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일명, 초프리미엄 빌트인 브랜드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영문명 앞자를 딴 'SKS'로 새롭게 단장하고, 주력시장인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빌트인 가전시장 공략을 강화하겠다고 20일 밝혔다.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는 지난 2016년 출시돼 올해로 10년 차를 맞았다. 그간 축적된 프리미엄 빌트인 기술력과 고객 신뢰로 북미, 유럽 등 최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인정받는 빌트인 전문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브랜드명 변경은 보다 직관적 마케팅을 위해서다. LG전자는 오는 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미국 최대 주방·욕실 전시회인 'KBIS 2025'에 더욱 확대된 SKS라인업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히든 인덕션'과 일체형 후드를 적용한 아일랜드 시스템(서랍장이나 수납 선반 등으로 구성된 가구) 형태의 콘셉트 제품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단순 제품을 넘어, 주방 공간 내 전체적인 인테리어를 위한 가전 솔루션을 제안하는 '토털 공간 솔루션'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36인치 '쿡존프리 인덕션 프로레인지(Prorange)'도 선보인다. 이 제품은 올프리(All-free) 인덕션을 탑재해 어느 위치에 용기를 놓아도 크기와 위치에 맞춰 자동으로 화구가 인식된다. 또 제품 아래에는 오븐이 탑재돼 동시에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다. 프로레인지에 올프리 인덕션이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는 프리미엄 빌트인 시장에서 핵심 부품 기술력에 고객과 공감하는 AI 기술과 세련된 디자인을 더한 빌트인 전문 브랜드를 앞세워 1등 가전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글로벌 빌트인 시장 규모는 올해 645억 달러(한화 약 93조 3500억 원)로 예상된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새롭게 단장한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의 차별화된 가치를 앞세워 B2B 사업의 중요한 한 축인 빌트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은효 기자
2025-02-20 18:39:16[파이낸셜뉴스] LG전자가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일명, 초프리미엄 빌트인 브랜드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영문명 앞자를 딴 'SKS'로 새롭게 단장하고, 주력시장인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빌트인 가전시장 공략을 강화하겠다고 20일 밝혔다.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는 지난 2016년 출시돼 올해로 10년 차를 맞았다. 그간 축적된 프리미엄 빌트인 기술력과 고객 신뢰로 북미, 유럽 등 최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인정받는 빌트인 전문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브랜드명 변경은 보다 직관적 마케팅을 위해서다. LG전자는 오는 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미국 최대 주방·욕실 전시회인 'KBIS 2025'에 더욱 확대된 SKS라인업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히든 인덕션'과 일체형 후드를 적용한 아일랜드 시스템(서랍장이나 수납 선반 등으로 구성된 가구) 형태의 콘셉트 제품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단순 제품을 넘어, 주방 공간 내 전체적인 인테리어를 위한 가전 솔루션을 제안하는 '토털 공간 솔루션'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36인치 '쿡존프리 인덕션 프로레인지(Prorange)'도 선보인다. 이 제품은 올프리(All-free) 인덕션을 탑재해 어느 위치에 용기를 놓아도 크기와 위치에 맞춰 자동으로 화구가 인식된다. 또 제품 아래에는 오븐이 탑재돼 동시에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다. 프로레인지에 올프리 인덕션이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는 프리미엄 빌트인 시장에서 핵심 부품 기술력에 고객과 공감하는 AI 기술과 세련된 디자인을 더한 빌트인 전문 브랜드를 앞세워 1등 가전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글로벌 빌트인 시장 규모는 올해 645억 달러(한화 약 93조 3500억 원)로 예상된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새롭게 단장한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의 차별화된 가치를 앞세워 B2B 사업의 중요한 한 축인 빌트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2025-02-20 16:14:56[파이낸셜뉴스] 수출입은행이 500억원을 출자하는 블라인드 사모펀드(PEF) 사업 위탁운용사가 SKS PE-삼천리자산운용, 원익투자파트너스가 선정됐다. 어펄마캐피탈매니져스코리아, E&F PE를 제친 성과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 투자금융부 간접투자팀은 최근 블라인드 PEF 위탁운용에 SKS PE-삼천리자산운용, 원익투자파트너스를 선정했다. 각각 250억원을 출자하며 펀드 최소 결성금액은 각각 1000억원이다. 이번 투자는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및 해외투자 등 해외진출 지원 목적에 합당해야 한다. 수은 출자금의 2배 이상인 500억원 이상을 이 목적으로 투자다. 비수도권에 위치한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하는 하우스는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올해 상반기에는 스틱인베스트먼트(500억원), 케이스톤파트너스(400억원), bnw인베스트먼트(300억원), KB증권 PE사업본부-SBI인베스트먼트(300억원)가 PEF 위탁운용사로 선정됐다. 총 1500억원 규모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3-12-20 17:32:38[파이낸셜뉴스] 수출입은행이 500억원을 출자하는 블라인드 사모펀드(PEF) 사업 위탁운용사가 어펄마캐피탈매니져스코리아, SKS PE-삼천리자산운용, 원익투자파트너스, E&F PE의 대결로 좁혀졌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 투자금융부 간접투자팀은 최근 블라인드 PEF 위탁운용사 숏리스트(적격후보)에 어펄마캐피탈매니져스코리아, SKS PE-삼천리자산운용, 원익투자파트너스, E&F PE를 선정했다. 수은은 이 중 2곳을 선정, 250억원 내외(최소 조성 규모의 25% 이내)로 출자한다. 펀드별 최소 결성 규모는 1000억원이다. 이번 투자는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및 해외투자 등 해외진출 지원 목적에 합당해야 한다. 수은 출자금의 2배 이상인 500억원 이상을 이 목적으로 투자다. 비수도권에 위치한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하는 하우스는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올해 상반기에는 스틱인베스트먼트(500억원), 케이스톤파트너스(400억원), bnw인베스트먼트(300억원), KB증권 PE사업본부-SBI인베스트먼트(300억원)가 PEF 위탁운용사로 선정됐다. 총 1500억원 규모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3-11-23 06:06:54[파이낸셜뉴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SKS프라이빗에쿼티(SKS PE)가 미국 연료전지업체 블룸에너지에 2000억원을 투자했다. 투자자(LP)로는 과학기술인공제회, 군인공제회, IBK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SK에코플랜트가 연 수익률 7.5%를 보장하는 조건이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S PE는 최근 블룸에너지에 투자하는 2000억원 규모 프로젝트펀드를 조성, 투자했다. 앵커(핵심) 투자자는 500억원을 투자한 과학기술인공제회다. 이번 SKS PE의 프로젝트펀드의 핵심운용역은 유시화 대표, 김주철 본부장이다. 앞서 SKS PE와 SK에코플랜트는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에 각각 1억5550만달러(약 2000억원)를 출자, 총 3억1100만달러 규모로 블룸에너지 투자를 하기로 했다. 지분 약 6%를 취득하기 위해서다. 블룸에너지는 2001년 설립, 세계 최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상용화에 성공했다. 수소 연료전지 분야에서 선도업체라는 평가다. 2018년에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됐다. 2022년 매출액은 11억9910만달러다. 최근 JP모건 등이 비중확대 리포트를 내놓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도 최근 주식을 대규모로 신규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3-05-25 09:14:53[파이낸셜뉴스] KG ETS 환경에너지·신소재사업부 매각 숏리스트(인수적격후보)에 에코비트, 현대엔지니어링, SKS PE, KAIM(한국자산에셋운용) 등이 포함됐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G그룹과 KG ETS 환경에너지·신소재사업부 매각주관사 EY한영은 숏리스트에 에코비트, 현대엔지니어링, SKS PE, KAIM(한국자산에셋운용), E&F PE, 유진PE, VL인베스트먼트 등을 선정했다. 이번 매각은 집단에너지사업부와 환경사업부를 물적 분할, 양도하는 형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KG ETS는 1999년 프랑스 폐기물처리업체 베올리아(Veolia)의 투자로 설립됐다. 2010년 KG가 베올리아와 테리스(Teris)의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KG그룹에 편입됐다. 2021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KG ETS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5751억원과 1575억원을 기록했다. 이중 환경에너지 사업부문은 매출액 367억원을 나타냈다. 철강 및 항만 부문은 매출 1조4851억원, 영업이익 1401억원을 달성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1-11-25 08:47:05[파이낸셜뉴스] 원스토어, SKS PE, NH PE, 조이시티, YES24 컨소시엄이 중국 대표 웹툰 플랫폼에 베팅했다. 누적 3억4000만명, MAU(하루방문자수) 5000만명 이상을 기록하는 '콰이칸'에 950억원 규모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투자다. SKS PE로서는 포트폴리오 기업인 원스토어와 함께 투자해 다른 기업을 추가로 M&A하는 볼트온(Bolt on) 전략을 구사하는 셈이 됐다. SKS PE는 2019년 1000억원을 투자해 원스토어 3대주주로 올라선 바 있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원스토어 400억원, SKS PE 250억원, NH PE 200억원, 조이시티 50억원, YES24 50억원 등 컨소시엄은 950억원을 콰이칸 프리IPO에 투자했다. 콰이칸이 발행한 RCPS(상환전환우선주)를 인수하는 구조다. 콰이칸은 웹툰 작가로 인지도를 높여온 20대 천안니 대표가 설립한 웹툰 플랫폼으로 2014년 론칭했다. 설립 8년차 만에 이용자 2억명을 돌파하면서 중국 내 1위 웹툰 플랫폼으로 등극했다. 특히 콰이칸은 10~20대를 아우르는 Z세대를 타겟으로 이용자 수를 늘리고 있다. 최근 콘텐츠 소비에 대한 열기가 더해지면서 콘텐츠 개발에 3000억원 가량을 투입하는 등 웹툰 외에도 영상물 등 IP를 활용한 콘텐츠도 제작하고 있다. 웹툰의 드라마 및 영화화다. 앞서 콰이칸은 세콰이어캐피탈, 텐센트 등 유수의 기관 및 전략적 투자자(SI)로부터 누적 기준 3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SKS PE의 투자에는 블라인드 펀드인 KDB산업은행, 건설근로자공제회가 주요 LP(투자자)로 참여한 ‘대신에스케이에스 이노베이션2호’를 활용했다. IB업계 관계자는 "김주철 SKS PE 전략투자사업본부장의 딜(거래) 발굴 및 주도로 원스토어에 SI로서 투자를 제안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며 "원스토어가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는 만큼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스토어가 콰이칸 투자로 사업 제휴 시 게임 비중이 높은 원스토어 플랫폼 내 스토리 콘텐츠 경쟁력 강화는 물론 글로벌 플랫폼으로서 확장 기반 마련이 용이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1-08-25 16:26:17[파이낸셜뉴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SKS 프라이빗에쿼티(PE)와 신한금융투자가 총기 조준경 제조업체 '동인광학'에 120억원 규모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방위사업청을 통해 국방부에 조준경을 납품하는 만큼 매출 구조가 안정적이라는 판단에서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S PE, 신한금융투자가 지난해 조성한 1042억원 규모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 펀드는 최근 동인광학에 120억원 규모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동인광학의 기존 대출금 차환 및 운영자금 조달 목적이다. 경기도 부천 사옥 선순위 담보부다. 이 펀드는 사모대출펀드(PDF)로,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기업구조혁신펀드 운용사로 선정돼 출자를 받아 조성됐다. 1995년 설립된 동인광학은 개인 화기에 부착하는 조준경을 제조해 국방부에 납품하는 군사장비 업체다. 기관총 조준경은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방위사업청의 글로벌 방산강소기업 육성사업에 선정되는 등 해외 수출도 크게 늘렸다. 그러나 미국, 유럽, 중동의 군수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개척비용이 증가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갔지만 국내 첫 자율구조조정(ARS) 회생절차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사례기도 하다. ARS기간에 워크아웃을 시도했다가 실패했지만, P-플랜으로 회생계획안의 인가를 받았다. P-플랜은 사전회생계획안제도로 회생절차 개시 전까지 계획안을 제출하면 법원이 이를 신속하게 인가하는 방식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1-07-28 09:41:32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SKS 프라이빗에쿼티(PE)와 신한금융투자가 자라, 망고 등 글로벌 패스트패션(SPA) 브랜드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및 ODM(제조자개발생산) 업체 '우인인더스트리즈'에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미국 등에서 코로나19 봉쇄해제 조치가 이뤄지자 이른바 '보복소비'로 패션 업황이 개선돼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목적이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S PE, 신한금융투자가 지난해 조성한 1042억원 규모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 펀드는 최근 우인인더스트리즈에 40억원 규모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이 펀드는 사모대출펀드(PDF)로,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기업구조혁신펀드 운용사로 선정돼 출자를 받아 조성됐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1-07-22 18:07:40[파이낸셜뉴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SKS 프라이빗에쿼티(PE)와 신한금융투자가 자라, 망고 등 글로벌 패스트패션(SPA) 브랜드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및 ODM(제조자개발생산) 업체 '우인인더스트리즈'에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미국 등에서 코로나19 봉쇄해제 조치가 이뤄지자 이른바 '보복소비'로 패션 업황이 개선돼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목적이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S PE, 신한금융투자가 지난해 조성한 1042억원 규모 '신한에스케이에스기업재무안정' 펀드는 최근 우인인더스트리즈에 40억원 규모 대출 투자를 단행했다. 이 펀드는 사모대출펀드(PDF)로,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기업구조혁신펀드 운용사로 선정돼 출자를 받아 조성됐다. 우인인더스트리즈는 1995년 설립, 원단과 여성복을 생산 및 납품하는 중견 벤더(협력업체)다. 글로벌 브랜드인 갭, 패스트패션 브랜드인 자라, 망고 등이 주요 고객이다. 매년 1400억원대 매출과 50억원 수준의 꾸준한 영업이익을 내던 업체지만 코로나19 여파로 해외 거래처의 주문이 급감, 지난해 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미국과 유럽 등지의 매장이 잇따라 휴업을 결정하면서다. 올해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해제되고, 업황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일부 회생채권 변제에도 성공했다. 덕분에 최근에는 회생절차를 졸업했고, SKS PE-신한금융투자의 대출 투자가 정상화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됐다. IB업계 관계자는 "우인인더스트리즈는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며 "코로나19로 셧다운 된 상황였던 만큼 의류업계 전반적으로 재고가 부족하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쟁 OEM 업체들이 많이 사라진 것도 우인인더스트리즈의 미래 기업가치를 높이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1-07-22 08:4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