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최근 홍역 환자가 늘고 있는 것과 관련 학교내 확산을 막기 위해 차단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교육부는 최근 교내 홍역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보건당국과 학교가 협력해 추가 환자 발생이 우려되는 인근 학교와 학원, 의료 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추가 의심환자 발생을 주시하면서, 예방접종 미완료자에 대해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달 22일 현재 기준 국내 홍역 환자는 225명으로, 이 중 초·중·고 및 대학생 환자는 32%이다. 현재까지 발생한 전체 환자 수는 작년 총 발생건인 107명 대비 두배가 넘게 증가한 것으로, 이는 △필리핀·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유행함에 따른 해외유입 △해외에서 감염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서 병원내 2차 전파 △학교에서의 집단생활을 통해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복합적 원인이 작용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보통 12~15개월에 예방접종을 하기 때문에 접종 전 영유아의 경우 병원에서 주로 감염되며,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1%미만에서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벼운 증상을 보이는 학생이 등교를 함으로써 학교내에서 2차 전파되고 있다고 교육부는 덧붙였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지역사회내 홍역 확산을 줄이기 위해 학부모에게는 자녀가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홍역 진단을 받으면 학교와 학원 등교를 중지하고, 집에서 격리치료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학교의 경우 의심환자가 발생하면 발진일부터 5일까지인 전염기 동안 등교를 중지시키고 학교내 추가 의심환자 발생 시 즉시 보건소에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중·고교생 및 대학생의 경우 대부분 홍역 예방접종을 마친 세대인 만큼 대규모로 유행할 가능성은 낮게 보지만 일부 미접종자와 방어면역력이 감소한 이들을 중심으로 소규모로 집단발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홍역은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중·고교생 중 홍역 예방접종 미완료자를 대상으로 보건소를 통해 연내 예방접종을 시행할 예정"이라며 "의료기관을 통한 전파 사례도 나타나고 있는 만큼 의심환자 진료시 보건소 신고와 환자 격리치료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