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동남아시아 농촌지역의 열악한 도로 인프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포장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시공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는 토목섬유 소재 사이에 콘크리트 재료를 넣어 매트 형태로 제작한 제품으로 제품 설치 후 물을 뿌리면 1시간 안에 콘크리트 성분이 굳으면서 단단해지는 제품이다. 일반 콘크리트보다 빨리 굳어 급속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해 중장비 없이도 소수 인력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현재 비탈면, 철도사면, 제방, 수로 구조물 보강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번에 건설연 지반연구본부 연구팀이 신규 개발한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는 비포장도로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구조를 개량하고 성능을 개선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강우 시 우수의 지반 침투를 방지해 지반침하와 도로 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 현장 설치 시에 대형 장비 대신 인력 시공이 가능하며, 기존 대비 시공시간을 50% 이상 단축시켜 빠른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건설연 연구팀은 필리핀 팜팡가(Pampanga) 지역의 실제 비포장도로에서 현장 시험 시공을 진행했다. 현장 시공 후 현장시험과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복합매트는 변형, 파손, 침하 없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현장시험은 현지 공인시험기관(MJAS Zenith)이 직접 수행함으로써 기술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했다. 건설연은 이 기술이 소규모 비포장도로에 저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공기 단축 효과까지 있어 농촌 및 지방 지역의 도로 인프라 확충이 절실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매우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기업의 생산설비 개선을 통해 제작 단가를 낮추고 품질을 향상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울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박선규 원장은 “이번 기술 개발은 동남아 지역의 비포장도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실질적인 발판이 될 것”이라며, “건설연은 앞으로도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해 국제적인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건설연 중소·중견기업 지원사업인 '동남아지역 비포장 도로 개선을 위한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개발 및 현지사업화' 과제를 통해 개발됐으며, 해당 기술은 콘텍이엔지에 기술 이전됐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7-03 11:10:42[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코레일은 선로 비탈면의 수해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초속경(超速硬) 복합매트’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코레일과 중소기업 등 5개 산학연 기관들이 참여해 공동 개발했다. 그동안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선로노반의 유실을 막기 위해 경사면에 식물을 심어 흙을 고정하는 식생공법 등을 사용해왔지만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새로 개발된 복합매트의 표면은 환경에 무해한 섬유소재, 그 사이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빨리 굳는 초속경 콘크리트로 이뤄져 있다. 수해 우려가 있는 선로 비탈면에 복합매트를 설치하고 물을 뿌리면 1시간 이내로 콘크리트가 굳어 유실을 막는다. 새로운 복합매트를 이용하면 별도의 대형장비 없이 신속한 시공으로 선제적으로 수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시행하던 비탈면의 제초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선로 유지보수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한다. 코레일은 지난 24일 경전선 능주역 인근 선로변에 초속경 복합매트를 시험 시공했다. 앞으로 1년간 성능을 평가해 순차로 수해 우려 장소에 설치할 예정이다. 윤임수 코레일 기술안전연구처장은 “복합매트 개발에 그치지 않고 비탈면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해 안전한 열차 운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나희승 코레일 사장은 “새로운 기술개발로 여름철 집중호우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됐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안전사고 및 중대재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2-06-02 09: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