐 실질적인 이행은 더디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 "불완전판매한 은행도 양호?" 실태평가 실효성 의문 금감원의 실태평가가 실제 소비자보호 관련 사고를 예방하고 은행 소비자보호 수준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실효성이 의문이란 지적도 나온다. H지수 ELS를 판매한 농협·SC제일·신한은행은 금융상품 판매 단계에서 준수해야 할 기준과 절차 항목에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융상품을 판매할 때 지켜야 할 절차와 내부심의 절차를 마련·운영하고, 해피콜·미스터리쇼핑 등 판매절차를 점검할 기준도 갖춰 운영하는 데 큰 문제가 없었다는 평가다. 지난 2021년 실태평가를 받은 국민은행은 금융상품 개발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에 대한 잠재적 위험 평가를 실시하고, 판매 과정에서도 절차·방법·기준 운영 및 관련 성과 보상체계 등의 항목에서 양호 등급을 받았다. 하지만 금감원의 현장검사 결과 소비자보호 실태평가와는 상이한 판단이 나왔다. 금감원은 지난 3월 "지난 1월부터 ELS 판매 은행 등 주요 판매사에 현장검사를 실시한 결과 △판매정책·소비자보호 관리실태 부실 △판매시스템 차원의 불완전판매 △개별 판매과정에서의 다양한 불완전판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연합회 등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소비자보호 강화 방안이 담긴 H지수 ELS 사태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고 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2024-08-04 14:45:43은행권 초고액자산가들이 원금이 보장되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와 방카슈랑스(은행 창구에서 판매하는 보험), 펀드에 눈을 돌리고 있다. 홍콩H지수 급락으로 자산가들도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에서 큰 손해를 보면서 대안 투자로 원금보장형 상품이 급부상한 것이다. 우리은행에서는 펀드와 방카 판매는 1년 새 약 28% 가량 급증했고 신한은행은 최근 ELB 비대면 판매를 시작하는 등 은행권이 원금보장형 상품을 원하는 고객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상반기 ELB 발행액 75.5% 급증 1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ELB 발행액은 10조334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발행액이 75.5% 급증한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ELS 발행액은 7조334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2% 급감했다. ELB는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 변동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지만, 원금이 보장되는 점이 특징이다. ELS와 비교해 수익성은 다소 낮지만 리스크도 줄어드는 구조다. 올해 1·4분기 ELS 발행액도 지난해 말보다 23조원 줄어든 8조원을 기록했다. 특히 총 8조원의 ELS 발행액 중 원금지급형 ELS와 원금비보장형 ELS 발행액은 각각 4조원, 4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원금지급형 ELS 발행액이 약 1조원(33.3%) 증가했고, 원금비보장형 ELS의 발행액은 2조7000억원(39.7%) 급감했다. H지수 불완전판매 논란 속에 고객의 선택이 원금보장형 상품으로 쏠린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WM 부문이 펀드, 방카, ELB의 대면 비대면 판매를 늘려나가는 것은 ELS 사태 이후 고액자산가 고객군이 증권사로 빠져 나가는 현상을 막기 위한 측면도 있다"면서 "기존과 달리 고액자산가도 은행을 방문하지 않고 앱으로 거래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방카·펀드 자산관리 실적 견인 ELS보다 높거나 유사한 수익성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방카슈랑스나 펀드 상품을 주목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지난달 기준 펀드 판매 수수료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5% 상승했다. 같은 기간 펀드 판매 수수료 수익은 179억4000만원에서 231억5000만원으로 급증했다. 우리은행의 방카 판매 수수료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7% 늘었다. 지난해 6월 말 374억원에 불과했던 방카 판매 수수료는 1년 새 477억7000만원 수준으로 늘었다. 펀드와 방카가 자산관리 영업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송현주 우리은행 자산관리그룹장은 "현장 PB들을 만날 때 '상품과 시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고객의 자산을 내 가족의 자산이라 생각하고 포트폴리오를 추천할 것'을 매번 강조하는데 그 성과가 조금씩 빛을 보는 것 같다"면서 "단기 실적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고객님들이 전적으로 신뢰하는 자산관리 영업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10일 신한쏠(SOL)뱅크 앱에서 비대면으로 ELB 펀드 가입을 가능하게 했다. ELB 상품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고객 편의성 향상을 위해 판매 채널을 다양화한 것이다. 오경석 신한PWM 태평로센터 PB팀장은 "ELS 판매 중단여파에 지수 상승 부담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다양한 구조의 ELB가 출시되고 있다"면서 "현재 정기예금 금리가 나날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투자원금은 지키면서 추가적인 알파 수익을 노려볼 수있는 상품중 하나가 ELB"라고 말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4-07-16 18:19:07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직원 1인당 생산성 평균액이 1년 만에 39.4%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의 평균 생산성은 28.8% 줄었다. 특히 올해 1·4분기 홍콩항센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자율배상 지급에 따라 일회성비용이 커지면서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 생산성은 절반 가까이 곤두박질쳤다. 반면 인터넷은행은 'H지수 ELS 사태'를 비껴간 데다 무점포 영업으로 경영효율성을 끌어올리면서 1인당 생산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인뱅 무점포·비대면 '효율성' 높여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토스뱅크의 올해 1·4분기 직원 1인당 충전이익은 2억4900만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억2000만원)보다 107.5% 늘어난 것이다. 충전이익은 충당금적립전이익의 줄임말로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더한 뒤 일반 판매관리비를 제한 금액이다. 충전이익을 총 직원수로 나누면 그 기업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직원 1인당 생산성도 1억5000만원에서 1억8000만원으로 20% 가까이 늘어났다. 카카오뱅크는 1억3700만원 0.7% 늘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인터넷은행은 점포를 운영하지 않아 판관비 지출 부담이 없어서 여·수신 상품의 고른 성장만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무점포·비대면이라는 업계 특성에 대환대출 인프라의 흥행으로 1·4분기 업계 3사가 모두 호실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H지수 ELS 자율배상으로 막대한 충당금을 쌓은 5대 시중은행의 생산성은 급감했다. 올 1·4분기 5대 시중은행 직원 1인당 충전이익은 664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9320만원) 대비 28.8%나 줄어든 것이다. 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은 각각 4400만원, 3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58.4%, 50% 줄어든 수치다. 하나은행은 8800만원(-20.7%), 신한은행 7900만원(-13.2%), 우리은행 8400만원(-3.4%) 등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충당부채는 이번 분기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4분기부터는 반영되지 않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행원 연봉 1억 '훌쩍' 넘어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직원의 연간 평균 보수(근로소득)는 각각 1억1000만원, 1억원을 웃돌았다. 급여, 상여, 성과급 등을 합한 임원 평균 보수도 인터넷전문은행은 2억원, 주요 시중은행은 3억원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과 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1265만원을 기록했다. 평균 연간 보수가 1억1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터넷은행 3사 직원의 평균 보수는 지난해 1억원을 다시 돌파했다. 지난해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 직원의 보수가 큰폭으로 상승하면서 3사 평균 1억187만원을 기록했다. 시중은행에서는 국민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182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나은행 1억1566만원 △농협은행 1억1069만원 △우리은행은 1억969만원 △신한은행 1억898만원 순이었다. 지난 2022년 하나은행 직원의 평균 보수는 5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1억1477만원으로 집계됐지만, 지난해 인상 폭이 국민은행보다 떨어지며 2위로 물러났다. 토스뱅크 직원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1억2621만원으로 5대 시중은행 연봉 1위인 국민은행보다 800만원 많았다. 카카오뱅크 직원의 평균 연봉은 1년 새 2856만원 줄었다. 케이뱅크는 8249만원이라고 공시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임원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각각 3억1299만원, 2억6992만원으로 집계됐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4-06-05 18:33:22#OBJECT0# [파이낸셜뉴스]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직원 1인당 생산성 평균액이 1년 만에 39.4%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의 평균 생산성은 28.8% 줄었다. 특히 올해 1·4분기 홍콩항센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자율배상 지급에 따라 일회성비용이 커지면서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 생산성은 절반 가까이 곤두박질쳤다. 반면 인터넷은행은 'H지수 ELS 사태'를 비껴간 데다 무점포 영업으로 경영효율성을 끌어올리면서 1인당 생산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인뱅 무점포·비대면 '경영효율성' 높였다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토스뱅크의 올해 1·4분기 직원 1인당 충전이익은 2억4900만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억2000만원)보다 107.5% 늘어난 것이다. 충전이익은 충당금적립전이익의 줄임말로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더한 뒤 일반 판매관리비를 제한 금액이다. 충전이익을 총 직원수로 나누면 그 기업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케이뱅크의 직원 1인당 생산성도 1억5000만원에서 1억8000만원으로 20% 가까이 늘어났다. 카카오뱅크는 1억3700만원 0.7% 늘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인터넷은행은 점포를 운영하지 않아 판관비 지출 부담이 없어서 여·수신 상품의 고른 성장만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무점포·비대면이라는 업계 특성에 대환대출 인프라의 흥행으로 1·4분기 업계 3사가 모두 호실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H지수 ELS 자율배상으로 막대한 충당금을 쌓은 5대 시중은행의 생산성은 급감했다. 올 1·4분기 5대 시중은행 직원 1인당 충전이익은 664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9320만원) 대비 28.8%나 줄어든 것이다. 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은 각각 4400만원, 3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58.4%, 50% 줄어든 수치다. 하나은행은 8800만원(-20.7%), 신한은행 7900만원(-13.2%), 우리은행 8400만원(-3.4%) 등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충당부채는 이번 분기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4분기부터는 반영되지 않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행원 연봉 1억 '훌쩍' 넘어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직원의 연간 평균 보수(근로소득)는 각각 1억1000만원, 1억원을 웃돌았다. 급여, 상여, 성과급 등을 합한 임원 평균 보수도 인터넷전문은행은 2억원, 주요 시중은행은 3억원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과 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1265만원을 기록했다. 평균 연간 보수가 1억1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터넷은행 3사 직원의 평균 보수는 지난해 1억원을 다시 돌파했다. 지난해 첫 분기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 직원의 보수가 큰폭으로 상승하면서 3사 평균 1억187만원을 기록했다. 시중은행에서는 국민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182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하나은행 1억1566만원 △농협은행 1억1069만원 △우리은행은 1억969만원 △신한은행 1억898만원 순이었다. 지난 2022년 하나은행 직원의 평균 보수는 5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1억1477만원으로 집계됐지만, 지난해 인상 폭이 국민은행보다 떨어지며 2위로 물러났다. 토스뱅크 직원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1억2621만원으로 5대 시중은행 연봉 1위인 국민은행보다 800만원 많았다. 카카오뱅크 직원의 평균 연봉은 1년 새 2856만원 줄었다. 케이뱅크는 8249만원이라고 공시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임원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각각 3억1299만원, 2억6992만원으로 집계됐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4-06-04 15:44:32주요 시중은행과 투자자 간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협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배상 합의 사례가 이미 5000건을 넘어섰고, KB국민은행·신한은행 등에 이어 하나은행도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수천 건의 협의에 돌입하는 만큼 올해 상반기 1만건 이상의 합의가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현재까지 5323건의 H지수 ELS 손실 건에 대해 투자자와 자율 배상에 합의했다. 관련 상품을 가장 많이 판 KB국민은행의 경우 지난달 27일부터 올해 1월 만기 도래한 6300여 건의 ELS 손실 확정 계좌(중도해지 포함)를 대상으로 자율배상 협의를 시작했다. 이후 지난달 말까지 약 1주 간 협상 대상 중 절반이 넘는 3440건이 합의에 이르러, 이전 실적(129건)까지 3569건의 배상을 마친 상태다. 그간 은행권에서 가장 배상을 서둘러 온 신한은행에서도 지금까지 992건의 합의가 도출됐으며, NH농협의 경우 지난달 21일 손실 고객을 대상으로 자율배상 조정 신청을 받기 시작한 뒤 지난주 대거 협상이 타결돼 모두 556건에 대해 배상금 지급까지 마무리됐다. 신속한 자율 배상을 위해 관련 서류 간소화 시스템 등에 공을 들여온 하나은행도 이달부터 수천 건의 배상 협상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6월에는 약 3000여건의 배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난달 중순께 6900대까지 올랐다가 최근 6300대로 내려온 홍콩H지수는 ELS 배상 협상의 주요 변수다. 상품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가입 기간에 한 번이라도 기초자산 가격이 가입 시점보다 50% 초과 하락'과 같은 '녹인(knock-in)' 조건이 붙은 ELS의 경우 현재 H지수가 가입 당시의 70%, 녹인 조건이 없는 ELS의 경우 65%를 각각 넘어야 이자(이익)를 받고 상환 가능하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2024-06-02 18:0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