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산림청이 '2025 올해의 나무'로 선정한 진도 운림산방 배롱나무는? 15일 전남도에 따르면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315에 위치한 운림산방은 조선시대 남화의 대가였던 소치 허련 선생이 말년에 거처하며 여생을 보냈던 화실이다. 연못과 정원이 어우러진 진도의 대표 명승지로, 연못 인공섬에는 약 95년 된 배롱나무가 있다. 이 배롱나무는 여름 내내 꽃을 피우고 사계절 아름다운 자태를 유지하며 운림산방의 자연 풍경을 완성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 배롱나무에 대해 아름다운 수형과 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 우리 전통 정원에서 중시하는 '조화의 미(美)'를 잘 담고 있다며 '2025 올해의 나무'로 선정했다. 산림청의 '2025 올해의 나무' 선정은 보존 가치가 높은 보호수가 가진 운치와 멋, 형태 등 생태·경관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람과 상생의 역사 등 인문학적 가치를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한편 보전·관리가 필요한 노거수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에서 소나무, 곰솔, 왕버들 등 8종 10그루(보호수 5·노거수 5)가 최종 선정된 가운데 전남에선 노거수 부문에서 운림산방 배롱나무가 선정됐다. 이번 선정에 따라 이 배롱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될 예정이며, 환경 개선 및 홍보를 위한 녹색자금이 2000만원에서 최대 2500만원이 배정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노거수 주변 정리, 안내판 설치, 환경 개선 등 다양한 정비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강신희 전남도 산림자원과장은 "'올해의 나무' 선정을 계기로 지역의 아름다운 산림자원을 널리 알리고, 체계적으로 가꿀 계기가 됐다"면서 "지역에서 보존 가치가 있는 노거수를 적극 발굴해 보호수로 지정하는 등 주민들과 함께하는 산림 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4-15 09:42:19【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2020년 새해를 맞아 '이리오너라~ 업고놀자!'를 주제로, 예향 남도의 대표 관광지인 진도 운림산방과 해남 설아다원을 1월 관광지로 추천한다고 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예향' 전남은 예로부터 학문과 예술을 꽃피워 남도문화를 이뤘고 학덕이 높은 선비와 붓과 먹으로 글씨를 쓰는 묵객을 많이 배출했다. 진도와 해남은 조선시대에 한양과 멀리 떨어진 탓에 유배지로 자주 선택되기도 했다. 당시 이곳으로 유배를 온 사람들은 당파싸움에서 밀렸지만 글, 그림 등에 조예가 깊었다. 유배 생활 동안 글과 그림으로 세월을 보냈고 사람들과 교류를 활발하게 한 덕분에 학문과 예술이 꽃을 피웠다. 그 대표적인 곳 가운데 한 곳이 바로 진도 운림산방이다. 조선 후기 남종화의 대가 소치 허련(1808-1893)이 말년을 보냈다. 첨찰산 아래 자리잡은 이곳은 그 풍경만으로도 수묵화로 그려낸 듯한 멋을 지녔다. 소치 선생은 작은 집 앞에 '운림지'라는 연못을 파고 한가운데 둥근 섬을 만든 후 직접 섬에 배롱나무를 심었는데, 그 아래 커다란 바위와 어우러져 고풍스러운 느낌을 자아낸다. 운림산방을 한 바퀴 둘러보는 데는 20여분이면 충분하지만 곳곳에 놓인 의자에 앉아 여유롭게 풍경을 감상한다면 여행의 재미를 더할 수 있다. 운림산방 옆 소치기념관에는 소치의 작품은 물론 그의 스승과 후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곳에서 꼭 감상해야 할 작품은 소치의 전형적 화풍을 엿볼 수 있는 '선면산수도'와 봄이 오기 전 꽃을 피운 고결함을 나타낸 '매화도'다. 최근 운림산방은 하루 평균 1000여명의 방문객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추운 겨울이지만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운림산방을 돌아보면 한 해를 여유롭게 시작할 기운이 느낄 수 있다. 차를 통해 득도의 경지에 올랐다는 초의선사가 머물렀던 해남은 조선시대 말부터 차의 성지였다. 현재는 차 문화의 명맥이 많이 사라진 상태지만 두륜산 암봉 반대편 자락에 차밭 설아다원이 조용히 그 명맥을 잇고 있다. 부부가 직접 차를 재배하고 가꾸며, 유기재배 인증을 받은 차밭이다. 설아다원은 단순한 차 농원이 아니다. 직접 찻잎을 따 덖어볼 수 있는 차 만들기 체험과 차 명상, 제철음식 체험, 풍물 체험도 할 수 있다. 그 중 백미는 바로 부부의 우리 가락 공연이다. 아내는 진도아리랑, 흥부가 등의 판소리를 구성지게 부르고, 남편은 그에 박자를 맞춘다. 한옥에서 전통차를 마시며 우리 가락을 듣는, 더없이 전통적인 공연이다. 따뜻한 차 한 잔과 구성진 판소리 공연의 즐거움을 만끽한 뒤 차밭을 산책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어둠이 깔린 차밭은 몽환적 분위기를 연출하기 때문이다. 달빛이 비치는 차밭을 따라 걷다가 나무 데크에 누워 밤하늘을 바라보면 도시 생활에서 찾을 수 없는 낭만을 느낄 수 있다. 김명신 전남도 관광과장은 "예향 남도에서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흥겨운 한 해의 시작을 열길 바란다"며 "올해도 전남의 다양한 매력을 알리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9-12-31 16:0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